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직업의 대물림

조회수 : 5,538
작성일 : 2025-07-12 19:31:12

세습이라기는 좀 그렇고

요즘은 직업도 부모 직업 따라 가는 경우가 정말 많은듯.

 

내 주변만 해도

교사 부모에 교사 딸

공무원 아버지에 공무원 딸

세무사 아버지에 세무사 아들

금융권 아버지에 금융권 딸

자영업하는 부모에 자영업하는 아들

작은 중소기업 하는 분들은 또 당연히 가업이 자식에게 이어지기를 바라고요.

등등.

 

부모 직업을 그대로 따라가는 집들이 한 두 경우가 아니네요.

신기할 정도입니다.

 

부모가 빽으로 밀어넣어 준 것도 아니고(요즘 그게 통하는 시대도 아니고요)

어릴 때부터 보면서 영향을 은근 받아온 것이 무시못하나 싶기도 하고요.

 

그리고 부모들도 얘기 들어보면 그래요.

너무 잘 살거나 못 사는 집보다 그냥 애들이 비슷한 직군에 있는 사람 만나서 결혼하면 좋겠다고들 해요.

암튼 그렇답니다.

 

제 주변만 이런지

다른 분들도 이런 경우 많이 보셨나요?

 

 

 

 

 

IP : 58.29.xxx.185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무래도
    '25.7.12 7:33 PM (1.211.xxx.132)

    성향도 닮으니.
    의사 부모에 의대 자녀 많죠

  • 2. 맞아요
    '25.7.12 7:34 PM (58.29.xxx.185)

    의사 집안에 의사 많은 것도 빼놓을 수 없죠

  • 3. 저희집요
    '25.7.12 7:34 PM (59.13.xxx.164)

    남편이랑 저랑 컴공과 나왔어요
    저희애 아직 고딩이지만 컴퓨터 전공하겠다고..
    저희도 딱히 다른걸 제시하지 못하기도 하구요

  • 4. ㅂㅅㄴ
    '25.7.12 7:36 PM (182.216.xxx.97)

    카이박사에 카이다녀요 ㅋ

  • 5. ..
    '25.7.12 7:37 PM (106.101.xxx.60) - 삭제된댓글

    그런데 우리집엔 전~~혀 다른 아들놈이 살고 있네요.
    부모는 이과 전문직들인데
    아들은 왜 문과를 가서 저러고 있는지...ㅜㅜ
    자율의지 중요하게 생각해서
    지 좋은거 하고 살라고 진로 코치 이래라저래라 안했는데
    후회되네요.

  • 6. ....
    '25.7.12 7:40 PM (114.200.xxx.129)

    대부분 다 그렇지 않나요.?? 의사집안에는 의사 완전 흔하고 교사나 공무원집안은 완전 그쪽 계통 완전 흔하잖아요..저희 양가 친척들만 봐도 그렇던데요 .. 저희 친가는 사업하는 집안이라서 대부분 사촌들 다 사업하고 외가는 공무원이거나 교육자가 많아서 엄마쪽 사촌들은 거의 대부분 다 그쪽 관련직업이예요..

  • 7. ..
    '25.7.12 7:41 PM (223.38.xxx.27)

    보통 일본은 대부분 그렇다고 해요
    그래서 3-4대 가게가 있구요
    심지어 정치도 대물림해요

    우리나라 이전에 대물림이 적었던 건 농부가 직업인 부모기 많아서고 산업화되면서 농부가 전 처럼 많이 필요하지 않게 됐으니끼요

    주변도 보면 중소기업 부동산 이어서 하는 자녀들 있는데 전문직은 또 안 그런 거 같아요
    부모 의사인 제친구 둘도 직업 다 달라요
    한 여동생은 백수로 지내다 시집갔구요

  • 8. 의사는, 아뇨
    '25.7.12 7:47 PM (223.38.xxx.150)

    제주변 부모가 의사이거나 아빠가 의사인 집 애들은 의사 못 됐구요 (부모는 자녀가 의사되기를 바랬지만)

    오히려 부모가 의사 아닌 집 애들이 의사 됐어요
    여러집이 그렇네요

  • 9. ........
    '25.7.12 7:56 PM (112.152.xxx.61)

    제주변 부모가 의사이거나 아빠가 의사인 집 애들은 의사 못 됐구요 (부모는 자녀가 의사되기를 바랬지만)

    오히려 부모가 의사 아닌 집 애들이 의사 됐어요
    여러집이 그렇네요

    -----------------

    전 종합병원에서도 오래 근무했는데 (행정직)
    이 분 댓글 극 공감이요.

    부모가 의사인 경우 본인이 어렸을때 워낙 머리가 좋았고 공부를 수월히 했어서 그런건지??? 그렇게 애들 빡세게 안하더라고요.

    그리고 젊은 의사들은 부모가 의사 아니고 우리가 아는 그 루틴처럼 강남학군지에서 엄마관리 빡세게 받으면서 공부한 사람이고요.

  • 10. 본인들은
    '25.7.12 8:01 PM (180.68.xxx.158) - 삭제된댓글

    어떠세요?
    전 아버지가 디자인하셔서
    디자이너가 장래희망이었고,
    50후반인 지금도 현직이예요.
    숙부가 의사라 병원 물려주신다고
    의대 가라 그러셨지만,
    죽어라 해도 의대는 못 갈것같아 포기했었어요.
    사촌은 음악하느라 공부는 아예 담 쌓았었구요.

  • 11. ...
    '25.7.12 8:07 PM (61.255.xxx.154)

    예전부터 그랬어요

  • 12. 영통
    '25.7.12 8:20 PM (116.43.xxx.7)

    내 주위
    교사 엄마에 교사 딸 아주 많아요

    특징이 교사 엄마가 딸에게 교사 적극 권유
    딸은 교직이 좋은가보다 엄마 말 믿고 선택

  • 13. 한번
    '25.7.12 8:24 PM (223.38.xxx.50)

    자기가 한번 가본길이니 잘알려줄수 있죠.

  • 14. ..
    '25.7.12 8:34 PM (125.186.xxx.181)

    저희도 온 집안이 경영학에 금융인이에요.

  • 15. 3교대직
    '25.7.12 8:38 PM (211.214.xxx.93)

    부모가 3교대 직종에 다니는데
    자녀들도 고등졸업하고 바로 취업연결되는 마이스터고로 진학 자연스럽게하더군요.
    대학은 나중에 필요하면 다닌다는.
    빠른 진로결정을 하더라구요

  • 16. 교사엄마에
    '25.7.12 11:12 PM (183.98.xxx.141)

    교사딸, 계리사 아빠에 계리사 딸
    치과의사엄마에 치대간 딸..
    많죠~
    장단점을 알고 코치해줄 수 있으니까요

  • 17. 일본
    '25.7.12 11:13 PM (118.235.xxx.225) - 삭제된댓글

    직업의 대물림 이유
    흥미롭네요
    https://youtu.be/QkbWSaVkro0?si=VCDPmpTat0aSgNd3

  • 18. ㅡㅡ
    '25.7.13 5:55 AM (125.185.xxx.27)

    계리사는 생ㅅㅗ
    보험계리사는 들어봤는데. 다른쪽도 계리사가 있나요?
    뭘 하는 업인지 잘 모르겧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8438 민생지원금요 3 2025/07/22 2,079
1738437 감사함을 모르는 사람에게는 2025/07/22 906
1738436 뛰는분들 질문! 숨 찰때 등은 안아픈가요? 1 뛰는 분들 2025/07/22 482
1738435 너무 웃겨섴ㅋㅋㅋㅋㅋ 아고 배야 6 2025/07/22 4,546
1738434 다른 댁 풍경도 다 비슷하려나요. 9 .. 2025/07/22 3,310
1738433 한화 10연승 했어요 6 ㅇㅇ 2025/07/22 1,659
1738432 윗집 안마기 소리 4 Anal 2025/07/22 2,159
1738431 에이티즈 2025 월드투어 내슈빌도 흔들었다…K팝 위상 실감 5 light7.. 2025/07/22 645
1738430 그거 아세요? (야구 한화이글스) 5 bb 2025/07/22 1,794
1738429 유튜브에서 2009년 방영했던 kbs 동행 '엄마 보고싶어' 편.. 11 포로리 2025/07/22 3,411
1738428 결국 부인에 대한 열등감으로 자식을 살해한거네요 14 2025/07/22 6,712
1738427 또 기각이네요.... 17 또 기각 2025/07/22 6,118
1738426 퇴직연금 의무화 반대 국민청원 16 2025/07/22 1,836
1738425 집에서 스피닝 자전거 타시는분 계신가요? 3 스피닝 2025/07/22 1,122
1738424 운동할 때 반바지 7 ㅇㅇ 2025/07/22 1,823
1738423 전한길 "국힘이 다구리 쳐…우리가 한동훈 출당시키자&q.. 11 콩가루 2025/07/22 3,261
1738422 오이토스트 해먹어봤는데 맛이 없네요 7 명란젓이 비.. 2025/07/22 2,314
1738421 소다스트림 리필실린더 쓰시는 분 6 ... 2025/07/22 574
1738420 장관 임명 안됐는데…강선우, 여가부서 업무보고 받았다 13 . . ... 2025/07/22 4,883
1738419 민주당 당직자분들, 정말 각성해 주세요 20 .... 2025/07/22 1,704
1738418 화류계(몸파는 여자) 영화에 그만 나왔으면 30 ㅇㅇiii 2025/07/22 13,041
1738417 선호하는 시계 브랜드 있으세요? 14 생일 2025/07/22 2,513
1738416 제가 밥하는게 안 힘든이유.. 40 ㅇㅇ 2025/07/22 21,106
1738415 김민석 국무총리 기조연설 보세요. 5 국민주권정부.. 2025/07/22 1,993
1738414 자취하는 아이 반찬 보내려는데요 9 …. 2025/07/22 2,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