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맞벌이 부부 경우 남편 약속 얼마나 가지나요?

** 조회수 : 2,367
작성일 : 2025-04-15 15:40:45

맘 같아서는 2주 1회 하고 싶지만

분명히 주 1회는 약속이 잡힐거라고 할거에요

영업직은 아니지만 이래저래 좀 사람도 만나야 하는 자리여서요

점심 시간대로 모든걸 정리했음 싶은데  이건 아마도 제 욕심이라고 할 듯 하네요

 

저희는 늦게 결혼,출산해서 육아도 아직 진행중이라 ㅠㅠ

제가 체력 키우려면 주2회-3회 운동 해야겠더라구요

평일 가령 화.목은 무조건 저녁 운동갈거니 늦어도 8시전에는 집으로 골인 요구하고

금욜은 요새 약속 잘 안잡는 분위기니 칼퇴하라고 하고

남편 저녁 약속은 저 운동 안가는 요일 중에서만 잡아라하구요

 

제 요구사항에서 뭐 지나친 부분이 있나요? 없지 않나요? 

 

40대 중반에 남편분들 

한달 평균 약속으로 늦는 날이 어느 정도 되시나요?

 

지인은 육아 아직 진행중인 집에서 무슨 남자가 주1회 약속 꼬박잡냐고..

월 1-2회가 맞는거 아니냐고 하는데....

자신이 의지가 있으면 월 1-2회로 가능할거 같아보이지만

저희 남편은 그럴 의지 없을걸 잘 알기에 좀 폭을 넓혔어요 ㅠㅠ

그러지 말고 애초부터 빡빡하게 타잇하게 최소한으로만 합의를 하는게 나을까요? 

 

IP : 1.235.xxx.247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회사생활이
    '25.4.15 3:43 PM (1.239.xxx.246) - 삭제된댓글

    원글님도 아시겠지만 회사생활이 어떻게 그렇게 정리가 되나요
    더구나 사람도 좀 만나야 하는 자리라면서요.
    원글님이 24시간 헬스센터를 신청해서, 운동시간을 좀 늦게 잡는것도 방법일거 같아요
    운동을 점심시간에 할 수는 없나요?

  • 2. ...
    '25.4.15 3:47 PM (124.111.xxx.163)

    저도 맞벌이지만 본인은 주 3회 평일 운동 가면서 남편은 주 1회 약속도 못 잡게 하나요?

    저는 평일에는 하루 운동하고 토요일에 주로 운동갑니다. 가사분담은 요새는 남편이 더 많이 하고 저는 육아와 직장에만 신경쓰고요.
    원글이 주 3회 운동가야 한다면 하루는 토요일 끼고 하는게 낫지 싶어요. 남편도 주 2회 정도는 약속이든 야근이든 운동이든 하게 여유를 주세요. 주 1회는 둘중에 시간이 되는 사람이 하는 걸로 하고요.

    가사분담도 너무 칼같이 똑같이 나누려고 하면 부부사이 나빠져요. 인간은 누구나 이기적이고 내가 유리한 쪽으로만 생각하기 때문에 조금은 양보한다고 생각하고 일을 나눠야 실제로는 공평하게 나누어집니다.

  • 3. **
    '25.4.15 3:48 PM (1.235.xxx.247)

    제가 이제껏 첫 댓글님과 같은 마음으로 거의 독박을 했었습니다
    이제는 더 이상 안하고 싶어서요
    갑자기 발생되는 변수가 아닌 기본 룰 만들고 최대한 지키게 하고 싶네요
    사람 만나는 자리지만 남편이 점심시간으로 유도하려면 가능한 부분이 있는걸 알고 있어요
    그러니 남편도 이제 최대치로 (제 요구에 맞춰 줄 수 있을) 좀 변화해줬으면 싶네요

  • 4. 원글님이
    '25.4.15 3:50 PM (118.235.xxx.66)

    금토일 운동하심 될것 같은데요. 사람도 좀 쓰고요
    아님 남편 이직하라 하세요 돈좀 덜벌더라도 육아 같이 할수있게

  • 5. ....
    '25.4.15 3:52 PM (1.239.xxx.246) - 삭제된댓글

    그러게요
    주말에 남편 집에 있을 때 한두시간 시간 내서 운동하고 오면 되겠네요.
    주중에 남편 반드시 일찍 들어오는 날 정해주지 마시고요

  • 6. **
    '25.4.15 3:53 PM (1.235.xxx.247)

    남편은 점심 시간에 운동 한다고 꽤 비싼 연간 회원권 끊었어요
    저는 주3회 운동은 욕심이고 주2회는 고정적으로 하고 싶어요
    가사분담.. 이건 얘기할거리도 안되게 제가 그냥 거의 다 하고 있어요
    남편이 뭐 수시로 늦게 들어오는데 무슨 분담이 되야 말이지요
    가사분담 이런건 그리 뭐 저한테 큰 의미 없어서 괜찮아요

  • 7. ...
    '25.4.15 3:56 PM (124.48.xxx.249)

    원글도 점심시간에 운동하면 되죠...
    아니면 주1회 약속인정해주고
    주1회 운동가던가..

    주중1회 토요일1회 하면 주2회 채우잖아요

  • 8. ...
    '25.4.15 3:58 PM (124.111.xxx.163)

    현실적으로 본다면 주 1회 하루를 딱 정해서 그 날은 무슨일이 있어도 들어와라 너가 가사분담도 안 하는데 이거는 해야 한다. 나도 살려면 운동해야 하니 하루는 비워라 하세요.

    그리고 나머지 하루는 토요일로 운동 잡아야죠. 토요일에도 운동가는 시간에는 남편이 육아하도록 딱 정해야 해요. 가사분담 전혀 안 되는 남편이 평일 3일을 책임져 줄리가 없을 거 같은데요.

  • 9. ㄷㄷ
    '25.4.15 3:59 PM (223.38.xxx.198)

    주 3회 운동이라니
    남편도 주3회 똑같이 저녁시간 줘야죠

  • 10.
    '25.4.15 4:00 PM (221.138.xxx.92)

    한 10년은 서로 거의 모든 약속? 운동? 못했어요.
    진짜진짜 불가피한 상황 빼고는...

    둘이 집안일 해나가기도 버겁고
    아이 아프면 또 전쟁에
    밥이 입으로 들어가는지 코로들어가는지
    진짜 정신이 하나도 없었...

    머리 붙이면 기절.

  • 11. **
    '25.4.15 4:17 PM (1.235.xxx.247)

    워킹맘 3년 중 한 반절 기간은 점심시간 이용해서 운동했어요. 저는 점심시간 쪼개고 운동하고 퇴근하고 하원시키러 가거나 아님 부랴부랴 시터 선생님 가시기 전까지 집에 도착하는 삶을 지금까지 살았어요. 이제는 나만큼 아니더라도... 저의 지난 시간들에 대해 인정하는 부분이 있다면 남편 맘대로 유동적으로 약속 잡고 늦거나 야근 핑계 대고 늦거나 그러진 않았으면 하는겁니다
    남편이 자기 입으로 말한게 있거든요.. 저녁 자리 최소 1주일 전에 잡고 조정 가능한 부분이 있기도 하다구요 (솔직히 안가도 되는 자리도 무수했음)
    저는 퇴근하고 부랴부랴 집에 오기 바빴는데.. 남편은 제가 디폴트가 되어 있으니 유동적으로 자기 내키는대로 더 쉬웠던거였죠

  • 12. ...
    '25.4.15 4:19 PM (152.99.xxx.167) - 삭제된댓글

    뭔 이유 붙이지 말고 일요일은 무조건 같이
    월~토 3일씩 배분하세요
    그동안 뭘하든 상관마시고 님도 3일은 오롯이 본인한테 쓰시고요

  • 13. ...
    '25.4.15 4:21 PM (152.99.xxx.167)

    저녁약속 회식..이런거로 기준 정하지 마시고
    날짜를 반으로 쪼개서 그날은 한사람이 책임지는걸로 하세요
    그럼 해결되는거 아닌가요?

  • 14. **
    '25.4.15 4:28 PM (1.235.xxx.247)

    제가 퇴근하고 집에 있다가 남편이 8-9시 안에 오면 1시간 운동 하고 오는거와
    남편이 퇴근하고 놀고 돈 쓰고 그러면서 자정이 넘어서 들어오는거랑 다른 재질인거 같은데...
    운동 횟수만큼 남편에게도 똑같이 그 시간을 보장해줘야 한다고 하시니..
    이런 생각의 차이....
    사람들은 다양한 생각들을 가지고 있네요.. 댓글들 잘 참고하고 생각해볼게요

  • 15. **
    '25.4.15 4:33 PM (1.235.xxx.247)

    221.138님 부부가 전투적으로 함께 으쌰으쌰 멋진 10년을 치루고 사셨네요!!
    저도 그런 전투애가 있으면 이런 글 따위 적지 않았겠죠 ㅠ
    이기적인 남편이었어요.. 연차 애 병원 때문에 반차 쪼개쓰며 아끼는 연차를 남편은 자기 쉬는 목적으로 야무지게 혼자 챙겨 쓰는?
    그래서 저도 3년 묵은 감정들이 이제 터져나오고 그래도 서로 잘 살아보고자 이렇게 짧다면 짧은 생각을 하게 되는 건가봅니다..

  • 16. 셩과셩
    '25.4.15 4:48 PM (118.235.xxx.133)

    그래도 그런 대화가 될수있다는것이 행운이세요 저는 21살 아들과 11살 딸을 맞벌이로 아이돌봄을 쓰면서도 싸웠어요 ㅎㅎㅎ 아무튼 조율할수있는부분있고 대화할수있는 남편이라는부분이라 부러워요 최대한 어필하세요 그리고 잘 이겨내시고 운동도 일도 체력도 힐링도 다하세요 그리고 남편도 힐링시간주시고 ㅎㅎㅎ 부럽습니다 행복하세요~

  • 17. ...
    '25.4.15 4:50 PM (124.111.xxx.163)

    원글에 정보를 많이 부족하게 쓰셨어요.

    남편이 가사분담 전혀 안 했다. 원글이 그동안 점심시간 쪼개서 운동했으니 앞으로는 남편이 그랬으면 좋겠다 그런 얘기를 미리 쓰셨다면 댓글이 더 구체적으로 달렸을 것 같네요.

  • 18. ...
    '25.4.15 5:00 PM (152.99.xxx.167)

    협상의 포커스를 정확히 해야죠
    돈이면 돈, 시간이면 시간. 노동이면 노동
    운동은 되는데 약속은 안돼. 이건 시간과 시간의 분배문제가 아니라 님은 복잡하게 다른걸 포함해서 생각하니 협상이 안되는 겁니다
    남자들은 단순해요 논리적으로 맞바꿈이 되어야 먹힐겁니다.

  • 19. **
    '25.4.15 5:05 PM (1.235.xxx.247)

    네에~대화가 안되는 사람은 아니라서 그나마 아직 합의를 완벽히 보진 않았지만 한편으로는 기대감도 있는거 같아요
    먼저 지나가는 말로 비슷하게 제 생각을 말한적 있었는데 듣고 있더라구요
    제가 요구하는 바를 이해하고 그냥 듣고 있는 분위기??

    첨 글 쓸 때 남편의 이기적인 행동. 저의 독박의 나날 속에 서러운 기억들을 읊었더라면
    댓글이 좀 더 다른 방향이었을 수도 있었나봅니다

    전 제 주변도 그렇고 육아하는 맞벌이 가정 대부분이 부부가 거의 뭐 퇴근하면 집이고
    애 보고 각자 집안일 하거나 그러고 살고 있어서
    제가 이런 생각하는게 엄청 각박하거나 남편 조이는 걸거라고 생각을 안? 못? 했었어요

    무튼 댓글들 보면서 여러가지 생각도 해보게 되네요
    감사해요

  • 20. **
    '25.4.15 5:06 PM (1.235.xxx.247)

    근데 흘리듯이 말했을 땐 그냥 듣고 있었던건 별로 귀담아듣지 않고 직접적으로 자기일롤 못 느껴서? 일 수도 있고..

  • 21. **
    '25.4.15 5:11 PM (1.235.xxx.247)

    협상의 분배
    시간이 곧 돈이네요. 남편이 시간만 맞춰주면 전체적으로 가정경제가 더 좋아질걸요
    저도 제 시간을 갖고 싶고 남편도 그러고 싶고 한다면 결국에는 돈 더 써서 남의 손 빌리는거죠
    남편은 그것도 오케이 하겠지만 저는 그 돈이 좀 아까워서 못 했던건데..
    아이가 이제 좀 크고 나니 저도 그런 깜냥이 좀 더 생기긴하네요

  • 22. **
    '25.4.15 5:14 PM (1.235.xxx.247)

    아.. 돈이 아까운건 애가 좀 큰 현 시점에서고.. 그 전 시절에는 그래도 어쨌건 아이와의 시간을 엄마가 더 많이 함께 해줘야한다고 저만의 그런 마음이 강했던거 같아요
    지금은 아이도 정서적으로 많이 안정적이고 저도 덜 불안하니 아이 남의 손에 맡길 수도 있고 그 비용을 쓰는 깜냥이 생기나봐요

  • 23. ....
    '25.4.15 11:10 PM (112.154.xxx.59)

    주3일 꼭 와라 라고 약속한다한들 바깥모임 좋아하는 남편이 지키기 쉽지 않을거 같고 싸움꺼리만 될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요즘은 주변에서 다들 같이 육아한다니 달라지긴 했네요. 저는 애저녁에 남편 퇴근 시간은 포기한지라.... 원글님이 억울한 맘이 쌓이지.않도록 잘 조정해보세요. 하지만 주3일은 글에서 느껴지는 남편분의 성향상 좀 빡세보인다는 생각이 듭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04600 김정숙여사는 왜이렇게 자연스렇게 우아해졌나요 63 ........ 2025/04/25 16,856
1704599 건강빵에 버터. 건강한 식단인가요? 7 ㄷㅅㄱ 2025/04/25 1,964
1704598 김건희가 샤넬백 준다는거 거절하는 꿈 해몽부탁드려요 11 해몽 2025/04/25 1,312
1704597 오랜만에 보는 텐션 유쾌한 정숙씨(영상 꼭 보세요) 24 ㅇㅇ 2025/04/25 3,349
1704596 오피스텔 매매 어떤가요? 14 좋은방법 2025/04/25 2,480
1704595 몸보신 하고 싶네요 2 111 2025/04/25 1,289
1704594 '전공의 생활...' 상당히 재미가 없네요 27 ㅁㅁㅁ 2025/04/25 5,834
1704593 이재명은 문재인을 자꾸 피하네요 53 ㅇㅇ 2025/04/25 6,095
1704592 IMF 끝나고 딱 2000년 되었을때 여의도시범 갑자기 2025/04/25 1,261
1704591 코엑스 식당 주방후드에서 불 시작된거 같다네요 ..... 2025/04/25 1,345
1704590 Sk유심 무상교체 하신분계실까요? 8 유심 2025/04/25 2,953
1704589 알바들이 설치는 시기인가봐요. 3 요즘 2025/04/25 493
1704588 다음주 사임할 한덕수가 세금을 맘대로 9 어이없네 2025/04/25 1,818
1704587 간병인 보험 이정도 괜찮나요? 4 .. 2025/04/25 1,751
1704586 택배 주7일은 고용창출이 안되거든요. 6 ... 2025/04/25 1,269
1704585 염색방에서 염색하고 4 .. 2025/04/25 1,940
1704584 고1 중간고사 망친이유 12 ㅇㅇ 2025/04/25 3,114
1704583 주식 매도 여쭤요 3 매도시간 2025/04/25 1,549
1704582 내란의 밤에 사표낸 윤석열 대통령 만들기의 일등공신 25 내란세탁 2025/04/25 36,297
1704581 강남 집값은 언제부터 그렇게 올랐나요 16 부동산 2025/04/25 2,185
1704580 남편이랑 입문용자전거보러갈건데 ㅔㅔ 2025/04/25 343
1704579 저도 그때가 왔네요. 6 그래 2025/04/25 2,880
1704578 김호중은 2심에서도 원심 그대로 유지됐네요 13 ㅁㅁ 2025/04/25 2,908
1704577 넷플릭스에 영화 하얼빈 올라왔어요 (제곧내) 5 .... 2025/04/25 1,797
1704576 살면서 뭐가 가장 두려우세요? 35 ㅇㅇ 2025/04/25 6,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