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신이도 7만원 낸다는데
수입과 재산이 도대체 얼마나 많으면 보험료를 천만원 내실까요?
명신이는 그 많은 재산이 있는데도 어떻게 의보를 7만원 밖에 안 낼 수 있죠?
명신이도 7만원 낸다는데
수입과 재산이 도대체 얼마나 많으면 보험료를 천만원 내실까요?
명신이는 그 많은 재산이 있는데도 어떻게 의보를 7만원 밖에 안 낼 수 있죠?
직장 보험은 재산 상관없이 월급에 비례해서 냈죠
요즘은 추가로 더 나오긴 하더군요
이건희도 몇백이라고 했던것같은데
오래전이니 올랐읏녀나
의ㆍ보도 상한선 없을까요
천만원이라니...
친오빠도 고액 연봉 샐러리맨인데, 1년에 내는 의료보험료가 천만원 넘는다고. . .
급여를 아주 적게 신고했죠 법인카드 사용내역도 봐야겠네요
회계처리한것도. 급여 조금받고 뒤로 ~~~
제 친구 원천징수영수증 봤는데 건보료 이천오백...
밥은 제가 삼 ㅠㅠ
네이버 찾아보니
2024년 기준 의보 최고액은 845만원
월급으로 1억 1960만원 받을때 내는 금액이라고 하네요.
아 연으로 천만원이요?
연단위로는 천만원은 뭐...
전 아닙니다만 ㅋ;;
올해는 상한이 장기요양포함시 508만원이요
매년 30씩 오르는듯요
직장은 회사 개인 각각 부당하니 1016만원쯤이겄네요
회사다녀도 소득있으면 또 내는것도 상한 508만원
지역이나 직장 급여외소득은 연수입 8억정도 넘으면 상한이고 직장은 연봉 15억 정도 되면 상한이에요
상한은 지역이든 직장이든 소득이 많아야되요
올해는 상한이 장기요양포함시 한달에 508만원이요
매년 30_40만원 씩 오르는듯요
직장은 회사 개인 각각 부당하니 1016만원쯤이겄네요
회사다녀도 소득있으면 또 내는것도 상한 508만원
지역이나 직장인의 급여외소득은 연수입 8억정도 넘으면 상한이고 직장은 연봉 15억 정도 되면 상한이에요
상한은 지역이든 직장이든 소득이 많아야되요
낸다는 분들 글은 여기에도 다수 있었죠
많이 내는 분들 덕분에 나머지가 조금 내고도
똑같이 의료보험 혜택 받잖아요
미국은 각자도생 방식이죠
쥐박이...
건보 조금낼려고 꼼수썼잖아요
명신이는 회사 법인 차려놓고
본인한테 월급 200 만원만 책정한 거죠.
거기에 건보 보험요율 7프로 곱하면 건보료 14만원 나오는데
명신이 회사가 7만원 내고, 명신이가 7만원 낸거죠.
직장 건보는 재산에 건보료 부과하지 않기 때문에
얼마든지 명신이처럼 악용할 수 있어요
지금도 강남 30억 아파트 살고
월급 500만원 받는 사람이 내는 건보료나
서울 변두리 5억 다세대 빌라 살고
월소득 300만원 겨우 버는 사람이 내는 건보료가 비슷합니다
직장 건보와 지역 건보의 차이 때문이죠.
이거 앞으로도 악용 많이 할 거예요.
건강보험 상한선이 있어서 재벌도 월 천은 안나옵니다. 연 천이면 그렇게 많이 내는 것도 아니구요.
윗님 아니예요 상한이 얼마인지모르나 년 7천내는집있어요. 투명지갑은 뭐 어쩌질못해요.
그건 부부등 가족이 각자 소득이 있을때 개인별로 따로 내니까 그럴테고요, 직장이든 지역이든 상한액은 개인당 월 400이 안됩니다. 직장은 더 높은데 회사에서 반 내주니까 내가 내는 지역과 금액은 같아요.
보험료 상한액은 개인별이 아니고 직장별로 따져요.
지금 건보료 최고 상한액이 848만원으로
직장에서 절반 내주면 424만원이거든요.
월급이 1억 2000 넘어야 저 정도 건보료를 내는데요.
만약 내가 직장 1군데 다니고
월급 2억 4000을 받으면 건보료는 똑같이 424만원이지만
내가 직장 2군데를 다니고
1군데에서 1억 2000씩
총 2억 4000 월급을 받으면
건보료는 그 2배인 824 만원을 내야하는 거죠.
그래서 건보료 최고상한액 424만원을 넘겨서
납부하시는 분들이 존재하는 겁니다.
그래서 직장 2군데 이상 다니시는 분들은
건보료 400만원보다 더 냅니다.
똑같이 원ㅅ
보험료 상한액은 개인별이 아니고 직장별로 따져요.
지금 건보료 최고 상한액이 848만원으로
직장에서 절반 내주면 424만원이거든요.
월급이 1억 2000 넘어야 저 정도 건보료를 내는데요.
만약 내가 직장 1군데 다니고
월급 2억 4000을 받으면 건보료는 똑같이 424만원이지만
내가 직장 2군데를 다니고
1군데에서 1억 2000씩
총 2억 4000 월급을 받으면
건보료는 그 2배인 824 만원을 내야하는 거죠.
그래서 건보료 최고상한액 424만원을 넘겨서
납부하시는 분들이 존재하는 겁니다.
https://m.kukinews.com/article/view/kuk202110130161#_enliple
건강보험료, 얼마내세요…직장인 42% 5만원~10만원
이처럼 한 달 건보료 상한액은 704만원이지만, 이보다 많은 보험료가 부과된 직장가입자도 3633명에 달했다. 전체 직장가입자의 0.02% 수준으로, 월 건보료가 704만원 이상 800만원 미만은 2830명, 800만원 이상 1000만원 미만은 388명으로 파악됐다. 특히, 건보료를 한 달에 1000만원 이상 내는 직장가입자도 415명에 이르렀다.
그렇다면 월 건보료 상한액 704만원을 뛰어넘은 직장가입자가 3000명이 넘는 이유는 무엇일까. 월별 보험료액 상한액이 ‘개인별’이 아니라 ‘직장별’로 산정되기 때문이다. 즉, 1개 직장마다 월별 보험료액 상한액(704만원)을 적용하고 있어, 2개 이상 직장에 다닐 경우 704만원을 넘을 수 있다.
아래는 2021년 기사라 최고상한액 금액이 지금과 다릅니다.
https://m.kukinews.com/article/view/kuk202110130161#_enliple
건강보험료, 얼마내세요…직장인 42% 5만원~10만원
이처럼 한 달 건보료 상한액은 704만원이지만, 이보다 많은 보험료가 부과된 직장가입자도 3633명에 달했다. 전체 직장가입자의 0.02% 수준으로, 월 건보료가 704만원 이상 800만원 미만은 2830명, 800만원 이상 1000만원 미만은 388명으로 파악됐다. 특히, 건보료를 한 달에 1000만원 이상 내는 직장가입자도 415명에 이르렀다.
그렇다면 월 건보료 상한액 704만원을 뛰어넘은 직장가입자가 3000명이 넘는 이유는 무엇일까. 월별 보험료액 상한액이 ‘개인별’이 아니라 ‘직장별’로 산정되기 때문이다. 즉, 1개 직장마다 월별 보험료액 상한액(704만원)을 적용하고 있어, 2개 이상 직장에 다닐 경우 704만원을 넘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