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읽기에 관련된 최근 연구

하버드 조회수 : 1,070
작성일 : 2025-06-27 10:38:34
연구 개요

1. 세계 유일의 종단적(장기 추적) 두뇌 연구

이 연구는 영아기부터 아동기까지 뇌 발달을 추적하면서, 문해력 발달 결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한 세계 유일의 종단 연구임.

다른 연구들보다 표본 수는 적지만, 다른 연구들은 대부분 일반적인 뇌 성숙 과정에 집중한 반면, 이 연구는 문해력의 발달과 그 신경기반을 추적함.

2. 읽기 학습과 두뇌 발달

읽기는 다양한 하위기술(예: 음운 인식, 구어 능력 등)이 상호작용하는 복합적 기술임.

**음운 처리 능력(phonological processing)**은 단어 해독과 읽기 능력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행동 지표 중 하나로, 태어나기 전부터 발달을 시작하며, 영아기~유아기 사이에 정교화됨.

연구는 이 음운 처리 능력이 초기 두뇌 발달과 나중의 읽기 능력 사이의 관계를 매개함을 입증함.

3. 기존 인식에 대한 도전

많은 사람들이 읽기 능력은 학교에 들어간 후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자궁 내에서부터 소리와 언어를 처리하는 능력이 형성되며, 이것이 읽기의 기반이 됨.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은 이미 학교 입학 전부터 최적이 아닌 두뇌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이후 학습 문제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임.

연구 방법

MRI 촬영 외에도, 아동의 언어 능력, 인지 능력, 가정 내 언어 및 문해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함.

뇌 발달만이 아니라, 가정 및 환경 요인이 어떻게 아동의 문해 발달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함.

정책적 시사점 및 자금 문제

1. 연구의 교육 및 정책적 의의

이 연구는 기초과학이 교육 실천 및 정책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임.

조기 개입이나 문해력 교육 정책을 임신 후반기 혹은 영유아기부터 고려해야 함을 시사.

2. 연속 추적 불확실성

연구팀은 아동들이 중·고등학교에 진학할 때까지 5년간 추가 추적을 계획했지만, 최근 연방 NIH의 하버드 대상 연구비 삭감으로 인해 중단될 위기.

NIH 심사에서 기금 지원에 적합하다는 점수를 받았지만, 예산 집행이 보장되지 않음.

연구자들은 “이 아이들은 대학에 갈 것이고, 그렇게 되면 우리는 이들을 영원히 잃게 될 것”이라며 안타까움을 표함.

IP : 218.145.xxx.234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나무木
    '25.6.27 10:53 AM (14.32.xxx.34)

    흥미있는 연구네요

    트럼프는 하버드 연구비를 계속 지급 보장하라!!

  • 2. 논문 제목
    '25.6.27 11:02 AM (118.235.xxx.193)

    논문 제목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3. 출생전 ㅎㄷㄷ
    '25.6.27 11:16 AM (211.106.xxx.186)

    출생전부터 음운처리능력을 길러줄 필요가 있다니 ㅎㄷㄷ하네요
    그렇다먄..
    임신중후반기 산모의 읽기 관련 활동을 촉진할 필요도 있는 거고(태교로 책읽기? 오디오북 듣기? 새로운 언어 배우등등등)
    신모의 생뢀환경도 친 문해적으로 조성할 팔요가 있단 거잖아요.

    하아...... 기술은 놀랍게 발전해가지만
    갈수록 될놈될..인 것 같단 느낌이 드는 건
    왤까여...
    쩝.

  • 4. ---
    '25.6.27 11:46 AM (211.215.xxx.235)

    조기 개입이나 문해력 교육 정책을 임신 후반기 혹은 영유아기부터 고려해야 함을 시사.
    ---> 조기 교육이 더 강조되어야 한다는 의미일까요???

    표본이 얼마나 되는지도 중요할것 같구요.. 글쎼요...라는 생각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0578 전국민 다 휠체어 타고 다녀야 되나요? 2 그냥 2025/06/28 1,138
1730577 박영규 부인도 재혼인가요? 6 ㅡㅡ 2025/06/28 4,301
1730576 가끔은 정말 외로운 이민자로서의 생활 21 Park 2025/06/28 5,603
1730575 4박5일 여행 보내준다면 어디로 가시겠어요? 9 추석 때 2025/06/28 1,713
1730574 현재 또람푸의 ICE 동원한 이민자들 추방상황 9 2025/06/28 1,725
1730573 8개월만에 걷기 시작해 돌때 뛰어다닌 여자아이 17 걸음 2025/06/28 4,429
1730572 백화점에서 상품권 쓰고 오니 기분좋아요. 3 ㅇㅇ 2025/06/28 1,771
1730571 분당은 선도지구 때문에 오르는건가요? 6 ... 2025/06/28 1,603
1730570 부동산대출 규제 대통령이 한거 아니래요. 재검토될듯 40 ㅇㅇ 2025/06/28 5,704
1730569 이번 부동산정책 굿 1 00 2025/06/28 1,047
1730568 우리나라 현재 가계부채 상태 4 ... 2025/06/28 1,422
1730567 오겜3가 오겜2보다 많이 별로일까요? 12 ㅇㅇ 2025/06/28 2,229
1730566 나경원의 국회 텐트 캠핑 jpg 33 옘병 2025/06/28 5,358
1730565 집값만 잡아주면 싫었던 사람도 좋아질것임 4 그냥 2025/06/28 1,050
1730564 헬스조선에서 검색되는 명의 4 궁금 2025/06/28 1,433
1730563 강남등 집값 올라서 배아픈 사람 많나봐요 53 ㅇㅇ 2025/06/28 4,487
1730562 이재명은 약삭빠르고,용의주도 해서 쉽지 않을듯 22 글쿤요 2025/06/28 4,222
1730561 신시도 1박 3식 민박집 좀 추천해 주세요 4 미즈박 2025/06/28 1,327
1730560 벽걸이 에어컨 바람이 안 시원해요. 5 .. 2025/06/28 1,619
1730559 우리영화 전여빈 말고 19 2025/06/28 4,741
1730558 결국 전세대출이 관건 7 2025/06/28 1,796
1730557 국가 기관들도 다 세종으로 내려와야 할것같아요 31 .. 2025/06/28 3,672
1730556 성경리폼만 하는 (집에서하는)공방을 해볼까합니다 21 야심찬여자 2025/06/28 2,238
1730555 미숫가루 추천해주세요! 3 궁금 2025/06/28 1,103
1730554 수박껍질 요리 8 ..... 2025/06/28 1,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