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에 물화생지 중 선택하는 걸로 알고있는데
내가 선택할 학과별로 선택해야될 필수이수과목, 혹은 권장과목 이런게 있나요? 학교, 학과별로 다를까요?
예전에 수능만점 받은 친구가 물리? 선택안해서 설의대 못간다 이런 얘기도 들은 거 같고 해서요.
관련정보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공통과학 1,2 경우 물화생지1까지의 내용이 다 들어가있나요?
그러니까 공통과학 1,2의 심화버전이 물1화1생1지1이라고 보면 될까요?
고2에 물화생지 중 선택하는 걸로 알고있는데
내가 선택할 학과별로 선택해야될 필수이수과목, 혹은 권장과목 이런게 있나요? 학교, 학과별로 다를까요?
예전에 수능만점 받은 친구가 물리? 선택안해서 설의대 못간다 이런 얘기도 들은 거 같고 해서요.
관련정보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공통과학 1,2 경우 물화생지1까지의 내용이 다 들어가있나요?
그러니까 공통과학 1,2의 심화버전이 물1화1생1지1이라고 보면 될까요?
서울대 권장과목 이라고 검색하면 학과별 - 핵심/일반 권장과목- 나와요.
기본 서울대 기준으로 많이들 비슷하게 하니까 그거 참고하면 됩니다.
특정대학이 궁금하면 대학만바꿔서 키워드를 넣으면 되구요.
서울대 권장과목 이라고 검색하면 학과별 - 핵심/일반 권장과목- 표가 나와요.
기본 서울대 기준으로 많이들 비슷하게 하니까 그거 참고하면 됩니다.
특정대학이 궁금하면 대학만바꿔서 키워드를 넣으면 되구요.
근데 이게 권장과목이잖아요. 그럼 필수는 아니라는 건데 이게 문제가 될 수 있나요?.. 학종의 경우 문제가 될 수도 있긴 하겠지만 이걸로 점수화하긴 어렵지 않을까요?
말이 권장과목이지 핵심과목은 무조건 듣는게 유리합니다.
공대인데 물리 안듣고 오면 물리 처음부터 가르쳐야 해서 교수들이 너무 힘들어한다고...
물리2까지 듣고 오는 애와 물리 1도 안들은 애.. 점수비슷하면 누굴 뽑겠어요.
입시설명회 가보면 이수과목 무척 중요하게 말합니다.
입시설명회 다녀보세요. 학종의 판이 보여요.
네. 조언 감사해요~
물론 점수가 비슷하면 당연히 권장과목 들은 아이로 뽑겠죠
근데 어차피 전체 등급으로 내신을 내는거고
물1,2를 들었는데 등급이 낮은 것과 타 과목 들어서 등급이 높은 것
이런경우에 구분이 안되지 않을까요?
등급 차이가 많이 난다면 차라리 점수가 높은 과목을 듣는 게 실리적으로 맞지 않을까 생각해서요.
저는 신입뽑을때 교양보다는 전공으로 꽉채운 사람을 뽑습니다.
뽑아도 못알아먹으면 수학능력이 부족한거고 나가떨어지기쉽죠.
학교도 그런거죠..
점수높여서 가는건 교과전형이구요.
이과학종은 전공적합성때문에 물화생 등등 적합과목 봅니다.
수학은 필수구요.
권장과목 필요하죠
왜 학종이겠어요 학과에 맞는 공부와 활동을 보는게 학종인데요
교과로 가도 생기부 들어가는 학교들 많아서 권장과목까지 해야 유리해요…
그리고 상위권 학교는 당연히 권장과목도 다 듣고 내신도 좋은 아이들이 많이 지원 하겠죠?
핵심권장이랑 그냥권장 다 들어야합니다. 서울대를 가기위해 겨루는건데 이것저것 따지면 당연히 지원자 풀에서 밀립니다. 서울대는 과목이수 중요하게봐요
점수 높은과목을 듣는게 유리한게 아니고 무조건 해당학과가 권장하는 이수과목을 들어야해요.
그과목이 점수 등급이 낮다고 다른과목을 들으면 원서 자체에서 1차 탈락합니다.
면접 기회조차 안줍니다.
그걸 아셔야해요. 원글님.
그때 수능만점은 정시입니다. 수능에서 물1,물2를 선택해야 서울대 의대를 넣을수있는데 선택과목도 물리 선택안하고 물2는 더 안했던거 같아요.(서울대 2과목 없어지긴했는데 그이후인지 기억이 가물가물)고2라서 잘모르시는거같은데 고3부터는 모의볼때도 과탐, 사탐 선택과목 선택해서 봐요. 수시로 가든 정시로가든 스카이는 전공접합성 따지니까 의대.공대는 물리선택해야하겠죠?
권장과목은 듣는게 좋죠. 그러나 그 권장과목 중요도가 조금 떨어지는 과목 안듣고 내신이 엄청 뛰어나다 그러면 어떻게 될지 모르는거고요.
학종은 내 점수도 중요하지만 지원자 풀이 어떤지도 중요하니까요.
보통....아닌데? 물리 안들어도 합격하는데? 이런말 하는데 같이 지원한 학생들 중에 중요도 순서에서 안밀리면 운이 좋아 합격하는거고요. 만약 내신도 좋고 필수과목도 수강한 학생이 있다면 필수과목 이수 안한 학생을 왜 뽑겠어요?
지금 고3엄마인데요,
교육과정이 바뀌어서 지금 고1부터 고교학점제죠?
고교학점제 자체가 대학에서 우리 과에 오려면 기본적으로 이거 고등학교에서 배우고 와라..하고
권장필수과목, 권장과목을 강화한 것입니다.
원래 이과는 물화생지, 문과는 사회과목이 워낙 많아서 두루두루..였는데 이제 문과도 더 세세하게 본다고 대학에서 얘기합니다.
특히 학종에서 그렇죠. 학종은 그 과에 오고싶어하는 애들이 나 이렇게 준비된 학생이라는 걸 보여주고 뽑히는 제도니까요. 입시는 상대적인거라 같은 과에 물화생지 다 듣고 물2까지 다 듣고 게다가 점수도 좋은 학생과
편제표에 물리 1,2가 있는데도(대학측에 제공됨)
지구과학 들은 학생을
같은 선상에 놓고 평가하지 않습니다.
원글님 말씀하신 건 무조건 내신->1교과로 지원할 때 이득일뿐이죠. 근데 교과도 선택과목 뭐 들었는지 점차 보는 학교가 늘고 있고요, 고1아이들이 입시할 때는 더 늘어날거에요.
현재 수능은 오히려 이과 애들도 사탐치고 들어와도 된다고해서 이과애들이 점수 잘받으려고 사탐런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있는데..이것이 사실 오히려 좀 잘못된 경우고요.
학종은 교과, 수능 입학생에 비해 학생 이탈률이 가장 낮은 전형이라서 각 대학 과에서 원하는 바를 뚜렷하게 얘기하고 그걸 충족하는 학생들을 최우선으로 뽑아요. 요즘 대학마다 이탈률이 제일 고민이거든요.
내신, 수능점수 줄세워서 들어오는 학생들은 반수, 재수한다고 나가버리는 경우가 많거나 물리도 안배우고 공대들어오고 그러는 경우가 생겨서 골칫거리인데
학종으로 들어오는 애들은 대부분 자기 적성에 맞게 와서 공부를 더 열심히 한대요. 입시설명회 때 일반적인 대학측입장입니다.
그러니 어떤 학생들을 원하는지 당연히 보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