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노란 양은 냄비밥 자주 해드시는 분 계신가요. 

.. 조회수 : 1,361
작성일 : 2025-07-27 18:49:16

 

직화 돌솥밥 좋아해서 
3~4인용 솥으로 이렇게 해먹거든요. 
쌀 양은 2인분 정도 넣고요. 

 

1.  1분 50초 센 블로 끓인다.
2.  약불로 7~8분 두고 끈다. 

 

예전엔 뚜껑 살짝 여는 과정을 넣었는데 
새로 산 돌솥은 이렇게 뚜껑 안 열고 해도

밥이 잘 되더라고요. 

 

끓어서 넘치는 과정도 여러번 거쳐 본 후 
안 넘치고 깔끔하게 하려면 
시간을 저렇게 해야되더군요. 

 

근데, 늘 2인분 정도 밥을 하니 
가벼운 냄비로 해볼까 하고요. 

집에 2인분 크기 노란 양은 냄비가 있어서요. 

 

2인분 밥할 때 뚜껑 안 열고 
위 1.2번 과정처럼 하려면 
시간을 어떻게 배분 하면 되나요. 

 

끓어서 물 넘치는 것도 없게요. 

넘치면 렌지 닦는 게 넘 귀찮아서요. 

 

IP : 125.178.xxx.170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7.27 6:51 PM (121.125.xxx.140)

    양은냄비 일부러라도 안써야하지 않나요? 치매예방차원에서라도. 집에있는 스텐냄비 아무거나 다 쓰셔도 됩니다. 제가 그렇게해요.

  • 2. ㅁㅁ
    '25.7.27 6:55 PM (140.248.xxx.2)

    양은냄비ㅣ를 왜 집에서…

  • 3. ..
    '25.7.27 6:58 PM (36.255.xxx.142)

    가능하면 안 쓰는게 좋을듯요.

  • 4. 어머나
    '25.7.27 6:58 PM (125.178.xxx.170)

    찾아보니 양은냄비가 건강에 안 좋은 거군요.

    라면 끓일 땐 무조건 ‘양은 냄비’… 잘못하다간 뇌·신장 망가져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7/04/2024070402465.html

    남편이 라면 끓일 때 쓴다고 샀거든요.

  • 5. ...
    '25.7.27 7:09 PM (73.195.xxx.124)

    양은냄비를 왜 집에서…22222

  • 6. ㅎㅎ
    '25.7.27 7:12 PM (118.235.xxx.142)

    전기밥솥이 분해 세척도 귀찮고 자리를 늘 차지하는것도 싫어서 스텐솥으로 밥을 해먹어요.. 압력밥솥 차진느낌 보다는 고슬고슬 밥이 좋아서 그냥 스텐솥 씁니다.. 구입은 코스트코에서 했고요..
    놀러가서 온갓 솥이나 냄비에 솥밥 잘 해먹는데요, 쌀 씻어서 물에 5분정도 불려서 밥을 중약불에 앉히고, (쌀을 오래 불릴수록 불을 좀 강하게 쓰면 되요) 소리를 듣습니다.. 냄비 뚜껑이 들썩할때 불을 아주 약하게 줄이고 소리를 듣다가 물이 좀 많이 줄어든 소리가 나면 불을 끄고 그대로(뚜껑열지않고) 15분에서 20분 둡니다.. 이과정이 제일 중요한데요, 수분이 골고루 퍼져서 밥이 층지지않고 고르게 익고, 냄비 안쪽에 수분이 맺히면서 밥이 표면에 뭍지않고 깨끗하게 퍼져요. 물론 누른밥이나 누룽지 좋아하시면 물이 완전히 쫄아든 소리가 날때까지 기다렸다 끄시면 되요..

  • 7. ㅎㅎ
    '25.7.27 7:14 PM (118.235.xxx.142)

    아, 그리고 바로 드실거면 괜찮은데, 냉장고에 담아두고 데워드실 요량이라면, 3인분기준 소금 반티스푼이랑 오일(식용유도 좋지만 미강유권장) 반티스푼 넣으면 밥이 잘 눅지 않아요

  • 8. ㅇㅇ
    '25.7.27 7:20 PM (59.30.xxx.66)

    양은냄비를 왜 집에서 3333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2359 전업인데 남편 소득으로 적금을 드는데요 38 증여 2025/08/02 6,384
1742358 주차 차단봉 시비가 걸렸어요 16 주차 차단봉.. 2025/08/02 5,479
1742357 쿠팡에서 전기밥솥 3 쿠팡 2025/08/02 875
1742356 10원짜리 희귀동전 가격 2 옛날동전 2025/08/02 2,397
1742355 스크리아빈 피아노곡 좋아하시는 분 계신가요? 3 ㅇㅇ 2025/08/02 522
1742354 비가 퍼부어요 4 .. 2025/08/02 3,979
1742353 가전제품은 대기업 상품을 구매하는게 맞아요 8 .. 2025/08/02 1,569
1742352 피자 돌리고 있어요 4 듬뿍 2025/08/02 2,015
1742351 케데헌 호랑이 더피 이 분 닮지 않았나요? 16 뻘소리 2025/08/02 2,075
1742350 "72억 집에 살아도 1만 원은 아까워"···.. 49 ㅇㅇ 2025/08/02 18,734
1742349 민주당 전당대회 오늘인가요 5 현소 2025/08/02 856
1742348 수영 속도 잡담 6 ㅇㅇ 2025/08/02 1,230
1742347 백두산 관광? 4 궁금 2025/08/02 967
1742346 헌재 판결문 영상을 간혹 보는데 2 ㅗㅎㄹㅇ 2025/08/02 860
1742345 같은날 입영 공군 육군 다른가요? 7 .. 2025/08/02 853
1742344 너무 더우니까 집에서 나가기 무섭네요 8 ㅇㅇ 2025/08/02 2,953
1742343 혼자 일하려니 너무 지치고 5 진심 2025/08/02 1,718
1742342 20세 유학생 고연수 씨, 뉴욕 이민법원 출석 후 법정 나서는 .. 12 light7.. 2025/08/02 22,302
1742341 전직대통령이었던 자.의 예우는 거둬들어야. 7 부끄러워 2025/08/02 1,177
1742340 이거 이해 되세요 5 오빠 2025/08/02 1,322
1742339 '토트넘과 결별발표’ 손흥민, 차기 행선지 LA FC ‘유력’ 22 ... 2025/08/02 4,975
1742338 관세협정 이해가..안되는게 60 .... 2025/08/02 3,523
1742337 수영장 갈말?! 5 hj 2025/08/02 1,293
1742336 넷플에서 바이러스가 추천에 뜨길래 봤어요 15 영화 2025/08/02 2,985
1742335 요거트 냉동실에 얼려도 될까요? 4 미미 2025/08/02 1,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