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장례 치러보신분

......... 조회수 : 2,991
작성일 : 2025-05-14 09:28:34

지난달에 시어머니가 암투병 중 갑자기 위독해지셨다고 글 썼었는데

현재 호스피스에 계십니다.

나날이 안좋아지시고 곧 돌아가신다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뼈밖에 없으시고 의식도 없으십니다.

 

장례 치를때 

남편이 상주, 저, 초등아들 

시동생 부부

시누가족들

 

이렇게 있는데 시동생 손님들이 대부분일 거에요.

장례식장과 저희집은 1시간 거리인데

3일장 내내 식장에 있어야 하는지요?

 

식장에 방이 있는건 알고 있는데

시동생 부부는 내내 조문객 맞아야해서 계속 있어야하고요. 시누가족들도 근처에 살아서 계속 있을 것 같고요.

 

남편은 너무너무 상심이 큰 상태인데

제가 물어보기도 미안해서 82님들께 여쭤봐요.

 

한 방에서 다같이 자는건 제가 너무 힘들것 같은데

밤 11시 넘어 집에 갔다가 아침 6시까지 오면 안될까요.

 

집에 노견도 있어서 내내 집비우기도 그래서요

 큰손주(초딩 아들)도 무조건 있어야 하는거죠?

 

IP : 223.38.xxx.186
4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5.14 9:30 AM (223.38.xxx.197)

    밤늦게~새벽에 집에 다녀와도 돼요

  • 2. ...
    '25.5.14 9:32 AM (114.204.xxx.203)

    당연히 3일내내 있어요
    불편해도요
    정 그러면 한번쯤 얘기하고 다녀올수는 있지만
    나만 집에 가서 자고오긴 좀 그래요
    바로 옆도 아니고
    1시간 거린데

  • 3. ㄹㄹ
    '25.5.14 9:32 AM (118.235.xxx.44)

    이틀인데 밤 12시 넘어 가시고 새벽 6시 이전에 다시 돌아오시면 되요. 저희는 가까운 호텔에서 잤어요. 씻고 눈만 붙였다가 바로 나왔습니다.

  • 4. .....
    '25.5.14 9:32 AM (211.201.xxx.73)

    11시는 좀 빠르고 12시30분 정도에.....

  • 5. .....
    '25.5.14 9:33 AM (1.239.xxx.246)

    당연히 밤 11시~아침 8시정도까지는 집에 다녀오셔도 됩니다.

  • 6. ㅇㅇ
    '25.5.14 9:33 AM (220.86.xxx.41)

    밤에 갔다 아침에 오셔도 되요
    저희도 시누네 식구와 저희식구 두가족인데
    저희는 서울에서 내려간거라 딸린 방에서 지내고 형님네는 밤에 가셨다 아침에 오셨어요
    애들은 하루종일 안있어도 되요
    마땅히 봐주실분있으시면 잠깐 잠깐 집에서 쉬었다 와도 됩니다.

  • 7. ..
    '25.5.14 9:33 AM (112.214.xxx.147)

    12시 넘어 집에가고 6시에 다시 돌아왔어요.

  • 8. .....
    '25.5.14 9:34 AM (115.22.xxx.208)

    우린 형제가 많아서 집가까운 사람들은 밤에 갔다가 다음날 아침에 오기도 했어요..남편분 생각해서라도 가급적 같이 있어주세요. 그런 큰일에 서운함은 오래가더라구요

  • 9. 눈치껏
    '25.5.14 9:34 AM (49.161.xxx.218)

    밤중에 집에가서자고 씻고올순있어요
    아이도 어리니깐요
    갈때 시누이 동서도 데리고가면 욕안먹죠
    저도 초상났을때
    밤중에 시누이들 데리고 집에가서 씻고 잤어요
    요즘은 밤10시넘으면 장례식장에 손님 안오고 밤샘안해요

  • 10. 요즘
    '25.5.14 9:34 AM (118.235.xxx.182)

    상주와 남자들은 남아 있고 노약자는 집에 가서 자고 아침 일찍 와요. 근데 노견도 반려견이긴 하지만 드러나게 이유를 말하진 마세요. 어르신 장례니까요

  • 11. ...
    '25.5.14 9:35 AM (183.107.xxx.137)

    1시간 거리면 옆에 호텔잡아서 주무셔야 할거예요.
    발인날은 새벽부터 움직이는 경우도 대부분이고...

  • 12. ㅇㅇ
    '25.5.14 9:38 AM (59.6.xxx.200)

    12시는 넘기시고요 6시전에 가있으면 돼요 초딩아이는 첫날과 발인날 있음되고요 중간하루는 쉬어도 됩니다 맡길데있으면

  • 13. ㅇㅇㅇ
    '25.5.14 9:40 AM (118.235.xxx.52)

    같은도시라도
    한시간 거리였는데
    11시쯤 집에갔다가
    8시까지 왔어요
    2일째는 아침 8 시 까지와서 마지막 보고
    3일째 나갈때도 7시 나간다 해서
    6시까지 와서다같이 밥먹고 준비하고
    출발
    어짜피 화장안해도 되니
    일찍 오셔서 식사하시고 눈썹이라도 그리세요
    요즘은 방에서 잘안자는데
    남자들은 자긴하더라고요

  • 14. 오래전
    '25.5.14 9:42 AM (61.105.xxx.88)

    저희는 오래전이라
    형님 조카들과 그 좁은방에서 우르르
    자고했네요
    지나가다 발에 손 밟히고 난리 ㅜ
    요즘은 밤늦게
    다녀오고 하는군요

  • 15. ㅡㅡㅡ
    '25.5.14 9:43 AM (121.66.xxx.118)

    저도 지금 상치르는중이에요
    집에 갔다오셔도 되고 발인하는날은 더 일찍 오심됩니다

  • 16. 남자들은
    '25.5.14 9:44 AM (121.168.xxx.246)

    보통 지키고 여자들은 하루정도 집에가 씻고와요.
    동서. 시누들 데리고 함께 집에가셨다 오시면 될 거 같아요.
    저희도 그렇게 했어요.

  • 17. ---
    '25.5.14 9:47 AM (175.199.xxx.125)

    4월말 장례 지렀어요.....집과 15분 거리라 10시경 여자들(동서랑 우리딸들)은 저희집가서 자고 아침일찍 왔어요...남자들만 장례식장에서 잤어요..

  • 18. 00
    '25.5.14 9:48 AM (182.215.xxx.73)

    저희도 남자들은 상주방에서 씻고 자고
    여자들과 아이들은 밤에 각자 집이나 가까운 형제네 집에서 자고 아침 일찍 왔어요
    저도 한시간 거리인데 집에와서 자고 새벽에 다시갔어요

  • 19. ㅇㅇ
    '25.5.14 9:51 AM (14.5.xxx.216)

    남편은 3일 내내 계셔야 하고요
    원글님은 아이와 함께 밤에 집에가서 주무시고 새벽에 오세요
    11~6시까지 돌아 오시면됩니다
    새벽에 아이 깨워서 오는것도 일일거에요
    늦지않게 깨워서 오세요

  • 20. . .
    '25.5.14 9:56 AM (175.119.xxx.68)

    애들은 계속 안 있어도 되구요
    개 밥줘야 된다 이런 이야긴 절대 하지 마세요
    친정 엄마나 애 봐줄사람 없나요.
    해 일찍 뜨니 발인날은 새벽 5시부터는 계셔야 될거에요. 화장터도 순서 기다려야하고 일찍 움직이거든요

  • 21. ...
    '25.5.14 9:59 AM (175.215.xxx.169)

    댓글에 다들 자세히 알려주셔서 따로 알려드릴 건 없는데요.
    노견땜에 걱정 많으실 것 같아서... 저 같은 경우는 노견이 돌아가신 엄마의 막내딸(?)이어서
    눈치 안 보고 밤 늦게 가서 챙기고 아침 일찍 와서 장례 치렀어요.
    그래도 노견 얘기하기가 좀 그랬어요. 조용히 다녀 오심이...

    장례를 치르고 나니 가족의 소중함이 더 느껴지고 서로가 많은 위안이 되더라구요.
    평소 무뚝뚝하시던 형부가 발인 날 꺽꺽 소리내서 우시는데 그게 그렇게 고맙고 위로가 되어서 나도 앞으로 위로를 해야하는 자리에서는 맘껏 그리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 22. ....
    '25.5.14 10:01 AM (118.47.xxx.7)

    님도 상주에요...
    아이랑 개는 맡길때있으면 맡기세요
    자는것도 방에 다 들어가서 안자도 되고
    바깥에 이불펴고 자도 되요

  • 23. 다른얘기
    '25.5.14 10:05 AM (183.108.xxx.201) - 삭제된댓글

    요즘은 다 집에 갔다오더라구요
    저는 2시간 거리에서 5일 집을 비웠어요.
    장례식장애서 잠도 자고요.
    집에 오니 개 두마리가 난리난리쳐놨더라구요.
    먹을거는 충분히 주고갔는데
    개들도 멘붕이 왔는지 아무데나 배변해놓고 다 물어 뜯어놓고
    그런데 이런일은 어른들한테 말하면 안돼요
    개가 사람보다 중하냐? 이런 반응이라서

  • 24. ...
    '25.5.14 10:05 AM (220.65.xxx.99)

    그래도 된다 생각하는데
    댓글들 의외네요
    전 신경안썼어요
    굳이 다 같이 고생할필요 있을까요?
    남편만 있으면 될듯요

  • 25. ...
    '25.5.14 10:05 AM (220.65.xxx.99)

    전 맏며늘이고요

  • 26. 다른얘기
    '25.5.14 10:06 AM (183.108.xxx.201) - 삭제된댓글

    아참 단독주택이였어요
    아파트라고 생각할까봐요

  • 27. 잠깐 다녀오거나
    '25.5.14 10:07 AM (220.117.xxx.100)

    중간에 하루 자고 새벽에 오는건 괜찮을듯 해요
    다른 가족들도 하루씩 가는거면 몰라도 원글님 가족만 그러면 별로 좋아보이지 않을거고요
    하지만 노견 얘기는 어디서도 좋게 안보일듯요
    원글님 부모님 돌아가셨는데 남편분이 키우는 개 땜에 집에 가서 자고온다고 하면 기분이 어떠실런지..

  • 28. 밤늦게
    '25.5.14 10:08 AM (61.254.xxx.88)

    없어도 상관없는 시간에 12시넘어 갔다가 6-7사이에 들어오기.

  • 29. ㅇㅇ
    '25.5.14 10:12 AM (218.148.xxx.168)

    눈치껏 집에 다녀오세요.

  • 30. 그정도 거리면
    '25.5.14 10:17 AM (222.106.xxx.184)

    밤 늦게 집에 가서 주무시고
    아침 일찍 다시 가시면 됩니다.

    요즘은 장례식장 안에서 옛날처럼 3일내내 있거나 하지 않아요
    집 가까운 사람들은 밤에 집에 가서 자고 아침에 일찍 오고 그래요

    먼거리의 경우는 딱히 집으로 갈수도 없고 그러니
    그냥 장례식장 한쪽에서 쪽잠자고 그렇게 하지만요.

  • 31. 호텔에서
    '25.5.14 10:18 AM (218.149.xxx.159)

    밤 11시 넘어 집에 갔다가 아침 6시까지 오면 안될까요.

    ----> 그렇게 하세요.
    요즘 대학병원 장례식장은 밤 되면 조문객 안 받아요.
    아들은 당연히 3일 와야죠. 손자니까요.

    저희는 작년에 엄마 별세하시고 대학병원 장례식장의 방은 오빠가족이 사용하고
    저와 아들둘, 남편은 근처 호텔 이용, 동생은 자기집에서..왔다 갔다함.

  • 32. ..
    '25.5.14 10:23 AM (180.71.xxx.223) - 삭제된댓글

    가셔도 돼요
    온가족 좁은 빈소에서 다같이 잔다고 더 슬퍼하는거고
    집에가서 자고온다고 덜 애도하는건 아니잖아요
    굳이 옛날식으로 고수할 필요 없다는 생각이에요

  • 33. ...
    '25.5.14 10:37 AM (211.235.xxx.4)

    요즈음은 장례식장도 10시면 거의 손님없어요 마지막 손님 식당에서 얘기나누면 늦어도 11시일거예요 11시쯤 집에와서 주무시고 다음날 아침 8시에서 8시30분까지 장례식장에 가면 됩니다 마지막 발인날은 발인 일정에 맞춰 더 일찍 가구요
    초등아이도 같이 있으면 좋겠지만 봐주실분 있으면 첫날 다녀가고 마지막날 함께하면 좋을 듯 합니다 장례식장에서 아무도 안자는 빈소도 많아요

  • 34. 요즘은
    '25.5.14 10:56 AM (221.138.xxx.92)

    밤에 그렇게 해도 되는데
    새벽에 나오려면 상당히 힘들어요.
    장례기간에 몸이 녹초가 되는지라...
    한시간 거리면 더욱.

  • 35. 건강
    '25.5.14 11:36 AM (218.49.xxx.9)

    2월에 장례치뤘어요
    다들 10시 넘어 손님없음
    문닫고 가까운 집에 가서 쉬고
    8시 전에 다시 와서 아침식사 하시고
    다시 문상객 오시면 인사드리면
    됩니다
    원글님 댁은 장례식장에서
    계속 있는 사람 있으니
    편하게 하세요
    괜찮아요

  • 36. ㅇㅇ
    '25.5.14 11:42 AM (58.29.xxx.20)

    요즘 다 집에가서 자고 와요.
    보통 11시 전후로 더이상 손님이 안오면, 혹은 늦으면 12시 정도에 일단 다들 잘곳 찾아서 가요.
    지방이면 호텔이나 여관, 찜질방도 가고요,
    아무튼 자고 담날 아침에 다시 오는데, 저희는 돌아가면서 한명씩 당번?으로 아들들 남아서 돌아가면서 거기서 잤고, 남은 식구들은 집에가서 자고 아침 7~8시 사이에 다시 왔습니다.

  • 37. ..
    '25.5.14 12:19 PM (39.7.xxx.78)

    집에 가서 자고 오는건 아무렇지 않은데,
    근처에 사는 시누네가 집에 가서 자고 오고,
    그냥 장례식장에 있는게 낫겠어요.
    1시간 거리 왔다갔다 힘들거같아요.
    노견때문이라면 중간에 한번 정도 다녀 올 수도.

  • 38.
    '25.5.14 12:55 PM (1.235.xxx.154)

    저도 하루는자고오고
    발인 전날은 장례식장에서 잤어요
    일찍 나올 자신이 없어서

  • 39. 나무木
    '25.5.14 1:10 PM (14.32.xxx.34)

    저희는
    4남매 다들 서울이어서
    첫날은 저희 부부만
    둘째 날은 시아주버니 부부만
    병원에서 잤고
    나머지 식구들은 다 집에 가서 자고 씻고 왔어요

  • 40. ..
    '25.5.14 2:29 PM (211.44.xxx.118)

    됩니다. 같이 갈 사람있으면 데리고가면 더 좋구요.
    지난주에 상치렀고 본인손님 없어도 같이 인사하고
    챙겨야지요 .
    참고로 조의금은 다 본인것은 가져갔고
    장례비용은 엔빵했습니다.

  • 41. 근데
    '25.5.14 2:58 PM (118.130.xxx.26) - 삭제된댓글

    아무리 불편해도 참아보세요
    나중에 뒷말 나옵니다

  • 42. 저희 가족모두
    '25.5.14 8:56 PM (183.98.xxx.16)

    10시에 집에서 자고
    8시에 왔어요
    장례식장에 모두들 문잠그고 가고
    아침에 오더라고요
    직원도 한두명정도 있어서
    무서워서 못있겠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5311 딸이 빵을 만들었는데, 대판 부딪혔어요 114 ddd 2025/05/14 14,054
1715310 꽃가게는 남은 꽃(시들은 꽃) 어떻게 처리하나요 11 00 2025/05/14 2,683
1715309 위경련이오는것같은데 진짜 어이없ㄱ게... 13 위경련 2025/05/14 1,769
1715308 삼성 플래티넘행복연금 아시는 분~~ 4 white 2025/05/14 522
1715307 이자 돌려막다 파산... 대박 꿈꾼 갭 투자 3040, 회생법원.. 3 ... 2025/05/14 2,429
1715306 이재명, 보수 지지층서도 이준석 앞질러..[한국갤럽] 4 .. 2025/05/14 903
1715305 야외 나갈때 햇볕차단하는 마스크? 1 오월애 2025/05/14 876
1715304 붙박이장 뜯어내는거 복잡하나요? 3 모모 2025/05/14 903
1715303 인도사람들. 17 궁금 2025/05/14 3,218
1715302 주식 유상증자 쉽게 설명해주세요 3 포스코 2025/05/14 669
1715301 아프고 오래살면 뭐하나.. 3 엄마 2025/05/14 1,399
1715300 목소리와 말투가 참 중요하네요 9 갑자기 2025/05/14 3,010
1715299 요즘 국내 여행하며 느낀점. 22 2025/05/14 3,936
1715298 평생 욕심안부리면 우리애까지 먹고살 돈은 있겠지만 1 ㅇㅇ 2025/05/14 1,188
1715297 김규리 대단하네요 22 ㅇㅇ 2025/05/14 9,175
1715296 이번 대선에 꼭 투표하셔야 하는 이유 14 투표 2025/05/14 1,251
1715295 웃기는 국짐당 11 코미디 2025/05/14 818
1715294 윤석열, 자진 탈당 가능성 급부상. 이르면 오늘 선제 탈당 12 .. 2025/05/14 2,184
1715293 천안에 어디가 살기 좋을까요?? 6 .... 2025/05/14 1,096
1715292 지분형 모기지는 막아야 7 미친 2025/05/14 730
1715291 대선 국힘과 20프로 이상 차이나고 55프로 이상 득표 7 ㅇㅇ 2025/05/14 930
1715290 어제 매불쇼 지귀연 소름. 10 ㄱㄴ 2025/05/14 3,733
1715289 정수리탈모 머리심으신분 계실까요 6 탈모 2025/05/14 1,050
1715288 오늘 7부소매 긴원피스 가능할까요? 10 .... 2025/05/14 1,529
1715287 삶지않는 라자냐면을 좀 부드럽게 먹으려면 어떻게 4 라자냐 2025/05/14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