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님은 자식의 나이에 따라서 돌아가실때 충격이.??

.... 조회수 : 3,440
작성일 : 2025-07-07 20:52:58

자식의 나이에 따라서 부모님 돌아가셨을때 충격의 차이가 많이 날까요 

저는 저희 엄마가 저 30대 초반에 돌아가셨거든요  지금 10년 좀 넘었는데 

아직도 그때 그 감정은 넘 생생하게 기억이 나요 

태어나서 그때까지 제가 받은 충격중에서 그게 가장 충격적인 일이었어요 

그때 그런 생각했죠 . 남들도 이만큼이나 두번은 이런 충격을 받겠죠 

부모님이 두분이니까 ㅠㅠ 

가끔 그걸 잘 이겨낸 제가 신기할 지경인데 

그때는 진짜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는 느낌 

엄마가 겨울에 돌아가셨는데 전 지금도 겨울을 끔찍하게 싫어하는게 

봄여름가을까지는 괜찮은데 겨울만 되면 마음까지 추운 느낌이예요 

근데 40대 지금  만약에 돌아가셨으면. 그때 받은 그충격 지금도 그대로 일까.? 

아니면 나이가 좀 들었으니까 좀 덜할까 이런 생각 들어요 

저희 엄마가 60대 초반에 돌아가셨는데 

요즘 60대 분들 보면 아직 건강하고 젊으시던데 .. 

왜 그렇게 빨리 돌아가셨나 싶고 그렇네요 

 

 

 

 

IP : 114.200.xxx.12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7.7 8:55 PM (221.138.xxx.92)

    그렇죠.
    우선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기대수명이라는게 있잖아요.
    공허함이나 상실감이 훨씬 클 것 같습니다.

  • 2. ...
    '25.7.7 9:00 PM (114.200.xxx.129)

    그래서 그런지 모든 10-20대들은 그런류의 경험은 진짜 안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그이후에 쭉 하게 되더라구요.ㅠㅠ 30대초반도 그렇게 힘들었는데 30대 보다 더 어린친구들은 얼마나 힘들겠어요.ㅠㅠ

  • 3. , , ,
    '25.7.7 9:04 PM (112.172.xxx.74)

    너무 일찍 돌아가셔서 그럴거에요.
    저의 할아버지들이 일찍 돌아가셨고 할머니가 큰아빠 60세 넘어서 돌아가셨는데 난 이제 고아다 그렇게 슬퍼 하셨어요.
    원글님이 행복하고 건강하기만 바라실거에요.

  • 4. 저는
    '25.7.7 9:05 PM (175.196.xxx.62)

    30대에 사랑하는 할머니가 돌아가셨어요
    님과 똑같은 심정이었습니다
    50대에 양쪽 아버지 돌아가셨을 땐 이미 예방주사 맞아서 인생을 실감할 뿐
    이제 마지막으로 양쪽 어머니 돌아가셔도 인정할 것 같아요
    나도 갈 것이고.... 부모도 가시는구나 그 정도
    노화와 죽음을 받아들이게 되는 게 다행입니다

  • 5. 다조
    '25.7.7 9:09 PM (175.208.xxx.193)

    어디서 부모님의 죽음에 큰 충격을 받지 않는 나이가 50대 부터라는 말을 듨은 것 같아요

  • 6. 나무크
    '25.7.7 9:34 PM (180.70.xxx.195)

    너무 일찍 돌아가셔서 그런걸꺼에요. 제가 20대때 절친 부모님이 돌아가셨는데 저도 너무너무 충격적이었거든요..그리고 30대초반 할머니가 돌아가셨을때가 가장 슬펐어요..

  • 7. 그러니깐요
    '25.7.8 12:34 AM (223.39.xxx.104)

    제가 좀 병단지입니다
    뇌혈관도 좁아져가고
    당뇨 고지혈 고혈압

    어떻게든 막내 40살까지는 버텨보려고요
    20살이지만 엄마껌딱지고 우울증 있어서
    제가 일찍 죽으면 안될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1542 아이가 징징거리면 엄마로써 해결해줘야될것 같은 5 .. 2025/08/01 1,156
1741541 위,대장 내시경 동시에 할수있나요? 16 잘될꺼 2025/08/01 2,368
1741540 살빼시고 싶은분들 17 단기간에 2025/08/01 4,941
1741539 90년대로 돌아가면 뭐 하고 싶어요? 17 90 2025/08/01 2,037
1741538 꿰맨 실밥을 안뽑으면? 9 ㅁㅁ 2025/08/01 1,702
1741537 지귀연 휴가 갔답니다. 11 ... 2025/08/01 3,419
1741536 미국 씨티그룹 보고서 한국 관세 협상 평가 32 o o 2025/08/01 5,303
1741535 조국혁신당, 이해민, 관세협상 타결, 고생했습니다. 지금부터가 .. 1 ../.. 2025/08/01 880
1741534 노란 봉투법 설명 부탁드려요 22 .... 2025/08/01 2,845
1741533 혹시 이디야 아메리카노 카페인높나요 7 땅하늘 2025/08/01 1,225
1741532 아이 데리고 해수욕장 갈때 점심은 15 점심 2025/08/01 1,927
1741531 계단 오르기 하다가 무릎 안좋아지신 분 있나요 12 ㅇㅇ 2025/08/01 3,806
1741530 보톡스 내성을 극복하신분은 정녕 없으신가요 ㅠ 6 숙이 2025/08/01 2,505
1741529 올해 할로윈 커스튬은 케데헌이겠네요 3 .... 2025/08/01 1,520
1741528 뒤로넘어져도 코가깨지는 시기에.. 2025/08/01 945
1741527 매달 250만원을 이자로 받는다면 4 이자 2025/08/01 6,714
1741526 당근라페에 아보카드오일 7 당근라떼 2025/08/01 1,207
1741525 에어컨 29도 설정인데 그냥 풀로 돌아갑니다 10 ㅁㅁ 2025/08/01 5,421
1741524 현미밥으로 많이 드시나요? 5 2025/08/01 1,479
1741523 신축2년된 아파트.전세가 안나가요 12 임대인 2025/08/01 4,597
1741522 나라가 힘이 없으니... 6 .... 2025/08/01 3,087
1741521 제발 근종이나 난종 수술하세요. 44 지나다 2025/08/01 16,115
1741520 아침마당 김재원 아나운서 6 ㅇㅇ 2025/08/01 6,213
1741519 인스타그램 9 기분 2025/08/01 1,416
1741518 27살아들이 어두워서 벽에 부딪쳐 안경이 부러지변서 9 급해요 2025/08/01 4,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