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노란 양은 냄비밥 자주 해드시는 분 계신가요. 

.. 조회수 : 1,622
작성일 : 2025-07-27 18:49:16

 

직화 돌솥밥 좋아해서 
3~4인용 솥으로 이렇게 해먹거든요. 
쌀 양은 2인분 정도 넣고요. 

 

1.  1분 50초 센 블로 끓인다.
2.  약불로 7~8분 두고 끈다. 

 

예전엔 뚜껑 살짝 여는 과정을 넣었는데 
새로 산 돌솥은 이렇게 뚜껑 안 열고 해도

밥이 잘 되더라고요. 

 

끓어서 넘치는 과정도 여러번 거쳐 본 후 
안 넘치고 깔끔하게 하려면 
시간을 저렇게 해야되더군요. 

 

근데, 늘 2인분 정도 밥을 하니 
가벼운 냄비로 해볼까 하고요. 

집에 2인분 크기 노란 양은 냄비가 있어서요. 

 

2인분 밥할 때 뚜껑 안 열고 
위 1.2번 과정처럼 하려면 
시간을 어떻게 배분 하면 되나요. 

 

끓어서 물 넘치는 것도 없게요. 

넘치면 렌지 닦는 게 넘 귀찮아서요. 

 

IP : 125.178.xxx.170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7.27 6:51 PM (121.125.xxx.140)

    양은냄비 일부러라도 안써야하지 않나요? 치매예방차원에서라도. 집에있는 스텐냄비 아무거나 다 쓰셔도 됩니다. 제가 그렇게해요.

  • 2. ㅁㅁ
    '25.7.27 6:55 PM (140.248.xxx.2)

    양은냄비ㅣ를 왜 집에서…

  • 3. ..
    '25.7.27 6:58 PM (36.255.xxx.142)

    가능하면 안 쓰는게 좋을듯요.

  • 4. 어머나
    '25.7.27 6:58 PM (125.178.xxx.170)

    찾아보니 양은냄비가 건강에 안 좋은 거군요.

    라면 끓일 땐 무조건 ‘양은 냄비’… 잘못하다간 뇌·신장 망가져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7/04/2024070402465.html

    남편이 라면 끓일 때 쓴다고 샀거든요.

  • 5. ...
    '25.7.27 7:09 PM (73.195.xxx.124)

    양은냄비를 왜 집에서…22222

  • 6. ㅎㅎ
    '25.7.27 7:12 PM (118.235.xxx.142)

    전기밥솥이 분해 세척도 귀찮고 자리를 늘 차지하는것도 싫어서 스텐솥으로 밥을 해먹어요.. 압력밥솥 차진느낌 보다는 고슬고슬 밥이 좋아서 그냥 스텐솥 씁니다.. 구입은 코스트코에서 했고요..
    놀러가서 온갓 솥이나 냄비에 솥밥 잘 해먹는데요, 쌀 씻어서 물에 5분정도 불려서 밥을 중약불에 앉히고, (쌀을 오래 불릴수록 불을 좀 강하게 쓰면 되요) 소리를 듣습니다.. 냄비 뚜껑이 들썩할때 불을 아주 약하게 줄이고 소리를 듣다가 물이 좀 많이 줄어든 소리가 나면 불을 끄고 그대로(뚜껑열지않고) 15분에서 20분 둡니다.. 이과정이 제일 중요한데요, 수분이 골고루 퍼져서 밥이 층지지않고 고르게 익고, 냄비 안쪽에 수분이 맺히면서 밥이 표면에 뭍지않고 깨끗하게 퍼져요. 물론 누른밥이나 누룽지 좋아하시면 물이 완전히 쫄아든 소리가 날때까지 기다렸다 끄시면 되요..

  • 7. ㅎㅎ
    '25.7.27 7:14 PM (118.235.xxx.142)

    아, 그리고 바로 드실거면 괜찮은데, 냉장고에 담아두고 데워드실 요량이라면, 3인분기준 소금 반티스푼이랑 오일(식용유도 좋지만 미강유권장) 반티스푼 넣으면 밥이 잘 눅지 않아요

  • 8. ㅇㅇ
    '25.7.27 7:20 PM (59.30.xxx.66)

    양은냄비를 왜 집에서 3333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7129 세계에서 가장 빠른 21주만에 태어난 아이 1 ㅇㅇㅇ 2025/07/28 2,513
1737128 네이버페이 줍줍 3 ........ 2025/07/28 1,658
1737127 성인아들 독립 5 결정 2025/07/28 2,990
1737126 SPC가 대통령이 나설 '수준'의 일이 아니라는 사람에게 21 800 2025/07/28 4,991
1737125 파프리카 한박스 들어왔는데 8 ㅇㅇ 2025/07/28 2,128
1737124 연예인 요리 진짜 잘 하는걸까요? 13 차*련 2025/07/28 5,418
1737123 말티푸를 가족으로 맞이했어요 16 ㅎㅎ 2025/07/27 3,896
1737122 9월 초 베트남여행 괜찮은 시기인가요.  5 .. 2025/07/27 1,866
1737121 김보라라는 배우 이쁘네요 4 ........ 2025/07/27 4,703
1737120 80대운전자가 단독주택 돌진해 10대사망 44 .. 2025/07/27 13,698
1737119 이런 카페 수요 없을까요? 13 ........ 2025/07/27 3,141
1737118 딸돈은 안아까운 친정모 4 딸돈 2025/07/27 4,533
1737117 B형 남자와 O형 여자 8 ㆍㆍ 2025/07/27 2,692
1737116 평소 왕래가 없던 작은어머니상에 발인까지 가야할까요? 10 더워 2025/07/27 3,064
1737115 서초동 보시는분~~ 4 ㅇㅇ 2025/07/27 3,659
1737114 자녀 고시원에 곰팡이가 폈대요 5 Q 2025/07/27 2,919
1737113 세상의 모든 음악 들으시는 분들 음악 좀 찾아주세요 4 찾고싶다 2025/07/27 1,300
1737112 아니 차은우 머리 빡빡밀어도 진짜 굴욕1도 없네요 23 ... 2025/07/27 7,539
1737111 빡빡머리 차은우 내일 입대한대요 4 ... 2025/07/27 2,785
1737110 정속형에어컨 전기세 절약법? 4 알려주세요 2025/07/27 2,510
1737109 세계 주식시장 너도나도 '24시간 거래' 추진 ㅇㅇ 2025/07/27 1,476
1737108 남자가 이혼안해주는 이유 뭘까요? 27 이혼 2025/07/27 6,506
1737107 어제 베스트에 살림살이 정돈 팁 글 쓰신 분 글 어딨는지 아시는.. 2 qt636 2025/07/27 4,694
1737106 시어머니 장례 참석 의견, 의식들이 고루하네요 42 ... 2025/07/27 5,781
1737105 이 날씨에 야외에서 일하는 분들 얼마나 4 ㅇㅇ 2025/07/27 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