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신도시 살면서 자녀 지역 내 과밀학교 보내기 vs 멀리 이웃지역 학교 보내기

ㅇㅇ 조회수 : 849
작성일 : 2025-06-20 14:03:09

신도시에 살면서 자녀를 멀리 이웃동네 학교로 보내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모 신도시는 젊은 사람이 많아서 육아와 사교육에서 편리한 점이 많지만

학생수가 많아서 과밀학급으로 고통을 받는다고 하더군요. 

학교를 더 늘려야하는데 학생수 감소 이슈로 학교 신설이 안되다보니 구도심지역에서 학교를 옮기거나 폐교를 시켜줘야 해서

학교 늘리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린대요

 

그런 상황에서 대중교통으로 30분 이상 걸리는 이웃지역 학교로 자녀를 진학시키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그 이웃지역은 학생수 감소로 학급수가 줄어들고 있는데

학급 당 학생수 20명 정도로 쾌적하다는 장점이 있고

역사가 오래된 사립고등학교들이 꾸준히 진학성적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

그리고 신도시의 공립학교보다 상대적으로 내신경쟁이 덜하다는 점이 

진학시 좋은 점으로 받아들여지는가보더군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매일 아침 출근길에 고등학생 자녀 차에 태워서 학교까지 데려다주는 거

아무리 같은 방향이라지만 쉬워 보이진 않던데

 

IP : 58.239.xxx.234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넝쿨
    '25.6.20 2:14 PM (118.235.xxx.245)

    과밀학급이 내신받기 좋죠

  • 2. ㅇㅇ
    '25.6.20 2:21 PM (58.239.xxx.234)

    넝쿨님
    비슷한 조건이면 그럴건데
    중학생들 공부수준이 차이가 꽤 나나봐요.
    신도시지역이 공부를 더 잘하고 이웃의 구도심은 공부를 못하고
    그런데 대입진학성적은 구도심 사립학교들이 좋고

  • 3. 아마
    '25.6.20 2:22 PM (175.211.xxx.92) - 삭제된댓글

    학생수가 많아야 내신받기 좋은데요???
    게다가 초등도 아니고 고등이 그런 이유로 전학을 하지는 않죠.

    아마 밝힐 수 없는 전학의 사유가 있을 거라는 게 오히려 납득할 만할거 같은데요.

  • 4. 넝쿨
    '25.6.20 2:37 PM (118.235.xxx.101)

    고등학교는 그정도 멀리가는건 흔해요
    그 아이도 전략적으로 간듯요

  • 5. ㅇㅇ
    '25.6.20 2:38 PM (58.239.xxx.234)

    전학을 하는 게 아니라 진학이요. 입학원서에 1지망학교를 이웃지역 학교로 쓴다는 거에요. 내신을 안정적으로 받는 건 학교 규모가 클수록 유리한 게 맞는데 그 동네 사립고가 10년전까지만해도 한 학년 15학급이 넘어가던 큰 학교래요. 학생수가 많이 줄긴했어도 한 학년 200명은 넘고. 그런데 그 지역 중학생들은 공부를 잘못하고. 그렇다더라고요.

  • 6. .....
    '25.6.20 4:42 PM (211.234.xxx.244)

    고등학교는 전략적으로 멀리 가는 경우도 꽤 있어요.
    데려다 주고 데려오는 게 힘들긴 한데
    본인이 감수한다는 거면 뭐...

    저는 직장 다녀서 등하교 라이드는 못 하겠어서
    그냥 동네 성적 좋은 대신 학생수 적은 동네 학원 보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9773 참새가 젤 좋아하는 먹이는 뭘까요? 19 2025/07/27 2,548
1739772 미국에서 선물 들고 오는 거요... 21 ... 2025/07/27 4,138
1739771 젊은 부부들 참 이쁘네요 3 ~~ 2025/07/27 4,126
1739770 비트를 깍두기에 넣었더니 점액질이 생겼어요 3 텃밭 2025/07/27 677
1739769 오늘 식당 카페 마다 북적이네요. 6 마중물 2025/07/27 2,521
1739768 저는 이종석이 좋아요 22 ㅇㅇ 2025/07/27 3,453
1739767 정말 빡세고 난이도 극상이었던 저의 출산 및 육아 후기.. 6 .. 2025/07/27 1,815
1739766 옷에깃든 추억때문 못버리겠어요 9 ㅇㅇ 2025/07/27 1,389
1739765 7.8월에 바캉스 안가시는분들 계세요? 18 ... 2025/07/27 3,866
1739764 고무줄 바지 느슨하게 만들 수 있나요 6 고무줄 2025/07/27 1,214
1739763 OECD에서 법인세 가장 높은 나라는 일본입니다 5 ㅇㅇ 2025/07/27 687
1739762 에어컨 실외기가 옥상에 있으면 뜨거울때 못트나요? 5 ㅇㅇ 2025/07/27 1,891
1739761 와우... 날씨가... 7 ㅠㅠ 2025/07/27 3,110
1739760 고등때 유학(영어를 잘하고 싶어하는 아이) 21 .. 2025/07/27 1,821
1739759 오늘 횡단보도에서 기다리는데 5 덥다 2025/07/27 2,192
1739758 지하철역에 누워있는 분들 18 지하철 2025/07/27 3,937
1739757 자동차 검사는 예약 안 하면 못하나요? 13 검사 2025/07/27 1,162
1739756 명절마다 김대호네 처럼 모이는 것 좋은 사람 있어요? 29 명절 2025/07/27 4,187
1739755 스파게티소스 빈병 전자렌지 돌려도 되나요? 8 지나다 2025/07/27 1,364
1739754 코스트코에서 안심 사다가 7 ㅇㅇ 2025/07/27 2,462
1739753 된장찌개 얼려도 될까요? 8 ... 2025/07/27 1,066
1739752 나는 솔로 할아버지 아줌마들 같아요 10 2025/07/27 3,764
1739751 당뇨가 유전인가요? 10 남편이 2025/07/27 2,511
1739750 최욱이 정원오 성동구청장과 직접 통화한 거 보셨어요? 23 ... 2025/07/27 3,549
1739749 수원대, 고교생 미술대회서 “추락 직전 기장 얼굴 묘사하라” 물.. 11 123 2025/07/27 4,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