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심리 공부하신 분들

조회수 : 1,499
작성일 : 2025-04-12 13:32:17

어릴 때 엄마가 자주 아프셨고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늘 수동적 순종적이였어요

늘 엄마는 외롭고 슬프고 힘들어하는 모습에 

엄마를 지켜야지 하는 생각에 

늘 힘들어도 어려워도 부탁을 하지 않고 

허구독립을 해왔죠 

엄마의 보호자 처럼요 

 

엄마는 늘 이런 내가 있어 든든해 사랑해 하셨는데 

늦은 나이에 엄마에 대한 시각이 반대로 달라져서 

그런 엄마가 밉고 밉네요 

 

폭싹 속았수다 보면 부모님 생각에 눈물 난다는데 

 

폭싹속았수다 엄마처럼 딸에게 너 하고 싶은거 다 해봐

씩씩하게 나아가라는 엄마가 마냥 부럽기만 했습니다 

그런 힘찬 엄마가 당당한 엄마가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엄마는 늘 착하게 희생적으로 양보하고 살면 복이 온다 주의였어요 니가 참아라 니가 이해해라 

너는 참 착하다 너는 참 영리하다 분명 사랑은 해주셨던거 같은데 엄마가 버거웠나봅니다 

 

그런 엄마가 지금은 왜 이렇게 미운지 

세상 제일 사랑했던 엄마가 

지금은 제일 원망스러운 엄마가 되었습니다 

 

저는 부탁을 잘 못해요 

거절당하는 두려움인가 생각해 봤는데 

그냥 부탁할 일도 없었던거 같네요 

내가 하면 돼지 

그런데 엄마 언니는 늘 불쌍한 모습으로 집요하게 제가 해결해주길 바라며 부탁을 잘 하는데 

저는 늘 거절했다가도 죄책감에 다 들어줬어요 

막상 저는 부탁을 안하고 살았는데 

나이들어 부탁을 하니 제가 제일 잘 들어주던 사람들이

거절을 잘 하는 모습에 상처가 깊네요 

 

 

생각해보면 부탁을 하면 들어주건 대상이 늘 없었던거 같습니다 지금의 남편도 부탁을 잘하지 제 부탁은 늘 거절부터 이네요

 

생각해보니  가족들 모두  몇 번 안되는

부탁 모두 늘 거절 뿐이었던거 같습니다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을 요청할 줄도 알고 

거절도 잘 받아 드리는 사람이 되고 싶네요 

IP : 49.174.xxx.188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4.12 1:39 PM (112.149.xxx.134) - 삭제된댓글

    부탁을 들어주던 나의 모습은 거절 후 죄책감으로 인해 더 힘들거라는걸 알기 때문일꺼에요. 이것 또한 내 욕심일수도 있구요.
    부탁 안 들어주는 엄마와 언니에게 서운할 수 있는데 원글 쓰신것 같은 마음이 든다면 적정한 거리를 두며 앞으로 원글님도 거절하는 연습을 하세요.

  • 2. 원글
    '25.4.12 1:42 PM (49.174.xxx.188)

    저는 제가 거절을 잘한다고 착각하고 살았어요
    매번 거절은 늘 할 때는 하는데 생각해보면
    결국에는 상대가 집요하게 말해서 들어줬던거 같습니다
    집요한 가족들이 주변에 많기는 했어요
    제가 결국 들어줄거라는 걸 알았던거겠죠?

    스스로를 잘 몰랐던거 같습니다

  • 3. 전문용어로
    '25.4.12 1:45 PM (217.149.xxx.39)

    호구.

    님이 호구 잡힌거에요.
    애정결핍 착한아이 신드롬이라고.

    자존감이 낮아서 내가 이래야만 사랑을 받는다고
    일종의 생존의 법칙으로 익힌 나쁜 습성이죠.


    남들한테 인정받으려는 욕구를 버리세요.
    그리고 거절하세요.

    거절해야 상대로 만만하게 안보고 어려워하고 존중해줘요

  • 4. 원글
    '25.4.12 2:00 PM (49.174.xxx.188)

    남에게는 거절을 잘하고 있는데 유독 가족들 사이에 계속 연계지어져서 더 그렇게 됐던거 같아요
    깊은 내면으로 들어가면 엄마와 언니에게 특별히 인정 받고 사랑 받고 싶은 마음은 없었던거 같아요
    그냥 너무 불쌍한 척을 하면 그 마음에 들어주게 되었던더 같은데
    이게 오히려 내현적 나르스시시트의 모습이 아니었나 싶어요

    죄책감을 이용한 방법

    들어주고 나면 여러명이 행복해하면
    정말 저도 그래 여러사람이 행복해하면 나의 존재감이 올라갔던건가봐요

    이 중간 지점을 찾는게 요즘 저의 혼동이에요
    청개구리처럼 모든 부탁을 거절하고 있는 저를 보았어요

    이 과정도 필요한걸까요

  • 5. 원글
    '25.4.12 2:02 PM (49.174.xxx.188)

    저도 부탁을 하는 연습을 하고 있는데 정말 모든게 거절이에요
    가족들 모두 거절 거절 …..이 안에서 상처를 받고 있어요
    청개구리가 된 듯 저는 부탁 거절 ……저는 부탁을 해보는 시도 ….불필요한 거겠죠?

  • 6. 흠...
    '25.4.12 2:28 PM (121.130.xxx.247)

    가족들이 절 너무 좋아했어요
    저는 신나서 살았고
    가족들 잔신부름, 큰 심부름 온갖 부탁은 다 들어줬어요
    점점 자기들이 할수 있는것도 다 나한테
    결혼하니 내가 바쁘고 거리도 멀어서 부탁을 해도 들어줄수가 없었어요
    그러다 정말 사소한거 하나 부탁했는데, 전 당.연.히 해줄거라 믿었거든요?
    근데 와...
    난리가 난거예요
    이런걸 부탁하냐고..
    진짜 멘붕 플러스 현타 플러스 온갖거..
    그제서야 깨달았어요
    난 봉이고 자기넨 절대 봉이되면 안되는 사람이었다는 걸

    그후로 제가 바쁜 시기가 지나고 경제적으로도 확 피고 세상 편한 시간이 되니 다시 절 찾아요
    근데 이젠 제가 예전의 제가 아니죠
    그러니 집이 질서가 없어요
    저만 빼고 다 이기적인 사람들이라 만나면 싸워요
    제가 질서 잡는 방법 알려주면 그럼 니가 해주라.인데 내가 미쳤나요

    자기를 찾아가는 과정 같애요
    제가 안변하고 예전같은 순둥이었으면 집이 편안하고 좋았겠죠
    그럴려면 전 계속 콩쥐같은 존재로 남았어야 하구요
    내 정체성을 깨닫는 순간 내 자아가 마구마구 깨어나서 절대 예전으로 안돌아가요

    저에게 가족은 오래된 친척 같애요
    그냥 소식만 듣고 의무감으로 가끔 들여다보는 정도
    다행이죠 뭐

  • 7. ...
    '25.4.12 2:29 PM (219.255.xxx.142) - 삭제된댓글

    원글님도 부탁하는 연습 외에도 거절하는 연습도 계속 해보셔요.
    처음에는 자괴감도 느끼고 배신감 허무하기도 할거고 그러다 어느순간 거절하는 그들이 특별히 나쁜게 아니라는 마음이 들 수 있을거에요.
    동시에 내가 거절하는 것에도 부담이나 죄책감이 덜해지고요.
    나 자신에 대해 너그러워지고 다른 사람에 대해서도 너그러워지면서 균형이 맞춰지는 지점을 찾으시면 좋겠어요.

  • 8. 원글
    '25.4.12 2:51 PM (49.174.xxx.188)

    가족들이 절 너무 좋아했어요
    저는 신나서 살았고
    가족들 잔신부름, 큰 심부름 온갖 부탁은 다 들어줬어요


    저와 너무 같으시네요
    가족들의 질서 지키기 가족을 화목하게 이끌어 갈 사람이 너 밖에 없다 …. 이게 굉장히 무거우면서도 가족 모두가 너로 인해 이렇게 모두 행복했다 말 한마디에 더 가족을 아끼고 사랑해왔는데
    그 배신감이 너무 크게 다가와서 우울감이 떨쳐지지가 않네요
    남이면 인연이 쉽게 끊어지는데 관련 없는 착한 동생 형부가 연락 오면 또 연결고리를 짚네요


    연세드신 어머니랑 죄책감이 떨쳐지지가 쉽지는 않지만
    요즘 죄책감 없애는 연습을 걸음마 하듯 하고 있어요

    어떻게 하면 죄책감이 더 빨리 사라질지 ….

    마지막 댓글 주신분 감사합니다
    부탁 거절의 연습이 분명 필요하겠죠?
    균형을 잡아야하는데 마냥 청개구리가 되어가고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03844 의도적으로 최욱_매불쇼 글 계속 올리는 인간들 82 ... 2025/04/23 3,833
1703843 매불쇼 최욱 설명이 귀에 잘 들어오는 이유 6 ... 2025/04/23 2,018
1703842 헤이즐넛향커피 추천좀 해주세요 7 커피맛모름 2025/04/23 787
1703841 주식배당금 세금떼고 주는데....또 연말에 세금 내야하나요? 5 22 2025/04/23 2,477
1703840 매불쇼에 기자 잘생겼네요 6 .... 2025/04/23 2,527
1703839 100프로 수개표 해야한다 30 .. 2025/04/23 1,483
1703838 '태계일주4' 5월 11일 첫방송 1 2025/04/23 1,693
1703837 눈동자 색깔이 갈색으로 빠져보이면 백내장 오나요? 1 ... 2025/04/23 1,722
1703836 40의끝 동네엄마들을 대하는 내문제 조언해주세요 7 언니들 2025/04/23 2,321
1703835 민주당 법사위 긴급 기자회견 12 .. 2025/04/23 3,535
1703834 울 샴푸 대신 바디워시 써도 될까요? 4 빼꼼 2025/04/23 1,877
1703833 “14살 여중생 임신시킨 42세 남성 무죄” 25 이게 판사?.. 2025/04/23 9,487
1703832 현실직시만으로 대인기피, 강박증 고쳐지나요 6 ㄱㄱ 2025/04/23 887
1703831 “고향에 보내 달라”는 김련희 씨…벌써 14년째 light7.. 2025/04/23 1,705
1703830 지금 노인들이 의료복지혜택 받는 마지막 세대래요 15 .... 2025/04/23 4,703
1703829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볼까요? 11 ㅡㅡ 2025/04/23 1,564
1703828 전원합의체 회부된 이재명, 대선 못나올수도 있나요? 15 ... 2025/04/23 4,278
1703827 세탁특공대 비싼 니트 망쳐놓고 헛소리하네요 3 어휴 2025/04/23 1,430
1703826 눈밑 지방 재배치 상담 5 흑흗 2025/04/23 1,483
1703825 식사로 샐러드 먹는데 추워요 28 2025/04/23 4,023
1703824 절약할수 있을까요 저? 16 절약 2025/04/23 3,212
1703823 길가다 오랫만에 만난 사람 아는척 하시나요? 8 ㅇㅇ 2025/04/23 1,744
1703822 상속세 계산이... 2 ... 2025/04/23 1,623
1703821 남산 놀러오세요 3 영이네 2025/04/23 2,419
1703820 저 고3딸이랑 금요일 놀러가요 4 2025/04/23 1,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