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가 문이과 대학을 다 다녀봤는데

근데 조회수 : 4,211
작성일 : 2025-05-10 02:19:02

솔직히 문과 공부는 공대에 비하면 공부량이 반도 아니고 4분의 1 수준...

이게 대학인가 문센인가 싶었어요.

그래서 문송한 시대가 온거 같긴 한데 사실 공부량 자체가 글케 적으니 공평한것 같기도요. 

IP : 114.206.xxx.112
6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행복한새댁
    '25.5.10 2:23 AM (125.135.xxx.177)

    저도 다 다녀봤는데.. ㅋㅋ
    이공계는 시험지 받으면 여기저기서 들리는 한숨소리..근데 문과는 시험지 받자마자 다다다닥! 글쓰는 소리ㅋㅋ 첨에 인사대 셤 칠때 넘 놀랐어요.. 어쨋든 뭐라도 끄적일 수 있는걸 셤 문제로 주는데 공대는 아예 손도 못댐ㅋㅋ한숨 쉬다가 계산기 몇 번 토닥 토닥 하다가 눈치보다 나가서 재수강 ㅋㅋ 근데 인사대는 다다다닥~ 쓰고 나가서 헛꿈 꾸다가 재수강ㅋㅋ

  • 2. ㅎㅎ
    '25.5.10 2:24 AM (218.155.xxx.132) - 삭제된댓글

    제 남편이 저 아랫글 문제의 그 대학 공대 나왔는데
    석사까지하고 도망쳤다했어요.
    박사까지 한 친구들은 원형탈모 왔다고..

  • 3. ㅎㅎㅎ
    '25.5.10 2:24 AM (118.235.xxx.177) - 삭제된댓글

    제대로 공부 안해봐서 그런 소리 하는 겁니다 ㅎㅎㅎ

    각종 외국어부터 고전까지 할 게 얼마나 믾은데

  • 4. ㅎㅎㅎ
    '25.5.10 2:25 AM (118.235.xxx.177)

    제대로 공부 안해봐서 그런 소리 하는 겁니다 ㅎㅎㅎ

    라틴어 포함 각종 외국어부터 고전까지 할 게 얼마나 많은데

  • 5. 양과 질
    '25.5.10 2:27 AM (14.50.xxx.208)

    생각이 좀 달라요.

    공대는 순수수학이나 과학 공부 자체에 중점을 두니 공부량이 많지만

    문과 같은 경우는 스스로 사고를 확장시켜야 해요.

    글을 써라 라고 했을 때

    순식간에 사람을 감동 시킬 수 있는 글을 짓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평생을 글을 써도 타인을 감동 시키지 못하는 사람도 있어요.

    그런 것에 대해서는 생각 안해보셨나요?

  • 6.
    '25.5.10 2:30 AM (118.235.xxx.175)

    원래 우물 안 개구리가 다 아는 거처럼 나대죠

  • 7. 정말
    '25.5.10 2:36 AM (110.12.xxx.148)

    할 말이 없네요. 문이과 공부 내용은 달라도 공부량은 본인 하기 나름이에요. 문과계열 전공 공부 제대로 하려면 끝도 없어요.

  • 8. ..
    '25.5.10 2:39 AM (124.51.xxx.114) - 삭제된댓글

    이런 식의 일반화는 참 어이없네요. 석,박사 기간이 문과가 더 긴건 왜 그럴까요?

  • 9. ..
    '25.5.10 2:41 AM (124.51.xxx.114)

    문과 까고 싶었나 본데
    문센 수준이라고요??
    견문이 좁은건 맞는 것 같네요.

  • 10. ㅋㅋㅋ
    '25.5.10 3:25 AM (116.121.xxx.181)

    제대로 공부 안해봐서 그런 소리 하는 겁니다 ㅎㅎㅎ
    222222222222222222222222222

  • 11. 근데
    '25.5.10 3:34 AM (114.206.xxx.112)

    밑도 끝도 없이 아무 기준도 없이 제대로 공부 ㅋㅋㅋ

    정확히 말하자면 서성한 기준 학부에서 3.5 정도 학점 받기까지 드는 시간과 노력이 1/4예요 문과의 전공 대부분은 그냥 교양 수준이라 봐요

  • 12. ㅇㅇ
    '25.5.10 3:48 AM (116.121.xxx.181)

    집안에 카이스트 박사 있고,
    저는 문과 박사도 아니고 석사입니다.
    문과는 겉핧기만 해도 아는 척 할 수 있는 분야이긴 하죠.

    쳇gpt 찬양하는 글 많이 올라오는데,
    이게 조금만 깊이 들어가도 거의 오답만 나와요.
    한국이 문과 분야를 얼마나 우습게 아는지 알 수 있는 지표죠.
    하긴 서상한 교수들 공부 때려치고, 정치권 기웃거리는 교수들 많기는 하죠.

  • 13. ㅇㅇ
    '25.5.10 3:49 AM (116.121.xxx.181)

    문과는 당장 자본으로 치환되지 않는 분야여서 그래요.
    어느 대학에서는 공부 설렁설렁해도 학점 주나 보죠.

  • 14. 근데
    '25.5.10 3:51 AM (116.121.xxx.181)

    이과는 어느 대학 다니셨어요?
    놀 거 다 놀고, 연애질 하면서 연대 나와서 삼성 다니는 조카 있습니다만.

  • 15. 일부공감
    '25.5.10 4:02 AM (1.222.xxx.117) - 삭제된댓글

    저도 문과에서 이과 갈아탄 케이스
    학교는 문과가 더 입결 높고 석사까지했고
    이과 공부 비하면 슬렁슬렁 맞아요.
    공부 사이즈 방대함 자체가 달라요. 사고력 글쓰기?
    이과가 더 합니다.ㅎㅎ 문과는 양만 많지 어려울게 없어요

    일부라 표현한거는 사람마다 경향성에 따라
    인사이트가 차이가 있어서 여지를 둔거죠.

  • 16. ...
    '25.5.10 4:03 AM (219.255.xxx.39)

    졸업까지 하셨나요?
    학문의 깊이를 그렇게 척단하다니...

  • 17. 일부 공감
    '25.5.10 4:04 AM (1.222.xxx.117) - 삭제된댓글

    저도 문과에서 이과 갈아탄 케이스
    학교는 문과가 더 입결 높고 석사까지했지만
    이과 공부 비하면 슬렁슬렁 맞아요.
    양쪽 공부 제대로 했다면 오히려 원글말 맞아요
    공부 사이즈 방대함 자체가 달라요. 사고력 글쓰기?
    이과가 더 합니다.ㅎㅎ 문과는 양만 많지 어려울게 없어요

    일부라 표현한거는 사람마다 경향성에 따라
    인사이트가 차이가 있어서 여지를 둔거죠

  • 18. 일부공감
    '25.5.10 4:05 AM (1.222.xxx.117)

    저도 문과에서 이과 갈아탄 케이스
    학교는 문과가 더 입결 높고 석사까지했지만
    이과 공부 비하면 슬렁슬렁 맞아요.
    양쪽 공부 제대로 했다면 오히려 원글말 맞아요
    공부 사이즈 방대함 자체가 달라요. 사고력 글쓰기?
    이과가 더 합니다.ㅎㅎ 문과는 양만 많지 어려울게 없어요
    아 철학은 예외 ㅋ

    일부라 표현한거는 사람마다 경향성에 따라
    인사이트가 차이가 있어서 여지를 둔거죠

  • 19. ...
    '25.5.10 4:07 AM (112.133.xxx.232)

    암기량은 이과가 월등하지만
    고차원적 인지기능량은 문과가 월등

    그러나 문과도 암기로 배우면 원글말이 맞죠

  • 20. ....
    '25.5.10 4:12 AM (211.235.xxx.31) - 삭제된댓글

    아놔~~이과가 이해력 사고 인지가 더 중요해요.
    이과가 암기라니? 듣던 중 처음이네
    초딩 수학도 암기로 안해요

  • 21. 아이고
    '25.5.10 4:12 AM (211.234.xxx.37)

    어정쩡한 대학 스캔만 했나 봄

    이러니 yuji 여사가 박사 따나 봄

    최소한
    스카이 문과생들은 토플 성적만 해도 같은 대학 이과생들과 비교불허고요

  • 22. ...
    '25.5.10 4:12 AM (211.235.xxx.31) - 삭제된댓글

    아놔~~이과가 이해력 사고 인지가 더 중요해요.
    이과가 암기라니? 듣던 중 처음이네
    초딩 수학도 암기로 안해요.

  • 23. ...
    '25.5.10 4:15 AM (211.235.xxx.31) - 삭제된댓글

    아놔~~이과가 이해력 사고 인지가 더 중요해요.
    이과가 암기라니? 듣던 중 처음이네
    초딩 수학도 암기로 안해요. 학생둔 토플 비교자체가
    수준이 낮은겁니다

  • 24. ...
    '25.5.10 4:15 AM (211.235.xxx.31) - 삭제된댓글

    아놔~~이과가 이해력 사고 인지가 더 중요해요.
    이과가 암기라니? 듣던 중 처음이네
    초딩 수학도 암기로 안해요. 학생들 토플점수 비교자체가
    수준이 낮은 겁니다.

  • 25. ....
    '25.5.10 4:16 AM (211.235.xxx.31)

    아놔~~이과가 이해력 사고 인지가 더 중요해요.
    이과가 암기라니? 듣던 중 처음이네
    초딩 수학도 암기로 안해요. 학생들 토플점수 비교자체가
    수준이 낮은 겁니다.
    Yuji박사도 문과니 가능한거지. 이과였으면 광탈

  • 26. 아이고
    '25.5.10 4:17 AM (211.234.xxx.37)

    yuji 여사 학위 준 대학은 이런 소리 들어도 싸요

    문과는 학력 차이 엄청나요

    근데
    토플 성적 스카이생들도 문과생들 평균도 못 따라가는데 이런 건 학점에 안 들어간다고 공부량에 포함시키지도 않지요?

    그러니
    이런 글 보면
    죄송하지만 대학 레벨 나옵니다

  • 27. ...
    '25.5.10 4:21 AM (211.235.xxx.31) - 삭제된댓글

    저 스카이인데 레벨을 어디서 나누는거죠?
    토플은 고딩수준에서 논하는데 무슨

  • 28. ...
    '25.5.10 4:22 AM (211.235.xxx.31)

    저 스카이인데 레벨을 어디서 나누는거죠?
    토플은 고딩수준에서 논하는데 무슨
    특기수준으로 공부량 따지시는지
    죄송하지만 이과공부 한번해보시고 레벨 따지세요

  • 29. 근데
    '25.5.10 4:26 AM (114.206.xxx.112)

    80년대도 아니고 토플 성적이 인텔리전스의 지표가 될수가 있나요 ㅋ

  • 30. 아이고
    '25.5.10 4:27 AM (211.234.xxx.37)

    윗님은 스카이 어느 과인가요?
    윗님이 현재 스카이생인가요
    아님
    자녀 분이 스카이인가요?

    이런 글 자체가 다른 학문 분야를 전혀 모르고
    단순비교로 쉽게 접근하는
    김건희 같은 발상의 글이라는 거예요

  • 31. 아이고
    '25.5.10 4:29 AM (211.234.xxx.37)

    원글님은
    80년대도 아니고
    단순 학점 따기 쉬운 공부량이 인텔리젠스의 지표가 될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ㅋㅋㅋ

  • 32. 학교레벨?
    '25.5.10 4:31 AM (1.222.xxx.117) - 삭제된댓글

    이공계를 학교레벨 찾고 토플에서 찾는게
    비교군 기준사고 미확립
    같은레벨 선상에서 비교를 해도 이공계 수준이 다른걸

    안해보니 알 수 없죠. 문과가 이과보다 수월하면
    대해 레벨이 낮다 근거를 제시하던지 이건 뭐
    서울대 물리학 이라면 울겠네요 ㅎㅎ

  • 33. 학교레벨?
    '25.5.10 4:31 AM (1.222.xxx.117) - 삭제된댓글

    이공계를 학교레벨 찾고 토플에서 찾는게
    비교군 기준사고 미확립
    같은레벨 선상에서 비교를 하던지 이공계 수준이 다른걸

    안해보니 알 수 없죠. 문과가 이과보다 수월하면
    대학 레벨이 낮다 근거를 제시하던지 이건 뭐
    서울대 물리학 이라면 울겠네요 ㅎㅎ

  • 34. 학교레벨?
    '25.5.10 4:35 AM (1.222.xxx.117) - 삭제된댓글

    이공계를 학교레벨 찾고 토플에서 찾는게
    비교군 기준사고 미확립
    같은레벨 선상에서 비교를 하던지 이공계 수준이 다른걸

    둘 다 안해보면 알 수 없죠.
    어그로로 해 보지 않고 대학 레벨이 낮다할게 아니라
    근거를 제대로 제시하던지. 레벨운운이
    때 김건희 수준 아닙니까?
    서울대 물리학 이라면 울겠네요 ㅎㅎ

  • 35. 아이고
    '25.5.10 4:35 AM (211.234.xxx.37)

    스카이 이공계
    같은 대학이어도 과별로 레벨 엄청 따지고 서열 나늡니다
    이 원글이 그런 세계를 1도 모르고 문과는 쉽다는 초단순 글 올리니 하는 말이죠

    새벽이라 그런지 외로운 분들 많네요

  • 36. 학교레벤?
    '25.5.10 4:36 AM (1.222.xxx.117) - 삭제된댓글

    이공계를 학교레벨 찾고 토플에서 찾는게
    비교군 기준사고 미확립
    같은레벨 선상에서 비교를 하던지 이공계 수준이 다른걸

    둘 다 안해보면 알 수 없죠.
    어그로로 해 보지 않고 대학 레벨이 낮다할게 아니라
    근거를 제대로 제시하던지.
    레벨운운 하는게 되려 김건희 수준 아닙니까?
    서울대 물리학 이라면 울겠네요 ㅎㅎ

  • 37. 학교레벨?
    '25.5.10 4:36 AM (1.222.xxx.117)

    이공계를 학교레벨 찾고 토플에서 찾는게
    비교군 기준사고 미확립
    같은레벨 선상에서 비교를 하던지 이공계 수준이 다른걸

    둘 다 안해보면 알 수 없죠.
    어그로로 해 보지 않고 대학 레벨이 낮다할게 아니라
    근거를 제대로 제시하던지.
    레벨운운 하는게 되려 김건희 수준 아닙니까?
    서울대 물리학 이라면 울겠네요 ㅎㅎ

  • 38.
    '25.5.10 4:40 AM (91.209.xxx.208) - 삭제된댓글

    저 서성한 이과 문과 복수전공.. 문과는 인문학적 소양있으면 목차 머릿말 개요 보고 좋응 점수 아닌 대충 점수받기엔 쉽구요. 이과는 평소 학습량 딸리면 시험에 답울 못써요.. 원래 전공이 수학교육인게 이게 훨씬 많아 어려웠어요. ㅠㅠ

  • 39. ...
    '25.5.10 4:47 AM (86.164.xxx.188)

    저는 작년부터 대학원다니는데 에세이나 과제할 때 AI끼고 합니다. 이게 뭔가 싶어요. 다들 쓰니 안쓰면 나만 완전 유치한 에세이 작성하게 될 것 같고. 대학도 오죽하면 AI를 썼는지 안썼는지 알아낼 방법이 없다고 하네요. 에세이를 넣고 돌리면 그것자체가 개인정보법에 저촉되어서 그런건지. 암튼 책읽는 것도 AI시켜서 요약해 달라고 해서 요약본만 읽는 친구들도 많고. 암튼 이런추세라 문과다 이과다가 무슨 소용있나 싶네요

  • 40. 아이고
    '25.5.10 5:00 AM (211.234.xxx.37)

    원글은 2000년대 초반 기준으로 세상을 분석한 듯
    쳇 gpt가 혁명이예요
    쌍팔년도 2천년대 초반 감수성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루저 소리 들어요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문과에서도 코딩 배워야한다고
    목청 높었는데
    요즘 누가 코딩 배웁니까?

    원글님이 알던 세상은 다 무너졌어요
    이과 나와도 사라지는 직업군 많아졌고요
    커리큘럼도 다 바뀌었어요

    Ai가 특히 이과 직업군을 삼키고 있어서
    다들 초조하게 생각하는데
    뭔 이과 문과?
    문이과 통합한 건 아시는지

    그냥 제 주관적인 생각인데
    AI가 유독 맥 못 추는 문사철이 앞으로 인기있을 듯요

  • 41.
    '25.5.10 5:21 AM (59.14.xxx.42)

    인정. 공대 공부량 어렵고 많은건 진실.
    인정할 건 인정해야

  • 42. 어???
    '25.5.10 5:24 AM (211.109.xxx.157)

    딱 3년 전만 해도 그럼 문과대학생들은 컴공 부전공하려고 코딩 배우던데 이젠 그것도 필요없어졌나요?

  • 43. 아이고
    '25.5.10 5:24 AM (211.234.xxx.37)

    이과 공부 많다는 사람은 최소 10년전에 대학 졸업한 분들
    인정할 건 인정해야

  • 44. 맞아요
    '25.5.10 5:25 AM (211.49.xxx.71)

    화공과 다니는 딸래미 탭 보니까 수학이랑 물리 공식 등등 보기만해도 저걸 어찌하나 싶던데 ㅜㅜ 저는 문과인데 다시 태어나도 이과공부량은 못따라 갈것같아요

  • 45. 어???
    '25.5.10 5:28 AM (211.109.xxx.157) - 삭제된댓글

    3년 전 대학생 기준으로 의대 >> 공대 >>>>> 이과일반과 >>>>>>>>> 문과였는데요

  • 46. 어?
    '25.5.10 5:30 AM (211.109.xxx.157)

    3년 전 대학생 기준으로 의대 >>> 공대 >>>>> 이과일반과 >>>>>>>>> 문과였는데요

    지금 뭐가 그렇게 많이 바뀐 거예요?

  • 47. 어?
    '25.5.10 5:36 AM (211.109.xxx.157)

    ai한테 물어봤어요 ㅋ

    학습량을 단순히 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주관적일 수 있지만, 일반적인 인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의대를 기준으로 다른 단과대학의 학습량을 상대적으로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 학습량 상대 비교 (의대 = 100 기준)
    단과대학 상대적 학습량 (의대 = 100) 주요 특징
    의과대학 100 방대한 암기량, 실습 및 출석 필수, 유급 제도 등 엄격한 학사 관리
    공과대학 70~80 이론과 실습 병행, 문제 해결 중심, 과제와 프로젝트 다수
    자연과학대학 60~70 이론 중심 학습, 실험 및 분석 중요, 연구 중심 교육
    문과대학 40~60 자율 학습 중심, 독서와 글쓰기, 토론 및 발표 위주

    ???? 참고 사항
    의과대학: 학습량이 가장 많으며, 하루 평균 8~10시간 이상의 학습이 요구됩니다.

    공과대학: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며, 과제와 프로젝트로 인해 학습량이 많습니다.

    자연과학대학: 이론 중심의 학습과 실험이 중요하며, 연구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문과대학: 자율 학습이 중심이며, 독서와 글쓰기, 토론 및 발표가 주요 학습 방식입니다.

    ✅ 결론
    의과대학은 학습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평가되며,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은 그 다음으로 학습량이 많습니다. 문과대학은 상대적으로 학습량이 적지만, 자율성과 창의성이 요구되는 학습 방식이 특징입니다.

    전공 선택 시에는 자신의 적성과 관심 분야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8. ...
    '25.5.10 5:40 AM (211.109.xxx.157)

    지금은 모르겠지만 저희 애들 학교다닐 때
    교환학생을 거의 문과만 다녀오는 걸 보면 알겠더라구요
    의대나 공대는 공부할 게 많아서 엄두도 못 내요

  • 49. ㅋㅋㅋ
    '25.5.10 5:53 AM (211.234.xxx.141)

    윗님
    의대는 교환학생 없어요 ㅋ
    뭔 말도 안 되는 비교를

  • 50. ...
    '25.5.10 6:00 AM (211.109.xxx.157) - 삭제된댓글

    한 학기 교환학생 있긴 있던데요
    저희 애도 준비하다가 포기했어요

  • 51. ...
    '25.5.10 6:01 AM (211.109.xxx.157)

    대학마다 다른지는 모르겠지만 의대도 교환학생제도 있긴 있던데요
    저희 애도 준비하다가 포기했어요

  • 52. 연대
    '25.5.10 6:12 AM (211.36.xxx.117) - 삭제된댓글

    연대 문과 다니는 조카가
    고등때도 이과반 앞 복도는 조용한데 문과반은 복도부터 시끌벅적하다고
    이과생 친구가 선택과목 꼬여서 문과반에 배정받으면 엄청 속상해 한다고 했어요
    여고라 그런지 입결은 문과가 더 높았었는데도요

  • 53.
    '25.5.10 6:12 AM (124.5.xxx.227)

    의대 교환학생 있어요.
    https://mungmungdiary.tistory.com/m/11
    근데 남편 공대고 저는 사과대 졸인데
    둘 다 상위권대고요. 학부부터 사귀었는데
    남편 공부량이 훨씬 많더라고요. 그건 학부도 대학원도 다 그래요. 남편이 나중에 미국에서 MBA했는데 한국 공대 석사에 비하면 공부하기가 굉장히 편하다고 했어요.
    정원외 입학생도 문과에 더 많았어요. 교포나 주재원 자녀, 특기생들이었는데요. 정원외로 들어오는 학생들이 이공계는 힘들어서 아예 못 따라가고 문과는 학사경고 겨우 넘기는 수준으로 졸업은 하더라고요.
    스포츠 선수나 연예인들이 특기자로 이공계 정원외로 들어간 경우를 못들어봤네요.

  • 54. 연대
    '25.5.10 6:12 AM (211.36.xxx.15)

    연대 문과 다니는 조카가
    고등때도 이과반 앞 복도는 조용한데 문과반은 복도부터 시끌벅적하다고
    이과생 친구가 선택과목 꼬여서 문과반에 배정받으면 엄청 속상해 한다고 했어요
    여고라 그런지 입결은 문과가 더 높은 학교였어요

  • 55. 요즘
    '25.5.10 6:15 AM (124.5.xxx.227) - 삭제된댓글

    요즘 문과가 같은 성적이면 입결이 높죠. 최상위권 이과는 보험으로 제2외국어 보잖아요. 시험 망치면 서울대 문과라도 들어가려고
    요즘 고등학생 최상위 90%이상은 이과 선택 그 중 90%이상은 메디컬 선택합니다.

  • 56. 요즘
    '25.5.10 6:17 AM (124.5.xxx.227) - 삭제된댓글

    요즘 같은 성적이면 문과로 넣으며ㆍ 대학 레벨이 더 높죠. 최상위권 이과는 보험으로 제2외국어 보잖아요. 시험 망치면 서울대 문과라도 들어가려고
    요즘 고등학생 최상위 90%이상은 이과 선택 그 중 90%이상은 메디컬 선택합니다. 그래서 고등학교 문과반이 수업분위기가 좀 그래요.

  • 57. 요즘
    '25.5.10 6:23 AM (124.5.xxx.227)

    요즘 같은 성적이면 문과로 넣으면 대학 레벨이 더 높죠. 최상위권 이과는 보험으로 제2외국어 보잖아요. 시험 망치면 서울대 문과라도 들어가려고 요즘 고등학생 최상위 90%이상은 이과 선택 그 중 90%이상은 메디컬 선택합니다. 그래서 고등학교 문과반이 수업분위기가 좀 그래요.
    미대나 이런 곳도 과제가 많은 것 같더라고요. 저희 언니가 미대 나왔는데 대학 때 보니까 사과대 다니는 저보다 더 많이 밤새고 고생하던데요. 우리는 뭐 과제 끄적 끄적 적당히 하고 시험전에 적당히 공부하면 졸업은 합니다. 문과라도 수학관련 학과면 어렵고요.

  • 58. ...
    '25.5.10 6:40 AM (211.109.xxx.157) - 삭제된댓글

    ChatGPT
    나의 말:
    https://openai.com/index/chatgpt/ 요즘은 코딩 ai가 다 짜줘?
    ChatGPT의 말:
    요즘은 AI가 코딩을 상당 부분 자동화해주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ChatGPT를 비롯한 다양한 AI 도구들이 개발자들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으며, 일부 스타트업에서는 전체 코드의 95% 이상을 AI로 생성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위키백과

    ???? 최신 AI 코딩 도구들
    ChatGPT (GPT-4o 및 GPT-4.1): 복잡한 기술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어, 더 깔끔하고 간단한 프론트엔드 코드를 정확하게 생성합니다.
    OpenAI 도움센터

    Cursor: 자연어 명령을 통해 하루에 거의 10억 줄의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AI 기반 프로그래밍 도구로, Stripe, OpenAI, Spotify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Financial Times

    Windsurf (구 Codeium): AI 코딩 플랫폼으로, 최근 OpenAI가 약 30억 달러에 인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Reuters

    Amazon Kiro: AWS에서 개발 중인 AI 기반 코딩 도구로, 사용자 프롬프트와 기존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코드를 생성합니다.
    Business Insider

    Figma Make: Anthropic의 Claude 3.7 모델을 활용하여 설명이나 디자인으로부터 기능적인 앱과 프로토타입을 구축할 수 있는 AI 코딩 도우미입니다.
    The Verge

    ???? 새로운 코딩 패러다임: 바이브 코딩
    "바이브 코딩(Vibe Coding)"은 사용자가 문제를 간단히 설명하면 AI가 코드를 생성하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방식입니다. 이 접근 방식은 비전문가도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게 하며, 특히 개인 프로젝트나 프로토타입 제작에 유용합니다.
    Business Insider
    +2
    위키백과
    +2
    Financial Times
    +2

    ⚠️ AI 코딩의 한계와 주의사항
    AI가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해주지만, 생성된 코드의 정확성과 보안성은 항상 보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AI가 생성한 코드를 검토하고 테스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특히, 중요한 프로젝트에서는 AI의 도움을 받더라도 개발자가 코드의 내용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결론
    AI는 코딩을 더욱 효율적이고 접근하기 쉽게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AI의 도움을 받더라도 개발자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며, AI와 협업하여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나 특정 AI 도구에 대한 추천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







    출처
    나의 말:
    문과 대학생 컴공 부전공하던데 전망은?
    ChatGPT의 말:
    문과 계열 전공자가 컴퓨터공학을 부전공하는 것은 매우 유망한 선택입니다.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인문학적 사고력과 기술적 역량을 겸비한 인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문과생의 컴공 부전공: 전망과 장점
    융합형 인재로의 성장
    인문학적 배경과 컴퓨터공학 지식을 결합하면, 사용자 경험(UX), 기술 마케팅,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취업 기회의 확대
    IT 기업뿐만 아니라 금융, 교육, 의료 등 다양한 산업에서 디지털 역량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므로, 취업 기회가 넓어집니다.

    AI 시대에 적합한 역량 강화
    AI와 자동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컴공 부전공은 이러한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부전공과 복수전공의 차이
    부전공: 주 전공 외에 다른 학과의 전공 과목을 일정 학점 이상 이수하여 학위증서에 부전공이 표시됩니다. 일반적으로 21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합니다.
    경희대학교
    +1
    송원대학교
    +1

    복수전공: 두 개의 전공을 모두 이수하여 두 전공의 학위를 취득하는 것으로, 더 많은 학점 이수가 필요하며 학업 부담이 큽니다.

    부전공은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으면서도 컴퓨터공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갖출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실무 역량 강화 방법
    온라인 강의 활용: Coursera, edX, FastCampus 등에서 제공하는 컴퓨터공학 관련 강의를 통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경험 쌓기: 개인 프로젝트나 해커톤에 참여하여 실무 경험을 쌓고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세요.

    자격증 취득: 정보처리기사, 컴퓨터활용능력 등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 시 도움이 됩니다.

    인턴십 참여: IT 관련 인턴십에 참여하여 현장 경험을 쌓고 네트워크를 형성하세요.

    ✅ 결론
    문과 전공자가 컴퓨터공학을 부전공하는 것은 디지털 시대에 매우 유리한 선택입니다.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은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며, 개인의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습니다. 학업과 실무 경험을 병행하여 자신만의 경쟁력을 키워나가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나 구체적인 계획 수립에 도움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



    출처
    나의 말:
    그럼 코딩 배워야 컴공 부전공해?
    ChatGPT의 말:
    컴퓨터공학 부전공을 이수하려면 코딩을 배우는 것이 필수는 아니지만,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부전공 과정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C, Java, Python 등)를 활용한 과제나 프로젝트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기초적인 코딩 능력이 있으면 학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컴공 부전공에서 배우는 내용
    대부분의 대학에서 컴공 부전공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은 과목들로 구성됩니다:

    자료구조, 알고리즘, 운영체제, 컴퓨터 구조

    객체지향 프로그래밍(C++ 등)

    웹 프로그래밍, 오픈소스 개발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커리어리

    이러한 과목들은 단순한 코딩 기술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작동 원리와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반적인 이해를 요구합니다.

    ???? 코딩 학습의 중요성
    컴공 부전공을 시작하기 전에 코딩을 미리 학습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과제 수행 능력 향상: 프로그래밍 과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해도 증진: 이론적인 개념을 실제 코드로 구현해보면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자신감 향상: 초기 수업에서의 어려움을 줄이고, 학업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특히, C언어나 Java와 같은 언어는 컴퓨터의 메모리 구조와 같은 저수준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이러한 언어를 미리 접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코딩 학습을 위한 추천 방법
    온라인 강의 수강: Coursera, edX, FastCampus 등에서 제공하는 입문자용 코딩 강의를 활용하세요.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 Python은 문법이 간단하여 입문자에게 적합하며, 이후 C나 Java로 확장해 나갈 수 있습니다.

    실습 중심 학습: 간단한 프로젝트나 문제 해결을 통해 실습 위주로 학습하세요.

    스터디 그룹 참여: 함께 학습하는 그룹에 참여하여 동기부여를 얻고,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세요.

    ✅ 결론
    컴공 부전공을 이수하는 데 있어 코딩 능력은 필수는 아니지만, 학업의 효율성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미리 학습하는 것이 매우 유익합니다. 기초적인 코딩 능력을 갖추면 부전공 과정을 보다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향후 진로 선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코딩 학습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나 추천 강의 목록을 제공해드릴 수 있으니,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



    출처
    나의 말:
    공대 의대 자연대 문과대 학습량 비교해줘
    ChatGPT의 말:
    대학별 학습량은 전공 특성과 교육 방식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아래는 의대, 공대, 자연대, 문과대의 학습량과 특징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 의과대학 (의대)
    학습량: 매우 방대하며, 주로 암기 중심입니다. 아침 8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수업이 이어지며, 해부 실습 등으로 인해 저녁 시간에도 학교에 남아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말에도 시험이 있을 수 있으며, 유급 제도가 있어 긴장감이 높습니다 .
    Brunch Story

    특징: 암기해야 할 내용이 많고, 실습과 출석이 중요합니다. 시험은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나, 평균 점수가 높아 경쟁이 치열합니다.

    ???? 공과대학 (공대)
    학습량: 이론과 실습이 균형을 이루며, 수학과 물리 등 기초 과목의 난이도가 높습니다. 프로그래밍, 회로 설계, 실험 보고서 작성 등 다양한 과제가 주어집니다.

    특징: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성이 요구되며,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학부 수준에서는 학습량이 많지만, 의대에 비해 암기보다는 이해와 응용에 중점을 둡니다 .
    mlbpark.donga.com

    ???? 자연과학대학 (자연대)
    학습량: 기초 과학 이론과 실험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수학, 화학, 생물학, 물리학 등의 과목이 포함되며, 실험 보고서 작성과 데이터 분석이 중요합니다.

    특징: 이론적 깊이가 요구되며, 연구 중심의 학습이 많습니다. 공대와 유사한 점이 있으나, 응용보다는 이론에 중점을 둡니다.

    ???? 문과대학 (문과대)
    학습량: 상대적으로 자율성이 높으며, 독서와 에세이 작성, 토론 등이 중심입니다. 암기보다는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글쓰기 능력이 중요합니다.

    특징: 조별 과제와 발표가 많으며,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학습량은 개인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학습량 비교 요약
    대학 학습량(상대적) 학습 방식 주요 특징
    의대 매우 많음 암기 중심 실습, 출석, 유급 제도 등 엄격함
    공대 많음 이론 + 실습 문제 해결, 창의성 요구
    자연대 중간 이론 중심 연구 중심, 실험 및 분석 중요
    문과대 적음~중간 자율 학습 비판적 사고, 글쓰기, 토론 중심
    ✅ 결론
    각 대학의 학습량과 방식은 전공의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의대는 방대한 암기량과 엄격한 학사 관리로 인해 학습량이 가장 많다고 평가됩니다. 공대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며,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합니다. 자연대는 이론 중심의 학습과 연구가 강조되며, 문과대는 자율성과 비판적 사고가 중심이 됩니다.

    전공 선택 시에는 자신의 적성과 관심 분야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나의 말:
    양으로 비교해줘
    의대가 100이면 다른 대학은 얼마 정도?
    ChatGPT의 말:
    학습량을 단순히 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주관적일 수 있지만, 일반적인 인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의대를 기준으로 다른 단과대학의 학습량을 상대적으로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 학습량 상대 비교 (의대 = 100 기준)
    단과대학 상대적 학습량 (의대 = 100) 주요 특징
    의과대학 100 방대한 암기량, 실습 및 출석 필수, 유급 제도 등 엄격한 학사 관리
    공과대학 70~80 이론과 실습 위의 결과에 미대 학습량도 같이 비교해줘
    ChatGPT의 말:
    미술대학(미대)의 학습량은 다른 단과대학과는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인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상대적인 학습량을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 미술대학(미대)의 학습 특성
    실기 중심의 학습: 미대는 이론보다는 실기 수업이 중심이며, 작품 제작에 많은 시간을 투자합니다.

    과제와 프로젝트: 작품 완성을 위한 과제와 프로젝트가 많아, 주말이나 방학에도 작업을 계속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 작업 시간: 수업 시간 외에도 개인 작업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며, 이는 학습량에 포함됩니다.

    ???? 학습량 상대 비교 (의대 = 100 기준)
    단과대학 상대적 학습량 (의대 = 100) 주요 특징
    의과대학 100 방대한 암기량, 실습 및 출석 필수, 유급 제도 등 엄격한 학사 관리
    공과대학 70~80 이론과 실습 병행, 문제 해결 중심, 과제와 프로젝트 다수
    자연과학대학 60~70 이론 중심 학습, 실험 및 분석 중요, 연구 중심 교육
    미술대학 60~70 실기 중심 학습, 작품 제작에 많은 시간 투자, 개인 작업 시간 포함
    문과대학 40~60 자율 학습 중심, 독서와 글쓰기, 토론 및 발표 위

  • 59. ...
    '25.5.10 6:41 AM (211.109.xxx.157)

    술대학(미대)의 학습 특성
    실기 중심의 학습: 미대는 이론보다는 실기 수업이 중심이며, 작품 제작에 많은 시간을 투자합니다.

    과제와 프로젝트: 작품 완성을 위한 과제와 프로젝트가 많아, 주말이나 방학에도 작업을 계속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 작업 시간: 수업 시간 외에도 개인 작업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며, 이는 학습량에 포함됩니다.

    ???? 학습량 상대 비교 (의대 = 100 기준)
    단과대학 상대적 학습량 (의대 = 100) 주요 특징
    의과대학 100 방대한 암기량, 실습 및 출석 필수, 유급 제도 등 엄격한 학사 관리
    공과대학 70~80 이론과 실습 병행, 문제 해결 중심, 과제와 프로젝트 다수
    자연과학대학 60~70 이론 중심 학습, 실험 및 분석 중요, 연구 중심 교육
    미술대학 60~70 실기 중심 학습, 작품 제작에 많은 시간 투자, 개인 작업 시간 포함
    문과대학 40~60 자율 학습 중심, 독서와 글쓰기, 토론 및 발표 위주

    ✅ 결론
    미술대학은 실기 중심의 학습으로 인해 수업 외에도 많은 개인 작업 시간이 필요하며, 이는 학습량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학습량은 자연과학대학과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수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전공 선택 시에는 자신의 적성과 관심 분야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0. ..
    '25.5.10 8:54 AM (210.178.xxx.86)

    저도 학사 공학하고 석사 문학으로 바꿔서 학부생 수업도 들었는데 학부 수업은 정말 시험준비 쉽더라구요..

    두번째 놀란 건 논문쓴다고 논문 검색했는데 (90년대 후반 기준) 같은 주제 논문 검색하면 토씨하나 안 틀리고 똑같은 내용들. 표절의 개념이 아예 없는 것 같았어요.

  • 61. ㅋㅋㅋ
    '25.5.10 9:10 AM (118.235.xxx.223) - 삭제된댓글

    밑도 끝도 없이 아무 기준도 없이 제대로 공부 ㅋㅋㅋ

    정확히 말하자면 서성한 기준 학부에서 3.5 정도 학점 받기까지 드는 시간과 노력이 1/4예요 문과의 전공 대부분은 그냥 교양 수준이라 봐요


    아니 본인이야말로
    밑도 끝도 없이 문과 공부는 문센이라면서…??? ㅋ

    어디 유학이라도 다녀오고 저런 소리 하나 했더니
    뭐? 국내 대학 학점 기준…? ㅋㅋㅋ

    학점이 공부의 전부인 인생을 살았구나 ㅎㅎㅎ

  • 62. ㅋㅋㅋ
    '25.5.10 9:16 AM (118.235.xxx.131) - 삭제된댓글

    밑도 끝도 없이 아무 기준도 없이 제대로 공부 ㅋㅋㅋ

    정확히 말하자면 서성한 기준 학부에서 3.5 정도 학점 받기까지 드는 시간과 노력이 1/4예요 문과의 전공 대부분은 그냥 교양 수준이라 봐요


    80년대도 아니고 토플 성적이 인텔리전스의 지표가 될수가 있나요 ㅋ

    ======

    아니 원글이 밑도 끝도 없이 문과 공부는 문센이라면서…??? ㅋ

    어디 유학이라도 다녀오고 저런 소리 하나 했더니
    뭐? 국내 대학 학점 기준…? ㅋㅋㅋ

    학점이 공부의 전부인 인생을 살았구나 ㅎㅎㅎ

    원글 말대로 학점이 인텔리전스의 지표가 될 수 있겠나요? ㅋㅋㅋ (근데 인텔리전스는 왜 외래어로 쓴 거임? ㅋ)

  • 63. 원글이 한 말임
    '25.5.10 9:32 AM (118.235.xxx.223) - 삭제된댓글

    밑도 끝도 없이 아무 기준도 없이 제대로 공부 ㅋㅋㅋ

    정확히 말하자면 서성한 기준 학부에서 3.5 정도 학점 받기까지 드는 시간과 노력이 1/4예요 문과의 전공 대부분은 그냥 교양 수준이라 봐요


    80년대도 아니고 토플 성적이 인텔리전스의 지표가 될수가 있나요 ㅋ

    ======

    아니 원글 당신이
    밑도 끝도 없이 문과 공부는 문센이라면서…??? ㅋ

    어디 유학이라도 다녀오고 저런 소리 하나 했더니
    뭐? 국내 대학 학점 기준…? ㅋㅋㅋ

    학점이 공부의 전부인 인생을 살았구나 ㅎㅎㅎ

    원글 말대로 학점이 인텔리전스의 지표가 될 수 있겠나요? ㅋㅋㅋ (근데 원글은 왜 인텔리전스를 외래어로 쓴 거임? ㅋ)

  • 64. 애초 원글이 문제
    '25.5.10 9:33 AM (118.235.xxx.199) - 삭제된댓글

    밑도 끝도 없이 아무 기준도 없이 제대로 공부 ㅋㅋㅋ

    정확히 말하자면 서성한 기준 학부에서 3.5 정도 학점 받기까지 드는 시간과 노력이 1/4예요 문과의 전공 대부분은 그냥 교양 수준이라 봐요


    80년대도 아니고 토플 성적이 인텔리전스의 지표가 될수가 있나요 ㅋ

    ======

    아니 원글 당신이
    밑도 끝도 없이 문과 공부는 문센이라면서…??? ㅋ

    어디 유학이라도 다녀오고 저런 소리 하나 했더니
    뭐? 국내 대학 학점 기준…? ㅋㅋㅋ

    학점이 공부의 전부인 인생을 살았구나 ㅎㅎㅎ

    원글 말대로 학점이 인텔리전스의 지표가 될 수 있겠나요? ㅋㅋㅋ (근데 원글은 왜 인텔리전스를 외래어로 쓴 거임? ㅋ)

  • 65. 애초 원글이 문제
    '25.5.10 9:34 AM (118.235.xxx.113)

    밑도 끝도 없이 아무 기준도 없이 제대로 공부 ㅋㅋㅋ

    정확히 말하자면 서성한 기준 학부에서 3.5 정도 학점 받기까지 드는 시간과 노력이 1/4예요 문과의 전공 대부분은 그냥 교양 수준이라 봐요


    80년대도 아니고 토플 성적이 인텔리전스의 지표가 될수가 있나요 ㅋ

    ======

    아니 원글 당신이
    밑도 끝도 없이 문과 공부는 문센이라면서…??? ㅋ

    어디 유학이라도 다녀오고 저런 소리 하나 했더니
    뭐? 국내 대학 학점 기준…? ㅋㅋㅋ

    학점이 공부의 전부인 인생을 살았구나 ㅎㅎㅎ

    원글 말대로 학점이 인텔리전스의 지표가 될 수 있겠나요? ㅋㅋㅋ (근데 원글은 왜 인텔리전스를 외래어로 쓴 거임? ㅋ)

    어느 대학에서 문과 공부했는지 몰라도 아주 형편없네요 ㅎㅎ
    자기 반성이 인문학 정신의 기본인데 도구적으로만 공부했나 봄

  • 66. ???
    '25.5.10 9:49 AM (211.110.xxx.102)

    죄다 박사학위쯤은 다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닌데
    그럼 어느 학교 어느 과정 기준인지 딱 알려주세요

  • 67.
    '25.5.10 10:10 AM (49.1.xxx.217)

    저도 서성한 공대 출신인데
    학교 다닐 때 경영, 경제 쪽 전공 수업 듣는 게 유행이었죠.
    미안하지만 적당히 공부해도 최소 B+

  • 68.
    '25.5.10 10:33 AM (118.235.xxx.151)

    ㅎㅎㅎ
    미안해할 거 없어요

    원글처럼 학점이 공부의 전부인 줄 아는 인생은 아닐 거잖아요? 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3984 지금 최대의 쓰레기들 5 여의도 09:57:04 1,036
1713983 끌어당김의 법칙이라고 자기암시같은거 2 자기 09:56:21 772
1713982 김문수 무소속 출마는 불가능해요(by 공직선거법 49조) 17 ㅅㅅ 09:53:03 3,302
1713981 급질 > 매장사진 환하고뽀샤시하게 보정하고 싶은데 어케 1 도와주세요 09:52:45 357
1713980 김문수 정치쿠테타라네요 16 765 09:51:13 3,570
1713979 등에 큰 사마귀가 있는데요 5 뺄까요? 09:51:05 617
1713978 한덕수로 밀고 나갈거 같은데 좀 불안~ 4 휴 ~ 09:48:15 1,302
1713977 요샌 영화가 진짜 뭐가 없나봐요 6 ㅇㅇ 09:46:21 1,098
1713976 김문수 걱정되네요. 11 .... 09:42:48 3,100
1713975 이재명 일하는 스타일 7 봄날처럼 09:42:34 901
1713974 응원봉에 윤석렬파면 스티커를 떼는중입니다 7 . . 09:42:33 1,544
1713973 혹시 화를 너무 많이 내는 것도 치매 DNA 인가요? 9 dd 09:41:30 933
1713972 새벽 5시 김밥싸는데 밥 미리? 5 김밥 09:40:43 886
1713971 놀랄 노 자네요. 7 .. 09:33:32 2,103
1713970 심리학 배우고 싶은데 퇴사조언 25 09:33:06 1,514
1713969 국힘 지지자분들 의견이 궁금해요. 32 ㅇㅇ 09:32:56 2,705
1713968 김문수는 왜 조용한가요? 7 ... 09:30:27 2,343
1713967 정청래 의원 페북 올리셨네요 4 09:30:19 3,249
1713966 55세 첫 피부과 시술로 뭘 추천하실까요? 10 123123.. 09:29:01 1,531
1713965 편의점 알바는 최저 임금을 일반적으로 주지 않나요? 18 .. 09:28:40 1,041
1713964 민주 "코미디 막장극 넘어 괴기 영화" 16 ... 09:27:49 1,547
1713963 국힘당 대선후보 바꿔치기 과정 보셨나요? 14 도랐... 09:27:11 1,868
1713962 캐시워크 하려는데 2 연동 09:25:35 567
1713961 법원의 어제 가처분 모두 기각이 가져온 참사 16 ... 09:20:27 2,422
1713960 저기... 지금 민주당 브레인 풀가동 중인거 맞죠? 23 .... 09:20:06 2,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