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50대 중반 석사학위 따는거 의미있나요?

ㅇㅇ 조회수 : 3,120
작성일 : 2025-05-19 22:20:56

남편이 70년생인데 커리어는 굉장히 좋아요.

이제 은퇴 가까워오니 뜬금없이 mba하겠다네요.

비슷한 커리어를 쌓은 동료들이 석사  학위로

대학에서 강의하거나

전문대 교수로 가는걸 보고

은퇴해서 경비나 택시운전하느니

이제라도 석사를 따서

대학에서 강의하며 살겠다는건데

현실성있나요?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IP : 58.229.xxx.92
3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5.19 10:26 PM (59.30.xxx.66)

    보통 서울 시내 대학 강의도 박사 학위가 있어야 할 수 있던데
    석사 갖고 대학 강의 가능해요?
    아마 경력이 많아서 그런 가요?

  • 2. ....
    '25.5.19 10:26 PM (24.66.xxx.35)

    꿈 깨라고 하세요.
    젊은 박사들도 넘치고 넘치는데 중늙은이 석사를 누가 써 준대요.
    교통비 정도 받으면서 재능기부라면 모를까?

  • 3.
    '25.5.19 10:27 PM (59.26.xxx.224)

    박사가 넘쳐서 시간강사도 다 박사일텐데요. 전문대 시간강사도 박사수료쯤은 해야 돼는건 아닌가요? 집에서 노는 박사 차고 넘친지 수십년 됐어요.

  • 4. ㅇㅇ
    '25.5.19 10:32 PM (58.229.xxx.92)

    요즘은 젊은 박사보다
    실무에서 경력쌓은 사람들을 좋아한다고
    실제로 동료들도 전문대 교수정도는 어렵지 않게 간다고요.
    요즘 트렌디한 분야이기는해요

  • 5. ..
    '25.5.19 10:34 PM (1.240.xxx.179)

    박사도 강의 쉽지않아요..

  • 6. 진진
    '25.5.19 10:38 PM (169.211.xxx.228)

    포항공대 교수도 정년퇴임하고는 집에 계시던데요

  • 7.
    '25.5.19 10:40 PM (59.26.xxx.224)

    그렇담 한번 해보라 하세요. 금융 그런쪽인가요?

  • 8.
    '25.5.19 10:44 PM (59.30.xxx.66)

    해외 박사해도 전문대 교수 되기도 힘들지만
    전문대를 애들이 안가서 전문대가 문을 닫는 추세이죠


    2학기되면 실업계고등학교를
    전문대 교수들이 돌면서
    고3 담임한테 애들을 전문대에 보내 달라고
    다녀요
    강의는 뒷전이고 실업계로 홍보 다니느라 정신 없이 바빠요

    교수 한명당 할당해야 할 인원수도 있었어요
    입학할 애들을 못 채우면
    교수들의 월급 삭감도 있다고 했어요
    말이 교수지 홍보하러 다니는 잡상인 같아요ㅠ

    지금은 아마 더 할 것 같네요
    지방은 더 심하고
    그래서 대학 통폐합이 많이 이뤄지고 있어요.

  • 9. kk 11
    '25.5.19 10:47 PM (114.204.xxx.203)

    삭사로 무슨 강의를 해요
    젊은 박사도 널렸는데 ..

  • 10. 특수분야인가요
    '25.5.19 11:05 PM (222.100.xxx.51)

    저 대학에서 강의하는데 박사학위 없으면 요새는 수업 안줘요.
    제가 모르는 특임교수 이런게 있으려나요.
    특정 경력을 높게 쳐주는..
    석사로 교수 되기는 쉽지 않을 거에요.

  • 11. ㅇㅇ
    '25.5.19 11:15 PM (58.229.xxx.92)

    네. 말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 12. 혹시
    '25.5.19 11:16 PM (59.30.xxx.66)

    대학에 있는 평생 교육원인가요?

    그런 곳은 연예인도 강의하던데

    그건 박사 아니여도 강의 줄걸요?

  • 13. ..
    '25.5.19 11:23 PM (112.146.xxx.132) - 삭제된댓글

    현실성 없다고 하지말라 못할듯해요

  • 14. 저는찬성
    '25.5.19 11:33 PM (211.209.xxx.141)

    해보라고 하세요
    일단 배우고 학위따두면 마이너스는 아니고
    윗분들은 정식 교수 코스를 말씀하시니 어렵다는 거지만
    겸임교수 등 자리 꽤 있어요
    물론 경력이 굉장이 괜찮아야겠죠
    저라면 해보라고 하겠어요 나쁜일도 아닌데

  • 15. 오타
    '25.5.19 11:35 PM (211.209.xxx.141)

    굉장히 ㅎㅎ
    그리고 실제로 저도 특임교수 겸임교수 무슨무슨 교수 등
    정식 코스밟은 케이스 아닌 경우 많이 봤어요
    학문하시는 분들과는 다른 경로가 분명 있더군요
    실용과 학제를 결합하여 강의하는 경우 있어요

  • 16. 확실
    '25.5.19 11:52 PM (1.237.xxx.181)

    요즘이 아니라 꽤 오래전부터
    거진 10년전부터
    박사학위 없음 강의 안 줘요

  • 17. 아주버님
    '25.5.20 12:42 AM (121.168.xxx.246)

    아주버님이 50대 석사하시고 뒤늦게 박사 쭉.
    친구들 골프칠 때 공부하시더니 대학에서 겸임교수?라는 직함받고 학기당 2- 3과목 강의하세요. 지방대학교이긴 하지만요.
    요즘 행복하다 하시거든요.
    인기과들은 수요가 부족해 가능합니다.

  • 18. 의미
    '25.5.20 1:27 AM (121.147.xxx.48)

    여기는 예전부터
    공무원시험 도전해볼까요?
    대학원 가도 될까요?
    로스쿨 가고 싶은데요
    이런 식으로 남들보다 늦었지만 인생을 바꿀 도전을 하고 싶다는 글들이 올라올 때마다
    아서라 말아라 꿈깨라 안뽑는다 젊은 애들도 못한다 해봤자 전망없다 돈못번다 요양보호사나 해라 운동이나 하는 게 남는 일이다...이런 식으로 초치고 끌어내리려는 현실적인 분들이 많습니다. 가족 중에서도 그런 분들이 있죠.
    원글님은 남편분께 그런 가족이 되지 않으셨으면 해요.
    그런 사람들의 현실적인 이야기들만 듣다가는
    우리는 아무 것도 이룰 수 없어요. 그저 숨만 쉬며 순응하고 살게 됩니다. 그러다가 어느날 문득 용기있게 도전하고 노력해서 성취한 사람들을 보며 처절한 후회를 할 뿐이죠.
    도전해서 안 될 이유를 굳이 찾아주려 하는 사람을 가까이 두면 긴 인생에 좋을 게 하나도 없습니다.

  • 19. 현실
    '25.5.20 1:44 AM (118.235.xxx.223)

    박사학위 없으면 요새는 수업 안 줘요.22

  • 20. ㅁㅁ
    '25.5.20 2:12 AM (211.62.xxx.218)

    분야가 특수하면 좀 달라요.
    저는 학사지만 객원교수로 꽤 오래 강의했고 학교에서 석사 하시면 정식 임용 가능하다고 했는데 애들 가르치는거 체질에 안맞아서 그만뒀습니다.
    교수자리와 상관없이 계속 공부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지만 (영국쪽 2년 정도) 건강문제로 포기.
    30대때 얘기지만 50대라도 상관없는 상황이었고요,

  • 21. 여기에
    '25.5.20 3:03 AM (221.146.xxx.162)

    묻지마세요
    다수결로 정하실건 아니죠?
    남편하고픈대로 두세요
    공부와 투자 경험 뭐 다 좋은거죠
    님편이 하고싶어한다. 이게 일번이죠

  • 22. 비슷한입장
    '25.5.20 3:51 AM (86.164.xxx.188)

    저는 제가 일한 분야에서 20년 이상된 경력자인데 제 분야 석사 도전하고 있어요. 예전 회사에 박사까지 공부한 동료가 있었는데 저보다 연봉이 낮았더라구요. 회사에서 감사하게도 경력자를 더 우대해준거죠. 그런데 그 동료 지금은 대학에서 조교수되어 강의도 하고 일도 하는 모습보니 부럽기도 했고, 나도 내가 필드에서 익힌 경험들을 나눠주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아직 갈길은 멀고 과연 나도 강단에 서서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는 기회가 들어오기나 할까나 하는 막연함도 있지만 그래도 열정을 갖고 공부하고 있네요. 비록 머리도 잘 안따라와주고, ㅠㅠ 젊은 친구들의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발맞출 수는 없어서 서글프지만, ㅠㅠ 교수님이 제가 쓴 에세이에 쓴소리를 해대서 우울하기도 했지만 ㅠㅠ 그래도 나만의 강점인 필드경험들을 나누면서 공부하고 있어요. 그런 경험들을 같이 공부하는 친구들은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더군요, 논문도 제 경력과 이론을 접목한 나만이 쓸 수 있는 논문을 쓰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구요. 저라면 남편분 하고 싶다면 응원할 것 같아요.

  • 23. ..
    '25.5.20 5:43 AM (1.235.xxx.154)

    MBA를 지금하신다구요?
    50대는 아니지않나요?

  • 24.
    '25.5.20 6:26 AM (14.5.xxx.216)

    대학에서 경력자한테 강의 맡기는 제도가 있어요
    자격조건이 까다로워요 1급이상 고위공직자 전문경력 20년이상등등
    요건을 충족하면 정부 지원으로 강사로 고용하는거죠
    그외에 석사경력으로 강의하려면 특수한 경력이 있어야하죠
    박사수료없이 강의하는건 현실적으로 힘들죠
    인맥이 탁월하지않는한

  • 25. 지방
    '25.5.20 6:56 AM (140.248.xxx.1)

    산학전담교수라고 기업체 견력 20년이상이면 뽑는 데 있어요
    가르치려면 석사는 있어야 할 거고요
    해보시라 하세요

  • 26. 영통
    '25.5.20 7:27 AM (106.101.xxx.69) - 삭제된댓글

    남편이 50대 중반 석사 마치고
    지금 박사 공부 중..거기에 자격증 공부 중
    60대 초반에 퇴직할 준비 중이라

    저도 동갑으로 퇴직 후 할 일 위해 개인 공부 중
    장년들도 시니어 되기 전에 공부하면 좋죠
    시대가 급변이라

  • 27. 영통
    '25.5.20 7:29 AM (106.101.xxx.69) - 삭제된댓글

    남편이 50대 중반 석사 마치고
    바로 박사 공부 중..거기에 자격증 공부 중
    60대 초반에는 퇴직할 준비 중이라

    저도 동갑으로 퇴직 후 할 일 위해 개인 공부 중
    장년들도 시니어 되기 전에 공부하면 좋죠
    지금 시대가 급변 시기라..

    배움에 방심하면 나이 들어서 좀 모른다가 아니라
    까막눈 되는 시기인 거 같아요.

  • 28. 영통
    '25.5.20 7:32 AM (106.101.xxx.69) - 삭제된댓글

    남편이 50대 중반 석사 마치고
    바로 박사 공부 중..거기에 자격증 공부 중
    박사는 논문 안 쓰고 수료에만 만족하기로..
    60대 초반에는 퇴직할 준비 중인데 재취업과 강의 관심 있구요

    저도 동갑으로 퇴직 후 할 일 위해 개인 공부 중
    대학 1년 학비인 1천만원은 노후 대비 공부에 쓸 마음이에요
    장년들도 시니어 되기 전에 공부하면 좋은 게
    지금 시대가 급변 시기라..

    배움에 방심하면 나이 들어서 좀 모른다가 아니라
    까막눈 되는 시기인 거 같아요.

  • 29. 영통
    '25.5.20 7:33 AM (106.101.xxx.69)

    남편이 50대 중반 석사 마치고
    바로 박사 공부 중..거기에 자격증 공부 중
    박사는 논문 안 쓰고 수료에만 만족하기로..
    60대 초반에는 퇴직할 준비 중인데 재취업과 강의 관심 있구요

    저도 동갑으로 퇴직 후 할 일 위해 개인 공부 중
    대학 1년 학비 금액 돈 정도를 내 노후 대비 공부에 쓰자 마음이에요
    장년들도 시니어 되기 전에 공부하면 좋은 게
    지금 시대가 급변 시기라..

    배움에 방심하면 나이 들어서 좀 모른다가 아니라
    까막눈 되는 시기인 거 같아요.

  • 30. 해보세요
    '25.5.20 7:48 AM (218.154.xxx.161)

    사람 일이 어찌될지 모르고 특수분야라면 남편이 더 잘 알겠죠.
    저는 마흔 중반에 석사하거든요.
    50되기 전에 마무리하려고 오랜시간 벼르던 거 학교 다니고 있습니다. 저는 추천

  • 31. ...
    '25.5.20 8:09 AM (119.192.xxx.12)

    굳이 유명 대학 아니더라도 요즘 학교들 진짜 많아요. 교육원에서 시니어를 대상으로 가르치는 교수님이 될 수도 있죠. 길은 만드는 겁니다.

  • 32. .......
    '25.5.20 8:15 AM (211.195.xxx.189)

    여기는 부정적인 마인드의 사람들이 많은곳.
    70-80대 늙은이도 아닌데 은퇴후 준비를
    지지해주시는 현명한 배우자이시길 바래요.
    노년이 깁니다.

  • 33. ...
    '25.5.20 8:18 AM (1.237.xxx.240)

    평생교육원 같은 곳에서 강의 할 수도 있죠

  • 34. 초치는게아니라
    '25.5.20 8:28 AM (218.147.xxx.180) - 삭제된댓글

    주어진 정보가 제한적인데 어느 회사인지는 몰라도
    50대 mba는 어려운거 아닌가요?석사까지하고서 박사한다하는거면 모를까 ;;

    부정적인게 아니라 50대에 기술이나 공대관련도 아니고
    Mba는 좀 그렇죠 저희남편도 석사로 산학교수 2년다녀왔는데 그게 진짜 특수성으로 회사에서 배려해준거고 계속 교수로 남는 분들은 회사은퇴가 조건이고 계약직인데다가 박사에요

    평생교육원 이런곳은 인맥이 있거나 그래야;;
    노년이기니까 기술사 이런걸하죠
    차라리 그쪽학문이 좋았는데 미련이남았다면 응원하는데
    교수는 쫌

  • 35. ..
    '25.5.20 8:51 AM (124.53.xxx.39)

    분야에 따라 다르겠지만
    언론대학원 같은 특수대는 실무 경력 오래된 교수님들 있었어요.
    대신 경력이 누가 들어도 알만해야 하긴 한데, 그렇다고 되게 좋지도 않았어요.
    은퇴하고 강의하려고 석사 학위 받으러 다니시는 분도 계셨고요.
    강사나 마찬가지긴 하지만 은퇴하고 일하기에 좋은 자리 같아요.

  • 36. ----
    '25.5.20 9:26 AM (211.215.xxx.235)

    실무 경험이 풍부해도 보통 박사따야 시간제 강의라도 가능해요. 하지만 인맥좋고 평소 강의실력도 좋고 현업 경험이 풍부하다면 불가능한건 아니지요. 그리고 석사하라고 밀어주세요. 준비된 자에게만 기회가 오니까요. 석사하면서 인맥도 더 쌓을수 있고, 어디서 어떤 기회가 올지 모르죠. 경제적 부담이 크지 않은 상황이라면...석사 정도는 밀어주세요

  • 37. ***
    '25.5.20 10:45 AM (110.70.xxx.129)

    남편 50대에 석박했는데 강의는 몇번했어요 그런데 사외이사등등 신청할때 도움이 되더라구요 현재 직업과 관련된 일을 할때는 도움되는건 확실해요

  • 38. 동글이
    '25.5.20 2:14 PM (106.101.xxx.37)

    사람일 몰라요. 커리어가 좋으시다니
    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7547 40후반 다시 산다면 뭐 하실래요? 15 한가 12:55:55 1,934
1717546 상추쌈밥 알려주신 moon님의 블로그나 sns를 아는 분 계실.. 3 그토 12:55:31 984
1717545 유사성매매라는 건 어떤 건가요? 6 ... 12:53:34 1,658
1717544 한동훈에게 까인 이준석 ㅋㅋ 20 ㅋㅋㅋ 12:50:33 3,050
1717543 꿈자리가 사나우면 오늘의운세 3 123 12:46:13 298
1717542 OTT(유튜브)할인카드 뭐 쓰세요? 4 너무비싸요 12:45:47 333
1717541 황정음보니 하루아침에 그지된거 같아요 12 ㅇㅇㅇ 12:41:29 7,776
1717540 대선후보 배우자 토론 제안이라니 ㅠ.ㅠ. 31 에구 12:37:14 2,090
1717539 아파요. 소고기 미역죽 레시피 좀 알려 주세요. 7 Cook 12:36:05 524
1717538 안사람 직접 만나본 경험 13 저는 12:34:42 2,396
1717537 박보검의 칸타빌레 참관기 9 나는 럭키걸.. 12:34:37 1,599
1717536 선거벽보 훼손 신고 완료했어요 7 ㅇㅇ 12:33:55 553
1717535 오늘 엄청 습하네요 5 경기남부 12:33:18 1,105
1717534 방탄 유리 유세라니 세계사에 남을 일 53 .. 12:32:07 3,100
1717533 알뜰폰 요금제 비교하는 싸이트 3 oo 12:31:56 394
1717532 제 주변은 왜 이렇게들 정리가 안될까요? 21 정말 12:30:03 2,229
1717531 아파트 전기점검할때 차단기 내려야 하나요? 2 .. 12:29:47 197
1717530 휴롬으로 과일없이 채소 녹즙기능 되나요? 6 12:28:34 223
1717529 50대 체지방이 안 빠져요. 8 ... 12:26:20 1,476
1717528 김용태 눈치좀 챙겨라 13 asdf 12:26:15 1,325
1717527 이준석 "배우자토론 김용태, 앞에 있었으면 혼냈을 것&.. 7 망한캠프 12:25:57 1,167
1717526 나대는 영부인은 명신이만으로 충분하다 9 .,.,.... 12:25:20 794
1717525 카톡 친추 어떻게 하나요? ㄹㄹ 12:25:01 120
1717524 배우자 토론 제안한 김용태 두들겨 패는 이소영 의원 5 12:24:47 1,082
1717523 반 년 전 잡아놓은 여행과 투표 일정이 겹쳐요ㅜ 6 갈등 12:19:45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