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내대학 이공계 석박과정 부모지원 없이 가능할까요

... 조회수 : 1,883
작성일 : 2025-07-22 15:32:38

이공계 대학원은

연구비로 얼마씩 나온다고 듣기는 했는데요

스카이 자대에서 석박 할 경우

대략 어느정도 받을까요?

집이 지방이라 주거비 용돈 따로 들어요.

연구비로 학비 정도 충당될지...

그럼 용돈이랑 월세는 부모 도움 필요하겠지요?

아니면 학비도 부족할까요?

 

남편 곧 은퇴에요.

결혼할때 해주려고 조금 모아둔게 있는데

이걸로 대학원 석박 지원 해줘야할지

아님 알아서 해라 해야하는지 결정을 못하고 있습니다.

IP : 219.255.xxx.142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귀염뚱이
    '25.7.22 3:38 PM (112.169.xxx.195)

    학비하고 용돈은 커버되요
    집세와 생활비는 좀 도와주셔야 할듯
    스카이 공대 대학원 다녀요

  • 2. ...
    '25.7.22 3:38 PM (110.14.xxx.2)

    저희 아이나 아이 동기들 보면 등록금과 기본 용돈 정도는 해결되는 것 같아요. 외부 장학금으로 등록금 해결되는 학생들은 용돈정도 아닌 학생들은 180에서 200정도 받고 있대요. 그 돈에서 등록금 내야해서 고민하는 친구들 있다고 해요. 생활비 대출 받는 친구들도 있는데 이율이 엄청 낮아서 일부러 받는 애들도 있고요.
    돈 벌어서 집에 보태야 하는 상황 아니면 크게 걱정할 이유는 없어 보여요.

  • 3. ...
    '25.7.22 3:40 PM (221.151.xxx.133)

    이공계 석사과정은 실제로는 최저임금도 못 받고 일하는 노동자 같아요. 서울대는 모르겠지만 연고대난 서성한의 경우는 대략 한달에 180만원에서 230만원 정도 받던데요. ( 애 둘을 이공계 석사를 시켜서 알게되었어요.) 하루 근무 시간은 최소 12시간이에요. 물론 방학따위는 없고요. 전 문과 석사를 했는데 너무 다른 문화였어요.
    질문에 답을 드리면 학비와 최소한의 용돈은 나옵니다.

  • 4.
    '25.7.22 3:41 PM (219.241.xxx.152)

    하루근무를 최소 12시각이라구요?

  • 5. 주니
    '25.7.22 3:41 PM (14.50.xxx.185)

    저는 학비는 제가 대주고 가끔 용돈도 보내주곤 해요. 그나저나 석사논문 어려워하네요...

  • 6. ...
    '25.7.22 3:43 PM (118.36.xxx.122) - 삭제된댓글

    랩 마다 금액은 좀 다르지만
    혼자 살기엔 딱 굶지 않을정도는 나오는것 같아요
    모자르면 인턴하거나 알바하기도 하구요

  • 7. 그냥
    '25.7.22 3:45 PM (110.70.xxx.195)

    기숙사 살고 과외하고

  • 8. 자대로
    '25.7.22 3:50 PM (14.51.xxx.134)

    갈 경우 거의 무료에 가까울걸요
    이건 입학전 교수님하고 얘기하기 나름이고요
    인건비는 지급 상한선이 석사경우 220만원인걸로
    알고 있어요 이것도 교수님하고...
    용돈 정도는 인건비로 해결되지 않을까 싶은데
    기숙사 들어가도 되고요 용돈 모자라면 한국장학재단에서 생활비 대출도 가능해요
    이공계면 빠듯하긴해도 못다니지 않아요

  • 9. ....
    '25.7.22 3:51 PM (221.151.xxx.133)

    네, 큰애는 딱 12시간 근무했고요. 지금은 대기업 연구소에 취직해서 워라벨 누리는 중인데, 작은애는 월 ~토 9시부터 23시까지 어떤 때는 24시까지 일해요. 랩이 워낙 빡세고 교수님도 열심히 하는 분이라 체념하고 다니네요.

  • 10. 석박사
    '25.7.22 3:53 PM (116.36.xxx.235) - 삭제된댓글

    연구실 따라 달라요

    우리 아이 경우 180_220 사이.
    연말 보너스 있구요.
    과제 많으면 한달치 급여정도?
    학비까지 지원해 줘요.

    근무는 안바쁠때는 8시간 근무.
    바쁠때는 뭐 퇴근도 없구요
    박사급 강의들어가면 그건 별도구요.
    박사급 들어가면

  • 11. 석박사중
    '25.7.22 3:55 PM (116.36.xxx.235)

    연구실 따라 달라요

    우리 아이 경우 180_220 사이.
    연말 보너스 있구요.
    과제 많으면 한달치 급여정도?
    학비까지 지원해 줘요.
    박사급 강의들어가면 그건 별도구요

    근무는 안바쁠때는 8시간 근무.
    바쁠때는 뭐 퇴근도 없구요
    .

  • 12. ...
    '25.7.22 4:03 PM (112.151.xxx.19)

    이런건 랩실마다 교수마다 다르기 때문에 자녀분하고 직접 대면하고 물어보세요.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여기다 물어봤다 낭패일수도 있어요.

  • 13. Oo
    '25.7.22 4:23 PM (220.255.xxx.83)

    교수 평판 꼭 확인하라고 하세요. 주지도 않은 급여 줬다고 삥땅치는 교수가 있지를 않나 부려먹는 교수들 많아요. 얼마전에도 뉴스에 났더만요. 교수 노모 칠순인지 팔순잔치도 거들어야 했다고...

  • 14. ..
    '25.7.22 4:35 PM (220.118.xxx.37)

    우리가 학생일 때처럼 못사는 나라도 아니고, 아직도 학비와 용돈정도 커버해주나요. 생활비도 줘야죠. 우리가 학생인 시절 미국에 유학 가면 이공계는 당연히 학비,용돈,생활비 커버였고, 지금도 그렇습니다. 그때와 비교하여 우리나라가 얼마나 잘 살게 되었는데, 이공계 살린다면서 아직도 그 수준. 베트남도 아니고 정말 너무한다, 너무해..

  • 15. 원글맘
    '25.7.22 4:38 PM (219.255.xxx.142)

    월 200전후 나오면 학비랑 본인 밥값 정도는 충당하겠네요.
    집에서는 월세랑 생활비 모자란 정도 지원하면 되겠어요.
    아이도 막연히 학비는 되겠지 정도 알고 있고,
    아직 공부중인 다른 아이도 있어서요.
    은퇴후 계획 세우던중 답답해서 여쭈었어요.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16.
    '25.7.22 5:16 PM (211.198.xxx.46)

    은퇴까페에 딸이 서울대 이공계 석박사했는데
    집사주면서 급여내역떼서보니 8000쯤 장학금으로
    받았다고 했어요

  • 17. 이공계 석박
    '25.7.22 7:04 PM (175.208.xxx.213)

    할만하구만 왜 이공계 죽었다고 난린가요?
    학부때부터 장학금도 많고요.
    의대 전공의 120시간 연속근무하고 300받는데
    석박 학비는 당연히 본인 부담.
    더 길게 학교 다녀도 온갖 장학금에서 다 제외되는데

  • 18. 넝쿨
    '25.7.22 7:07 PM (118.235.xxx.18)

    이공계 석박사는 공부 내용이 훨씬 어렵고 중요한 반면 졸업후 하방이 의대 대비 낮잖아요. 의대 공부 어렵다 해도 암기고 논문 수준도 차이 많이 나요

  • 19.
    '25.7.23 9:31 AM (223.38.xxx.252) - 삭제된댓글

    의대 전공의 120시간 연속근무 안해요
    급여도 300아니구요
    조카 2 최근 레지던트하다파업 직전 전문의 땄어요
    토일 중 하루는 당연히 쉬고 급여 500쯤됩니다
    둘 다 레지던트고 시절에 결혼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9160 유복한 환경에서 살아온 분들은 주변도 다들 비슷하죠? 18 .. 10:01:42 2,937
1739159 애 몰래 수시박람회 가보려고 해요 7 .... 09:58:54 702
1739158 제자리 걷기할 때 까치발로 걷게 되는데 발바닥 전체를 동시에 딛.. 3 제자리걷기 09:57:43 823
1739157 사회초년생이 구입예정이예요 5 뛰뛰빵빵 09:57:02 761
1739156 우리은행 민생자금 들어왔는데요 10 현소 09:53:53 3,226
1739155 옷장을 정리하다 보니 한심해요. 8 한심 09:52:17 3,026
1739154 강선우 의원은 8 어휴 09:51:53 957
1739153 마음을 어떻게 다스려야 될까요?남편주식 22 ; 09:48:07 3,942
1739152 초2가 연산만 하는거 6 고민 09:42:36 596
1739151 갑질논란 강선우 '부적합 60% vs 적합 32%' 14 조사 09:41:57 1,031
1739150 수영강습 8 ... 09:41:14 1,044
1739149 버섯이 폈어요 3 fjtisq.. 09:36:11 955
1739148 일본 관세 15% 로 협상했네요 32 ㅇㅇ 09:36:08 3,409
1739147 주진우, 국힘 당대표 출마 선언 "다시 강해져야&quo.. 8 ... 09:34:11 1,184
1739146 이문뉴타운 20평대가 13억 5 .... 09:25:55 2,024
1739145 김명신 플러팅~ 2 ㅇㅇㅇ 09:21:40 1,928
1739144 삼성세탁기 자동 문열림 기능 획기적인가요? 12 .. 09:20:52 1,706
1739143 강선우, 교수 시절 5주 무단 결강…수강생들 "무책임한.. 29 ... 09:19:17 2,132
1739142 이연복건은 긴급조치, 백종원건은 5개월 째 조용 7 식약처는ㅈ왜.. 09:13:06 2,634
1739141 이번달에 돈을 너무 많이 썼어요.. 9 gggpl 09:07:15 3,209
1739140 드럼세탁기 사용시 아래쪽으로 물이 나오는데요 5 09:04:07 793
1739139 성인자녀를 두신 어머님들 13 09:03:06 3,249
1739138 라면 두 개 먹어보셨어요? 16 ... 09:01:44 1,991
1739137 오지오스본 기억나세요? 오늘 별세하셨네요. 10 메탈 09:00:51 2,029
1739136 소비쿠폰 지역화폐로 받을시에 동작구 남성시장에서 3 궁금합니다 08:58:18 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