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자존감은 사랑으로 얻어지는게 아니에요.

자존감 조회수 : 3,003
작성일 : 2025-07-20 19:02:10

자꾸 자존감을 사랑타령 하시는데요.

 

사랑으로 얻어지는게 아니에요.

 

자존감은 성취의 경험으로 얻어져요.

 

실패해도 회복하고 또 성공한 경험으로 얻어지는 겁니다.

 

성취는 해본적이 없고 사랑만 받고 ㄷ그런 아이들 사회에서 실패합니다.

 

세상은 무조건적인 사랑을 주는 곳이 아니에요.

 

자녀에게 실패와 회복 그리고 성공의 경험을 심어주세요.

IP : 211.186.xxx.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5.7.20 7:09 PM (221.150.xxx.22)

    이 주장은 일리가 있지만, 완전히 맞다고만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자존감은 ‘성취 경험’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사랑과 수용도 자존감의 핵심 기반이기 때문입니다. 다음과 같은 논리로 반박할 수 있습니다.


    ---

    1. 자존감의 ‘기초 토대’는 사랑과 수용이다

    아동 발달심리학(특히 애착이론, 존 볼비/메리 에인스워스)에 따르면, **안정적인 사랑과 수용(안전 애착)**을 받은 아이는 실패와 도전에도 잘 회복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정감(Resilience)**을 형성합니다.

    반대로 성취만 강조하고 사랑이 결여되면, 성공해도 **“나는 성취했을 때만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조건부 자존감을 가지게 되어 쉽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

    2. 성취만으로 자존감을 세우면 ‘성과 중독’이 생긴다

    성취로만 자존감을 느끼는 사람은 실패 한 번으로 자기 가치를 잃었다고 느끼며 우울이나 불안을 크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완벽주의자나 고성취자들이 외적 성취는 크지만 자존감이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진정한 자존감은 “나는 존재 자체로도 가치 있다”는 무조건적 자기 수용에서 비롯되고, 그 위에 성취 경험이 쌓일 때 건강하게 강화됩니다.



    ---

    3. 실패와 회복력도 사랑의 토양에서 자란다

    실패를 겪을 때 “괜찮아, 넌 여전히 가치 있어”라는 기본적인 수용이 없다면 아이는 실패를 자기 존재 가치와 동일시합니다.

    즉, 실패를 회복할 힘(회복탄력성, resilience) 자체가 무조건적 사랑과 안전감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조건적 사랑이 없는 환경에서 실패를 겪으면, 도전보다 회피와 두려움이 먼저 생길 수 있습니다.



    ---

    4. 사회는 무조건적 사랑을 주지 않지만, ‘가정’이 주는 이유

    가정이 아이에게 무조건적 사랑을 주는 이유는 세상이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집에서조차 사랑을 조건부로 배우면, 아이는 세상과 마찬가지로 “내가 성취해야만 사랑받는다”는 불안한 신념을 가지게 됩니다.



    ---

    결론

    자존감은 “사랑(안정된 애착)”과 “성취 경험”이 함께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사랑이 없는 성취는 불안정하고, 성취가 없는 사랑은 자신감 부족을 낳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무조건적 사랑과 함께 도전·실패·성취를 균형 있게 경험하게 하는 것이 가장 건강한 방식입니다.

  • 2. ㅌㅂㄹ
    '25.7.20 7:18 PM (182.215.xxx.32)

    존재 자체를 인정받는 그런 제대로 된 사랑을 받는 것이 자존감의 기반입니다

  • 3. 넝쿨
    '25.7.20 7:18 PM (114.206.xxx.112)

    제발 gpt 답변 좀 달지 마세요
    자기 생각을 쓸게 없으면 지나가세요
    길고 내용없고 공해가 따로 없음

  • 4. 반대
    '25.7.20 7:20 PM (14.50.xxx.208)

    집안에서 사랑이 없으면 성취도 없다는 생각 안해보셨어요?

    동생 밥도 차려주는 구나.

    동생 밥을 이것밖에 못차리니? 냉장고 안에 고기는 왜 안줬어?

    초등학생 아이가 해줄 수 있는데서 나는 늘 못하는 구나.... 라는 자괴감만 받는다면?

    그리고 요즘 애들 중에 성취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애들이 몇명이나 있을까요?

    학교성적으로 조금 성취감을 느낄까요?

    근데 그 학교 성적조차도 전국권 모의고사로 또 다시 서열이 매겨지는데요?

    집에서 인정해주는 사랑에서 성취를 느끼죠.

    님은 애들에게 자존감을 세워주기 위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게 뭐가 있다고 생각하세요?

  • 5. 성인 자녀에게
    '25.7.20 7:23 PM (59.6.xxx.211)

    돈 물려줄 생각 말고
    자존감과 성취욕 그리고 능력있게 교육시키고
    가정 교육 잘 하는 게 중요해요.
    부모부터 삶의 모범이 되어야겠죠.
    부모 보고 배우는 게 학교 교육만큼 중요합니다

  • 6. ...
    '25.7.20 7:26 PM (211.234.xxx.124)

    원글이 얘기하는건 자기효능감인거 같은데요. 자존감은 자기를 존중하는 마음이에요. 나는 소중한 존재, 사랑받을 수 있는 존재라는 확신이 있고 자기 스스로도 나를 아껴주는 거에요.

  • 7. ㅡㅡ
    '25.7.20 8:03 PM (221.140.xxx.254) - 삭제된댓글

    성취감도 있고
    사랑받고 인정받고 자란것도 중요하고
    한가지가 아니라 여러요인이 있겠죠
    근데 타고난것도 커요

  • 8. ,,,,,
    '25.7.20 8:37 PM (110.13.xxx.200)

    아는척 하지마시구요.
    존재 자체를 인정받는 그런 제대로 된 사랑을 받는 것이 자존감의 기반입니다. 222
    이게 근간이 되기에 누구보다 부모나 최초 양육자의 지지와 사랑을 강조한 거죠.

  • 9. ..
    '25.7.20 8:51 PM (220.78.xxx.149)

    사랑만도 아니고 사랑과 수용이 참으로 맞는말같네요

  • 10. 00
    '25.7.20 10:20 PM (1.232.xxx.65)

    계속 실패해서 성취 못하면요?
    혹은 성취했는데 써먹을수가 없다면요?
    피부관리 잘했는데 화상입을수도 있고
    좋은대학 나와서 사짜직업 가졌는데
    사고로 장애인될수도 있는거고
    병이 생겨서 백수로 살수도 있고요
    그럼 자존감 박살나겠네요
    원글 논리대로라면요

  • 11.
    '25.7.21 12:27 AM (180.69.xxx.79)

    사랑이 기본바탕 같습니다

  • 12. 짠해요
    '25.7.21 8:43 AM (182.231.xxx.83)

    죄송하지만 원글님 짠하네요
    사랑받은 경험과 성취의 경험이 동급이라고 여기시는게요.
    저는요, 제 인생에서 다시 돌아갈 순간을 꼽는 다면
    제가 pt를 너무 잘해서 경쟁자들 다 오징어 만들어버리고 (오징어 미안) 기립 박수 받았던 그 날이에요. 두번째도 제가 존경하는 선배님으로부터 기립 박수 받았던 그 날. 세 번째도 세 명의 존경하는 교수님들이 어떻게 이렇게 긴장도 안하고 잘하냐고 축하해주셨던 그날. 즉 저도 성취의 경험의 짜릿함을 압니다만.

  • 13. 짠해요
    '25.7.21 8:46 AM (182.231.xxx.83)

    자신감의 근원은 사랑받은 경험이지요. 부모님의 사랑. 첫사랑의 경험.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요, 제 경우엔 부모님의 사랑이 바탕이 되어서 자신감 자존감 넘치는 사람이 되었고 그게 지금까지 저를 버티는 근원이 된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4971 퇴직금 관련 잘 아시는 분 (퇴직연금 db/dc) 2 초보경리 2025/07/21 747
1734970 냉감패드 만족스러운 제품 추천좀 해주세요 4 ........ 2025/07/21 1,076
1734969 짜장면 배민으로 먹어보고 짜장라면이랑 짜장소스 샀어여 4 ... 2025/07/21 1,185
1734968 왜 보초 세우는 주식만 잘 나갈까요 6 ..... 2025/07/21 1,625
1734967 근력운동하고나면.... 9 --- 2025/07/21 2,314
1734966 이번 수해엔 왜 수재민 돕기 모금 없나요? 5 슈해 2025/07/21 1,104
1734965 서울, 경기에 자유수영과 주차 편한 곳 있을까요 수영 2025/07/21 403
1734964 뇌 운동, 뇌 휴식법 알려드려요. ... 2025/07/21 1,316
1734963 근데 안철수는 뭣때문에 발음이 안 좋은건가요? 2 ..... 2025/07/21 1,924
1734962 소비쿠폰으로 엄청 생색내네요? 21 ㅇㅇ 2025/07/21 2,921
1734961 '내가 아시는 지인' 이란 표현은 정말이지.. 9 ㅁㅁㅁ 2025/07/21 1,423
1734960 귀신얘기 해주세요 4 ㄱㄴ 2025/07/21 1,503
1734959 소비쿠폰 신청 난리네 ㅋ 43 o o 2025/07/21 15,799
1734958 조국혁신당 최고위원회 서왕진 원내대표 공개발언, 기후재난 사전예.. 2 ../.. 2025/07/21 901
1734957 정선 어디가 좋을까요? 7 깐마늘 2025/07/21 1,327
1734956 중소기업 냉동고 사신분들 만족하시나요? 3 ... 2025/07/21 753
1734955 누군가 힘든 일 도와주는게 좋은 걸까요 4 ㅇ ㅇ 2025/07/21 998
1734954 넘 맘에 드는 바지를 두벌 쟁이고 싶은데요. 4 ㅌㅌ 2025/07/21 2,042
1734953 뻣뻣한 사람도 필라테스 할 수 있나요 8 2025/07/21 1,475
1734952 에어컨도 선풍기도 힘들어서 1 ㅁㄴㅇㄹ 2025/07/21 1,041
1734951 드림렌즈 안가져온 유럽 여행.... ㅜㅜ 10 ... 2025/07/21 2,995
1734950 혹시 정계정맥류 수술 아시는분 계실까요? reina 2025/07/21 421
1734949 급 대구왔어요. 어디를가보면 좋을까요? 10 ... 2025/07/21 1,519
1734948 남자한테 사랑받는법 이 말자체가 너무 수동적이고 없어보여요 15 와오 2025/07/21 1,936
1734947 남편이랑 둘이 여행 잘 다니시나요? 24 ..... 2025/07/21 3,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