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물리학과 vs 신소재공학과?

조회수 : 1,278
작성일 : 2025-06-12 19:43:25

A대학


1.  이과대학 총 6개학과(193명 모집),  이과에서 모집인원 (4명선발):  그 중 물리학과 10명지원 (전년도)
2.  공과대학 총 8개학과(623명 모집), 공과에서 모집인원 (14명선발): 그 중 신소재학과 18명지원 

입결이 공과대학이 더 높다고 생각해서, 이과대학을 지원할까 하는데, 공대 모집인원수 차이가 많이 나는점과,

가고자하는 과는 신소재학과인데, 합격하기위한 전략이 1번 물리학과 또는 2번 신소재 어디로 지원하면 좋을까요?

숫자나, 지도 못 보는 아줌만데,  
선택을 못 하겠네요. ㅜㅜ



 

IP : 116.96.xxx.91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6.12 7:50 PM (182.221.xxx.34)

    물리를 잘하면 물리학과 가고, 둘다 잘하면 신소재 가면 되고요
    신소재는 물리를 많이 하지만, 화학을 조금 더 많이 한다고 하네요
    적성에 따라 가세요
    물리고 신소재고 학부 졸업이면 취업도 비슷한 곳에 해요

  • 2. ..
    '25.6.12 7:53 PM (39.118.xxx.199)

    취업을 위해선 당연히 신소재학과를 가야죠.
    조카가 고대 신소재 나와 하이닉스 바로 입사했고
    한양대 신소재 4학년인 지인 아들은 대학원 간다더군요.

  • 3. ..
    '25.6.12 8:33 PM (182.220.xxx.5)

    취업은 신소재가 나을텐데
    요즘 취업도 어려워서...

  • 4. ..
    '25.6.12 8:34 PM (182.220.xxx.5)

    전 본인이 원하는 곳 가서 학교 다니면서 커리어 패스 고민하라고 하겠어요.

  • 5. ㅇㅇ
    '25.6.12 8:37 PM (58.29.xxx.20)

    작년에 제가 수시 모집할때 아이가 가고 싶은 과는 컴공이었지만, 합격 확률을 높이기 위해 같은 대학 기계공으로 썼었어요. 우리가 쓰려는 대학은 컴공 인원이 5명, 기계가 20명 넘는 지라 차이가 나는 상황이었고요, 합격 했습니다.

    그러나 수시 모집시 학종으로 쓰실때 그렇게 하셔도 되지만, 숫자 너머에 있는 것을 봐야 하므로 물리로 바꾼다고 꼭 합격 확률이 올라가는 것은 아니에요. 내신 숫자만 보는 것도 위험 하고요.
    우리 아이 경우는 컴공이 뽑는 인원이 훨씬 적고 경쟁률도 훨씬 높았기 때문에 과를 트는 것은 괜찮았던 거에요.
    특히 최상위권 대학의 경우는 이과대라고 지원자 스펙이 공대 지망보다 결코 뒤지지 않아요.
    잘 알아보시고 심사숙고해서 결정하세요.

  • 6. ….
    '25.6.12 9:38 PM (14.162.xxx.168)

    합격을 목표로, 입결이 높은곳? 또는 입결 살짝 높더라도 더 많이 뽑는곳? 어디가 나을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5952 새로운 출발 교민 2025/07/16 569
1735951 고사리 식물은 다 너무 예쁜거 같아요 9 ㅇㅇ 2025/07/16 1,511
1735950 푸바오가 얼음을 껴안고 있는 걸 보니 귀엽네요 9 ㅁㅁ 2025/07/16 1,962
1735949 파파고에 예문으로 나온 문장들 ㄱㄴ 2025/07/16 460
1735948 참사 유족들에 고개 숙인 이 대통령 "오래 기다리셨다,.. 16 0000 2025/07/16 3,110
1735947 김밥 너무 좋아요 5 ㅇㅇ 2025/07/16 2,960
1735946 4억 주택담보 대출이면 이자 얼마인가요? 2 장미 2025/07/16 2,448
1735945 강선우 "나 국회의원이야"…코로나 때 병원 갑.. 24 ... 2025/07/16 5,573
1735944 옥수수 추천 강력히 원합니다 22 ... 2025/07/16 3,396
1735943 기존 소파를 다이닝 소파로~ 2 좋아좋아 2025/07/16 880
1735942 튀김가루만 있는데 김치전 가능 할까요? 9 지글지글 2025/07/16 1,428
1735941 대파 이수정이 올린 글.jpg 4 세상에 2025/07/16 3,074
1735940 타임슬립 주제 8 왓차나 넷플.. 2025/07/16 709
1735939 여름과일 맛있어요 5 ,, 2025/07/16 2,051
1735938 소소한 40대 후반 다이어트, 어디까지 해봤니? 11 ... 2025/07/16 2,493
1735937 이진숙 교육부 장관후보 9 그냥 2025/07/16 2,234
1735936 러시아 인구 위기 여성들에게 8명의 자녀 장려 2 링크 2025/07/16 1,424
1735935 전원주택이나 시골방에 작은벌레들 어떻게 하나요 3 벌레 2025/07/16 1,186
1735934 조카가 하늘나라로 갔어요. 47 wits03.. 2025/07/16 31,152
1735933 시판 칼국수 맑게 끓이는 비법 있는지요? 6 집에서 2025/07/16 1,510
1735932 여성전용 고시텔이요.. 7 .. 2025/07/16 1,830
1735931 망고시루 맛이 있네요? ! 2 tjdtla.. 2025/07/16 2,101
1735930 사는 복숭아마다 다 실패네요ㅜㅜ 18 요새 2025/07/16 2,545
1735929 수면용 귀마개 추천 부탁드려요 5 .. 2025/07/16 529
1735928 베트남 현지인 폭행한 한국여성 27 ... 2025/07/16 5,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