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는 엄마 돌아가시면 후련한 기분 들까 겁나요

몰라 조회수 : 4,460
작성일 : 2025-06-19 21:45:46

뭔가 한숨 쉬면서 이제 안전하다?고 느낄지도요.

 

가족 내에 만만한 게 여자 자식인 거 같아요 

아들처럼 완력이 세지도 않고 

동성이니까

자꾸 자기 좋을대로 동일시 하면서 괴롭히고..

IP : 118.235.xxx.114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6.19 9:50 PM (58.121.xxx.89)

    저도 엄마의 감정쓰레기통 착취학대의 대상 조롱의 대상이었어요 엄마 돌아가셔도 눈물이 안날것같아서 친척들이 역시 나쁜년이었다고 욕할까 겁남요

  • 2. ㅋㅋㅋㅋ
    '25.6.19 9:53 PM (118.235.xxx.6)

    똑같아요 ㅋㅋㅋㅋ 엄마한테 하도 희망 고문 당해서... 절연하고 악에 받친건데 엄마가 남들한테는 천사예요

  • 3. 엄청
    '25.6.19 9:54 PM (172.225.xxx.239)

    후련하고 내 인생에 자유를 찾은느낌이예요

  • 4. ㅇㅇ
    '25.6.19 9:57 PM (118.235.xxx.110) - 삭제된댓글

    저도 감정쓰레기통 화풀이 대상 조롱 질투 견제 엄청났고
    필요할 때는 살랑거리며 이용해먹고
    자기 의무 다 저한테 떠넘기고...

    외가집에 이모들만 넷 있는데
    거기다가 자기 좋을대로
    저만 싸가지 없는 문제아로 만들어놓고

    이모들은 또 내 얘기 들어본 적도 없고
    우리 집에서 내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 본 적도 없으면서
    이미 나를 판단하고...

    잔인한 학폭과도 같은 걸 가정에서 당하고 산거죠

    언제쯤 엄마 마음에 들 날이 올까요 라는 책에
    이런 구절이 나옵니다

    '지옥에는 나르시시스트 엄마를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다' 고요
    저도 모르게 아멘을 외치게 되더군요

  • 5. 82보면
    '25.6.19 10:08 PM (125.178.xxx.170)

    너무 착한 딸들 많아요.
    못된 엄마들, 성인 돼서도
    다 참고 응해주는 것 보면요.

    근데 어린 시절 트라우마로
    자기도 모르게 그렇게 된다면서요.
    정말 낳아준다고
    다 부모는 아닌 게 느껴집니다.

    사랑 준 부모 아닌 이상
    후련한 기분 드는 것 당연한 거예요. 원글님.
    미리 죄책감 버리세요.

  • 6. ...
    '25.6.19 10:08 PM (118.235.xxx.148)

    쓰고 지운 님도 계신데 휴 가끔 이렇게 익게에서라도 비슷한 분들 만나면 내 엄마가 저기도 있나 싶네요
    이모들이랑 그러는 것까지. 아직도 귓가에 저 조롱하는게 선하고요. 전 그게 관심 가져주고 그냥 놀리는 거라고 생각했었죠.
    후련하시다는 분도 다행입니다.

    뭐가됐든 제가 좀 편한 마음으로 살았으면 좋겠어요 엄마에 대한 생각조차 안 나게

  • 7. 진진
    '25.6.19 10:12 PM (169.211.xxx.228)

    부모뿐 아니라 남편 죽고도 홀가분한 사람 많아요
    굳이 나 세상 홀가분하다고 떠들고 다닐 필요도 없지만
    그런 자신에게 죄책감 가질 필요는 더욱 없어요

    홀가분함이 찾아온 내 시간을 소중하게 여기고 삶을 즐기세요

  • 8. ..
    '25.6.19 10:19 PM (58.121.xxx.89)

    엄마가 이모 외삼촌들이 많은데
    모든 친척들이 저를 다 미친 썅년으로 알아요
    저혼자만 잘먹고 잘산다고
    엄마한테 육체적 정신적 물질적으로
    뜯길만큼 뜯겼고
    온갖폭행이란 폭행은 다 당해봤고
    아마 성폭행빼고는 다 당해본듯(엄마가 여자라서 다행)
    그런건 이모들이 전혀 몰라요
    저만 나쁜년이죠
    지금은 그냥 거리두고 살아요
    욕을 너무 많이 먹어서 저 200살까지 살까봐 겁나네요

  • 9. ,,,,,
    '25.6.19 10:48 PM (110.13.xxx.200) - 삭제된댓글

    저희 자매도 그렇게 감쓰로 몇십년을 살았네요.
    그런줄도 모르고..
    얼마전 얘기했어요. 그얘기 40년을 들었다고. 암말 못함.
    안본진 한참이에요. 가물에 콩나듯 통화만 함.
    부모죽으면 눈물은 안나올듯. 죽을때가 됐나보다 정도.
    애비는 더한ㄴ이라..

  • 10. ,,,,,
    '25.6.19 10:49 PM (110.13.xxx.200) - 삭제된댓글

    저희 자매도 그렇게 감쓰로 몇십년을 살았네요.
    그런줄도 모르고..
    얼마전 얘기했어요. 그얘기 40년을 들었다고. 암말 못함.
    엄마생각하면 성질 불같고 히스테리부린 기억만.
    안본진 한참이에요. 가물에 콩나듯 통화만 함.
    부모죽으면 눈물은 안나올듯. 죽을때가 됐나보다 정도.
    애비는 더한ㄴ이라..

  • 11. ....
    '25.6.19 10:54 PM (122.36.xxx.234)

    홀가분하면 어때서 왜 죄책감을 느끼나요? 괴롭히던 사람이 사라져서 자유가 됐는데도 정작 본인은 그분의 망령에 계속 사로잡혀서 내 마음의 소리를 외면하시게요?
    슬픔과 애틋함은 생전에 좋은 부모를 가진 사람들의 몫입니다. 좋은 부모가 애도 받을 자격이 있고요.
    저는 돌아가신 아버지는 애틋하고 마음으로 계속 애도하고 있지만, 살아계신 어머니께는 나중에 그러지 못할 것 같아요. 나르시시스트에 자식을 통제하려는 성향이라 자식들이 아직까지도 정신적으로 힘들어요. 저희도 형제들끼리 '돌아가셔도 눈물 안 날 거다'고 얘기해요.

  • 12. 시고모님이
    '25.6.20 12:01 AM (182.211.xxx.204)

    치매를 앓아 요양병원에 한참 계시다 돌아가셨어요.
    평생 고생만 하시다 가셔서 넘 안되셨는데
    아들 며느리가 장례 치르는 날 표정이 너무 밝고
    후련해하는게 보이더라구요.
    시고모님도 안되셨고 아들 며느리 입장도 이해되고
    안타깝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5144 미국에서 수술로 아이 낳으면 비싼가요? 7 ㅇㅇ 2025/07/13 2,008
1735143 강선우 가족, 강서구 아닌 종로구 거주… ‘총선용 위장전입’ 의.. 17 양파네 2025/07/13 5,165
1735142 항암 후 곱슬머리 됨 10 희한 2025/07/13 3,072
1735141 헉 찐감자로 부침개했는데 맛있어요! 7 오호 2025/07/13 4,144
1735140 흰색롱치마, 면40+폴리60과 폴리100프로 둘중 뭐가더좋.. 2025/07/13 885
1735139 유럽 여행상품 좋았던 여행사? 26 ㅡㅡ 2025/07/13 3,568
1735138 엄마는 알아요 5 친정엄마 2025/07/13 2,847
1735137 나가서 돈 벌게 된 계기 23 너도참 2025/07/13 13,909
1735136 오랜만에 앙금쿠키 먹으니 맛있네요 1 ㅁㅁ 2025/07/13 999
1735135 상한 가지무침을 먹었는데요 4 배탈 2025/07/13 1,733
1735134 비오는날 파마 4 비오는날 2025/07/13 1,311
1735133 남초사이트에 가보니까 이번 병무처장 여성 기용에 대해 난리가 났.. 39 ........ 2025/07/13 5,612
1735132 샤넬 재킷있는 분조언좀 6 ㅎㅎ 2025/07/13 2,119
1735131 대범한 성상납+엄청난 돈+욕망 제시 겠죠? 1 ㅇㅇㅇ 2025/07/13 2,533
1735130 초2 학원 레벨테스트 5 초등 2025/07/13 852
1735129 해외 자유여행갈때 고민되는게 11 ㅎㄹㄹㄹ 2025/07/13 2,287
1735128 이사선물로 받은 화분이 죽으려고 해요 6 식물 2025/07/13 1,145
1735127 자식이나 조카가 비호하는 유툽을 볼때 그냥 2025/07/13 633
1735126 식집사님들 .. 2025/07/13 542
1735125 지피티 한테 무섭다고 할 상황은 아닌거 같아요 1 ㅇㅇㅇ 2025/07/13 1,287
1735124 '교육격차 해소' 이진숙 두 딸, 초고가 '귀족학교' 30 ㅇㅇ 2025/07/13 4,818
1735123 혼자 부산여행 왔는데 비가 많이 오네요T.T 10 프리지아 2025/07/13 3,389
1735122 전통 육수 - MSG 육수 차이점 4 2025/07/13 1,737
1735121 수원 영통 철학관 알고 싶어요 1 00 2025/07/13 1,367
1735120 이정재 14 다이어트 2025/07/13 4,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