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50대 중반 석사학위 따는거 의미있나요?

ㅇㅇ 조회수 : 3,203
작성일 : 2025-05-19 22:20:56

남편이 70년생인데 커리어는 굉장히 좋아요.

이제 은퇴 가까워오니 뜬금없이 mba하겠다네요.

비슷한 커리어를 쌓은 동료들이 석사  학위로

대학에서 강의하거나

전문대 교수로 가는걸 보고

은퇴해서 경비나 택시운전하느니

이제라도 석사를 따서

대학에서 강의하며 살겠다는건데

현실성있나요?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IP : 58.229.xxx.92
3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5.19 10:26 PM (59.30.xxx.66)

    보통 서울 시내 대학 강의도 박사 학위가 있어야 할 수 있던데
    석사 갖고 대학 강의 가능해요?
    아마 경력이 많아서 그런 가요?

  • 2. ....
    '25.5.19 10:26 PM (24.66.xxx.35)

    꿈 깨라고 하세요.
    젊은 박사들도 넘치고 넘치는데 중늙은이 석사를 누가 써 준대요.
    교통비 정도 받으면서 재능기부라면 모를까?

  • 3.
    '25.5.19 10:27 PM (59.26.xxx.224)

    박사가 넘쳐서 시간강사도 다 박사일텐데요. 전문대 시간강사도 박사수료쯤은 해야 돼는건 아닌가요? 집에서 노는 박사 차고 넘친지 수십년 됐어요.

  • 4. ㅇㅇ
    '25.5.19 10:32 PM (58.229.xxx.92)

    요즘은 젊은 박사보다
    실무에서 경력쌓은 사람들을 좋아한다고
    실제로 동료들도 전문대 교수정도는 어렵지 않게 간다고요.
    요즘 트렌디한 분야이기는해요

  • 5. ..
    '25.5.19 10:34 PM (1.240.xxx.179)

    박사도 강의 쉽지않아요..

  • 6. 진진
    '25.5.19 10:38 PM (169.211.xxx.228)

    포항공대 교수도 정년퇴임하고는 집에 계시던데요

  • 7.
    '25.5.19 10:40 PM (59.26.xxx.224)

    그렇담 한번 해보라 하세요. 금융 그런쪽인가요?

  • 8.
    '25.5.19 10:44 PM (59.30.xxx.66)

    해외 박사해도 전문대 교수 되기도 힘들지만
    전문대를 애들이 안가서 전문대가 문을 닫는 추세이죠


    2학기되면 실업계고등학교를
    전문대 교수들이 돌면서
    고3 담임한테 애들을 전문대에 보내 달라고
    다녀요
    강의는 뒷전이고 실업계로 홍보 다니느라 정신 없이 바빠요

    교수 한명당 할당해야 할 인원수도 있었어요
    입학할 애들을 못 채우면
    교수들의 월급 삭감도 있다고 했어요
    말이 교수지 홍보하러 다니는 잡상인 같아요ㅠ

    지금은 아마 더 할 것 같네요
    지방은 더 심하고
    그래서 대학 통폐합이 많이 이뤄지고 있어요.

  • 9. kk 11
    '25.5.19 10:47 PM (114.204.xxx.203)

    삭사로 무슨 강의를 해요
    젊은 박사도 널렸는데 ..

  • 10. 특수분야인가요
    '25.5.19 11:05 PM (222.100.xxx.51)

    저 대학에서 강의하는데 박사학위 없으면 요새는 수업 안줘요.
    제가 모르는 특임교수 이런게 있으려나요.
    특정 경력을 높게 쳐주는..
    석사로 교수 되기는 쉽지 않을 거에요.

  • 11. ㅇㅇ
    '25.5.19 11:15 PM (58.229.xxx.92)

    네. 말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 12. 혹시
    '25.5.19 11:16 PM (59.30.xxx.66)

    대학에 있는 평생 교육원인가요?

    그런 곳은 연예인도 강의하던데

    그건 박사 아니여도 강의 줄걸요?

  • 13. ..
    '25.5.19 11:23 PM (112.146.xxx.132) - 삭제된댓글

    현실성 없다고 하지말라 못할듯해요

  • 14. 저는찬성
    '25.5.19 11:33 PM (211.209.xxx.141)

    해보라고 하세요
    일단 배우고 학위따두면 마이너스는 아니고
    윗분들은 정식 교수 코스를 말씀하시니 어렵다는 거지만
    겸임교수 등 자리 꽤 있어요
    물론 경력이 굉장이 괜찮아야겠죠
    저라면 해보라고 하겠어요 나쁜일도 아닌데

  • 15. 오타
    '25.5.19 11:35 PM (211.209.xxx.141)

    굉장히 ㅎㅎ
    그리고 실제로 저도 특임교수 겸임교수 무슨무슨 교수 등
    정식 코스밟은 케이스 아닌 경우 많이 봤어요
    학문하시는 분들과는 다른 경로가 분명 있더군요
    실용과 학제를 결합하여 강의하는 경우 있어요

  • 16. 확실
    '25.5.19 11:52 PM (1.237.xxx.181)

    요즘이 아니라 꽤 오래전부터
    거진 10년전부터
    박사학위 없음 강의 안 줘요

  • 17. 아주버님
    '25.5.20 12:42 AM (121.168.xxx.246)

    아주버님이 50대 석사하시고 뒤늦게 박사 쭉.
    친구들 골프칠 때 공부하시더니 대학에서 겸임교수?라는 직함받고 학기당 2- 3과목 강의하세요. 지방대학교이긴 하지만요.
    요즘 행복하다 하시거든요.
    인기과들은 수요가 부족해 가능합니다.

  • 18. 의미
    '25.5.20 1:27 AM (121.147.xxx.48)

    여기는 예전부터
    공무원시험 도전해볼까요?
    대학원 가도 될까요?
    로스쿨 가고 싶은데요
    이런 식으로 남들보다 늦었지만 인생을 바꿀 도전을 하고 싶다는 글들이 올라올 때마다
    아서라 말아라 꿈깨라 안뽑는다 젊은 애들도 못한다 해봤자 전망없다 돈못번다 요양보호사나 해라 운동이나 하는 게 남는 일이다...이런 식으로 초치고 끌어내리려는 현실적인 분들이 많습니다. 가족 중에서도 그런 분들이 있죠.
    원글님은 남편분께 그런 가족이 되지 않으셨으면 해요.
    그런 사람들의 현실적인 이야기들만 듣다가는
    우리는 아무 것도 이룰 수 없어요. 그저 숨만 쉬며 순응하고 살게 됩니다. 그러다가 어느날 문득 용기있게 도전하고 노력해서 성취한 사람들을 보며 처절한 후회를 할 뿐이죠.
    도전해서 안 될 이유를 굳이 찾아주려 하는 사람을 가까이 두면 긴 인생에 좋을 게 하나도 없습니다.

  • 19. 현실
    '25.5.20 1:44 AM (118.235.xxx.223)

    박사학위 없으면 요새는 수업 안 줘요.22

  • 20. ㅁㅁ
    '25.5.20 2:12 AM (211.62.xxx.218)

    분야가 특수하면 좀 달라요.
    저는 학사지만 객원교수로 꽤 오래 강의했고 학교에서 석사 하시면 정식 임용 가능하다고 했는데 애들 가르치는거 체질에 안맞아서 그만뒀습니다.
    교수자리와 상관없이 계속 공부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지만 (영국쪽 2년 정도) 건강문제로 포기.
    30대때 얘기지만 50대라도 상관없는 상황이었고요,

  • 21. 여기에
    '25.5.20 3:03 AM (221.146.xxx.162)

    묻지마세요
    다수결로 정하실건 아니죠?
    남편하고픈대로 두세요
    공부와 투자 경험 뭐 다 좋은거죠
    님편이 하고싶어한다. 이게 일번이죠

  • 22. 비슷한입장
    '25.5.20 3:51 AM (86.164.xxx.188)

    저는 제가 일한 분야에서 20년 이상된 경력자인데 제 분야 석사 도전하고 있어요. 예전 회사에 박사까지 공부한 동료가 있었는데 저보다 연봉이 낮았더라구요. 회사에서 감사하게도 경력자를 더 우대해준거죠. 그런데 그 동료 지금은 대학에서 조교수되어 강의도 하고 일도 하는 모습보니 부럽기도 했고, 나도 내가 필드에서 익힌 경험들을 나눠주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아직 갈길은 멀고 과연 나도 강단에 서서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는 기회가 들어오기나 할까나 하는 막연함도 있지만 그래도 열정을 갖고 공부하고 있네요. 비록 머리도 잘 안따라와주고, ㅠㅠ 젊은 친구들의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발맞출 수는 없어서 서글프지만, ㅠㅠ 교수님이 제가 쓴 에세이에 쓴소리를 해대서 우울하기도 했지만 ㅠㅠ 그래도 나만의 강점인 필드경험들을 나누면서 공부하고 있어요. 그런 경험들을 같이 공부하는 친구들은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더군요, 논문도 제 경력과 이론을 접목한 나만이 쓸 수 있는 논문을 쓰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구요. 저라면 남편분 하고 싶다면 응원할 것 같아요.

  • 23. ..
    '25.5.20 5:43 AM (1.235.xxx.154)

    MBA를 지금하신다구요?
    50대는 아니지않나요?

  • 24.
    '25.5.20 6:26 AM (14.5.xxx.216)

    대학에서 경력자한테 강의 맡기는 제도가 있어요
    자격조건이 까다로워요 1급이상 고위공직자 전문경력 20년이상등등
    요건을 충족하면 정부 지원으로 강사로 고용하는거죠
    그외에 석사경력으로 강의하려면 특수한 경력이 있어야하죠
    박사수료없이 강의하는건 현실적으로 힘들죠
    인맥이 탁월하지않는한

  • 25. 지방
    '25.5.20 6:56 AM (140.248.xxx.1)

    산학전담교수라고 기업체 견력 20년이상이면 뽑는 데 있어요
    가르치려면 석사는 있어야 할 거고요
    해보시라 하세요

  • 26. 영통
    '25.5.20 7:27 AM (106.101.xxx.69) - 삭제된댓글

    남편이 50대 중반 석사 마치고
    지금 박사 공부 중..거기에 자격증 공부 중
    60대 초반에 퇴직할 준비 중이라

    저도 동갑으로 퇴직 후 할 일 위해 개인 공부 중
    장년들도 시니어 되기 전에 공부하면 좋죠
    시대가 급변이라

  • 27. 영통
    '25.5.20 7:29 AM (106.101.xxx.69) - 삭제된댓글

    남편이 50대 중반 석사 마치고
    바로 박사 공부 중..거기에 자격증 공부 중
    60대 초반에는 퇴직할 준비 중이라

    저도 동갑으로 퇴직 후 할 일 위해 개인 공부 중
    장년들도 시니어 되기 전에 공부하면 좋죠
    지금 시대가 급변 시기라..

    배움에 방심하면 나이 들어서 좀 모른다가 아니라
    까막눈 되는 시기인 거 같아요.

  • 28. 영통
    '25.5.20 7:32 AM (106.101.xxx.69) - 삭제된댓글

    남편이 50대 중반 석사 마치고
    바로 박사 공부 중..거기에 자격증 공부 중
    박사는 논문 안 쓰고 수료에만 만족하기로..
    60대 초반에는 퇴직할 준비 중인데 재취업과 강의 관심 있구요

    저도 동갑으로 퇴직 후 할 일 위해 개인 공부 중
    대학 1년 학비인 1천만원은 노후 대비 공부에 쓸 마음이에요
    장년들도 시니어 되기 전에 공부하면 좋은 게
    지금 시대가 급변 시기라..

    배움에 방심하면 나이 들어서 좀 모른다가 아니라
    까막눈 되는 시기인 거 같아요.

  • 29. 영통
    '25.5.20 7:33 AM (106.101.xxx.69)

    남편이 50대 중반 석사 마치고
    바로 박사 공부 중..거기에 자격증 공부 중
    박사는 논문 안 쓰고 수료에만 만족하기로..
    60대 초반에는 퇴직할 준비 중인데 재취업과 강의 관심 있구요

    저도 동갑으로 퇴직 후 할 일 위해 개인 공부 중
    대학 1년 학비 금액 돈 정도를 내 노후 대비 공부에 쓰자 마음이에요
    장년들도 시니어 되기 전에 공부하면 좋은 게
    지금 시대가 급변 시기라..

    배움에 방심하면 나이 들어서 좀 모른다가 아니라
    까막눈 되는 시기인 거 같아요.

  • 30. 해보세요
    '25.5.20 7:48 AM (218.154.xxx.161)

    사람 일이 어찌될지 모르고 특수분야라면 남편이 더 잘 알겠죠.
    저는 마흔 중반에 석사하거든요.
    50되기 전에 마무리하려고 오랜시간 벼르던 거 학교 다니고 있습니다. 저는 추천

  • 31. ...
    '25.5.20 8:09 AM (119.192.xxx.12)

    굳이 유명 대학 아니더라도 요즘 학교들 진짜 많아요. 교육원에서 시니어를 대상으로 가르치는 교수님이 될 수도 있죠. 길은 만드는 겁니다.

  • 32. .......
    '25.5.20 8:15 AM (211.195.xxx.189)

    여기는 부정적인 마인드의 사람들이 많은곳.
    70-80대 늙은이도 아닌데 은퇴후 준비를
    지지해주시는 현명한 배우자이시길 바래요.
    노년이 깁니다.

  • 33. ...
    '25.5.20 8:18 AM (1.237.xxx.240)

    평생교육원 같은 곳에서 강의 할 수도 있죠

  • 34. 초치는게아니라
    '25.5.20 8:28 AM (218.147.xxx.180) - 삭제된댓글

    주어진 정보가 제한적인데 어느 회사인지는 몰라도
    50대 mba는 어려운거 아닌가요?석사까지하고서 박사한다하는거면 모를까 ;;

    부정적인게 아니라 50대에 기술이나 공대관련도 아니고
    Mba는 좀 그렇죠 저희남편도 석사로 산학교수 2년다녀왔는데 그게 진짜 특수성으로 회사에서 배려해준거고 계속 교수로 남는 분들은 회사은퇴가 조건이고 계약직인데다가 박사에요

    평생교육원 이런곳은 인맥이 있거나 그래야;;
    노년이기니까 기술사 이런걸하죠
    차라리 그쪽학문이 좋았는데 미련이남았다면 응원하는데
    교수는 쫌

  • 35. ..
    '25.5.20 8:51 AM (124.53.xxx.39)

    분야에 따라 다르겠지만
    언론대학원 같은 특수대는 실무 경력 오래된 교수님들 있었어요.
    대신 경력이 누가 들어도 알만해야 하긴 한데, 그렇다고 되게 좋지도 않았어요.
    은퇴하고 강의하려고 석사 학위 받으러 다니시는 분도 계셨고요.
    강사나 마찬가지긴 하지만 은퇴하고 일하기에 좋은 자리 같아요.

  • 36. ----
    '25.5.20 9:26 AM (211.215.xxx.235)

    실무 경험이 풍부해도 보통 박사따야 시간제 강의라도 가능해요. 하지만 인맥좋고 평소 강의실력도 좋고 현업 경험이 풍부하다면 불가능한건 아니지요. 그리고 석사하라고 밀어주세요. 준비된 자에게만 기회가 오니까요. 석사하면서 인맥도 더 쌓을수 있고, 어디서 어떤 기회가 올지 모르죠. 경제적 부담이 크지 않은 상황이라면...석사 정도는 밀어주세요

  • 37. ***
    '25.5.20 10:45 AM (110.70.xxx.129)

    남편 50대에 석박했는데 강의는 몇번했어요 그런데 사외이사등등 신청할때 도움이 되더라구요 현재 직업과 관련된 일을 할때는 도움되는건 확실해요

  • 38. 동글이
    '25.5.20 2:14 PM (106.101.xxx.37)

    사람일 몰라요. 커리어가 좋으시다니
    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7360 배만 나왔어요 4 ... 2025/05/20 1,151
1717359 룸살롱에 근무하는 여자들 참 불쌍해요 70 ... 2025/05/20 19,192
1717358 배드뱅크 어떻게 생각하세요? 4 .... 2025/05/20 577
1717357 기분이 좀 그러네요 2 어떻게 할까.. 2025/05/20 352
1717356 코엑스 볼거리 추천해주세요 미국인 2025/05/20 372
1717355 유시민, MBC 6·3대선 개표방송 ‘선택 2025’ 출연 9 ㅅㅅ 2025/05/20 3,680
1717354 동네 세탁소 현금 or 카드? 6 궁금 2025/05/20 949
1717353 우울증일까요? 14 ... 2025/05/20 2,640
1717352 네이버 계속보기 기능 좋아하세요? 3 네이버 2025/05/20 553
1717351 시모 손절했는데 8 2025/05/20 4,026
1717350 절임 배추 배송받으시고 그냥 하시나요 씻고 하시나요 3 ..... 2025/05/20 1,595
1717349 병원 들렀다가 학교 가는 고3 9 .... 2025/05/20 1,843
1717348 기분전환용 쇼핑품목 뭐 있으세요? 11 2025/05/20 1,674
1717347 오랜만에 밀회보는데 9 00 2025/05/20 1,600
1717346 권순표의 뉴스 앞차기 15 버터쿠키 2025/05/20 2,686
1717345 어이없는 일 4 .... 2025/05/20 1,478
1717344 영화 명신이 아니 신명 예고편 2탄! 11 석려리 나오.. 2025/05/20 4,291
1717343 이바지음식 집에서 해보신분 4 결혼 2025/05/20 2,020
1717342 H D R 이온수기 혹시 라도 써호신분 계신가요 1 82cook.. 2025/05/20 209
1717341 이재명의 커피값 120원 발언 전문보세요 40 커피게이트 2025/05/20 4,481
1717340 이 시간에 하늘이 환해요 2 ... 2025/05/20 2,985
1717339 셀프컷 했어요. 9 ... 2025/05/20 2,404
1717338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에 유럽인 좀 그만 출연시켜요 28 다양하게 쫌.. 2025/05/20 8,339
1717337 확실히 이런 여자들이 사랑받는거 같아요 6 ㅇㅇㅇ 2025/05/20 4,866
1717336 국힘 안철수씨 진짜 ~~휴 13 이뻐 2025/05/20 4,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