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와
'25.3.30 6:42 PM
(1.225.xxx.193)
소리 소문없이 이게 뭐죠?
국민 합의 없이 이게 가능한 거예요?
2. ..
'25.3.30 6:42 PM
(182.220.xxx.5)
이건 국힘 민주당 똑같아요.
둘 다 지금 뭐하고 있나요?
3. 필리핀이
'25.3.30 6:43 PM
(118.235.xxx.164)
-
삭제된댓글
전기 민영화되어 엄청 비싸져서 돈없는 사람들은 그 더운 여름에 에어컨도 틀지도 못한다고 하던데 점점 후진국되어 갈까 두렵습니다.
4. 182
'25.3.30 6:44 PM
(116.125.xxx.12)
정부는 국짐인데 이럴때 민주당찾아요?
5. ㅇㅇ
'25.3.30 6:50 PM
(112.152.xxx.24)
지금 국힘 정부인데 왜 민주당을 찾아요?
6. 친일매국개객끼들
'25.3.30 6:54 PM
(182.216.xxx.43)
-
삭제된댓글
이번에 전부 쳐 쓸어 버려야 합니다.
국민들이 어벙벙하게 보이면 이것들 수도민영화 의료민영화 다합니다.
7. ㆍ
'25.3.30 6:56 PM
(211.234.xxx.132)
내란당하고 민주당이 왜 똑같아요?
어이 상실.
민주당이 계엄 했어요?
내란당 정부가 저러니
야당인 민주당이 최대한 막아달라 힘내달라는건데
뭐가 똑같아요
한덕수 복귀하고 저러는건데
8. 무슨말
'25.3.30 7:10 PM
(223.38.xxx.160)
-
삭제된댓글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개인이 전기구매하는곳에서 계악하면
집마다 전기공급해주는 회사가 다르다는 걸까요?
9. ㅇㅇ
'25.3.30 7:32 PM
(211.203.xxx.74)
개인이 사는게 아니고요..
석유 화학쪽이나 이런 쪽은 전기사용으로 비용이 많이 나가니까
한전에서 구입안하고 바로 도매처에서 전기를 구매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단 얘깁니다...
더 싸게 구입할 수 있도록이요.. 하...
10. ㅇㅇ
'25.3.30 7:36 PM
(211.203.xxx.74)
만약에 그렇게 해서 민영화로 간다고 칩시다
더 중요한 건 뭔지 아세요?
이거 민주당이 민거예요 ㅎㅎㅎㅎ
뭐라고 할래나...
11. 한전은
'25.3.30 7:44 PM
(59.7.xxx.113)
-
삭제된댓글
민간 발전사에서 전기를 사옵니다. 민간 발전사는 쳔연가스 가격을 기준으로 전기 가격을 매기고요. 천연가스 가격 폭등했을때 한전은 비싸게 민간 발전사에서 전기를 사와야 했어요. 그래서 적자가 컸지요. 그리고 전기를 사고파는 시장이 있어요.
그러니까 전기를 많이 쓰는 기업 입장에서는 유통단계를 줄여서 좀더 저렴하게 전기를 사오고 싶을까요..아닐까요.
당연히 싸게 사오고 싶겠죠? 그걸 허락한다는 거라고요.
그게 민영화입니까?
12. 한전은
'25.3.30 7:45 PM
(59.7.xxx.113)
-
삭제된댓글
이렇게 설명하는 덧글이 달리니..누군가 이상하대요. 왜 전기에 대해 잘 아는 덧글이 달리냐고.. 뭐가 있는거 같다고.
13. 한전도
'25.3.30 7:49 PM
(59.7.xxx.113)
-
삭제된댓글
민간 발전사에서 전기 사오는거 아시나요? 전기를 파는 회사가 따로 있다고요. 전기 많이 쓰는 기업들이 유통단계 안거치고 발전사에서 바로 직구로 전기 사게 허용하는건데 이게 민영화예요?
14. ㆍ
'25.3.30 7:50 PM
(211.234.xxx.18)
개인이 사는거 아니면 뭐가 다른가요?
민영화가 원래 처음에는 저가로 꼬셨다가 결국 공기업 없어지면, 폭리 취하는게 이미 민영화 진행된 곳에서 하는 루틴이었어요. 산업 분야 먼저 한 뒤에 개인으로 넓히는거고요.
민주당이 뭘 밀어요?
산자부가 민주당 소속인줄 아는거에요?
국가 구조도 모르면서 뭐라는 건지 ㅉㅉ
15. ㅇㅇ
'25.3.30 8:11 PM
(211.203.xxx.74)
한전 제끼고 직접 구매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것은 민영화로 가는 루틴이다 그거쟎아요
근데 이거 2021년에 제일 처음 도입됐어요.
직접구매가 깨진거.
그거 민주당 의원이 발의해서 도입됐어요.
16. 근데
'25.3.30 8:18 PM
(59.7.xxx.113)
-
삭제된댓글
이거보다 내년부터 수도권 주민 전기요금 올라가는거.. 그거 신경써야하지 않을지
17. RE100
'25.3.30 8:26 PM
(59.7.xxx.113)
-
삭제된댓글
하려면 전력직접구매제도 필요하다는데요
18. ㅇㅇ
'25.3.30 8:31 PM
(211.203.xxx.74)
그러니까 제 3자 ppa는 민간화를 떠나서 필요할 수도 있는 제도쟎아요
무작정 어느 정당 겨눠서 비난을 위한 비난 하지 말라고요
뭔 국가 구조를 모른다는 건지도 모르겠고.
19. 전기를
'25.3.30 8:44 PM
(59.7.xxx.113)
-
삭제된댓글
만들어내는 루트가 다양해져가요. 앞으로 신재생쓰면 더 그렇죠. 혹시 내가 태양광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칩시다. 그러면 내가 태양광발전으로 쓰고 남는 전기를 옆집에 팔면 좋지 않을까요? 그리고 어떤 기업은 유독 바람이 많이 부는 동네에 공장이 있다고 칩시다. 그러면 어느정도 전력을 자급자족할 수있지 않을까요? 그런 다양한 발전원이 존재할 수 있고 여러곳에 다양한 수준의 전력수요가 존재한다면 지역별로 산업별로 다양한 전력망을 갖출수도 있겠고요. 미국은 데이터센터옆에 원전을 세트로 묶어서 지을거라고 하잖아요. 앞으로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발전원을 다양화한다면 다양한 방식의 전력수급 방식도 가능하겠죠
20. 형평성
'25.3.30 10:00 PM
(223.38.xxx.224)
민간 발전소 체리피킹 근절하고 그동안 모두 원가 이하로 누린 전기요금 혜택이 한전의 손실로 남은 상황에서 대기업만 쏙 빠지면 가정용, 중소기업 요금 인상이 더 커질 전망이네요
민간 LNG발전사 영업이익 1조 8천억…“체리피킹 근절해야”
2023.10.25
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323
민간LNG발전사의 체리피킹 근절을 위해 비축 의무화 및 초과이익을 환수하는 횡재세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국회서 나왔다.
“국내 천연가스 수급의무가 없는 직수입 민간발전사는 LNG 현물 시황에 따른 선택적 도입으로 국가 발전량 수급 불안을 야기하고 고비용 발전부담을 공기업 발전사와 가스공사에게 전가했다”라며 “저가 직도입시 이득만 취하고 고가 도입시 직도입을 줄이며 가스공사에 의존하는 형국”이라고 비판했다.
논란의 산업용 전력 직접구매제도(하) 제도 핵심은 결국 ‘형평성’
2025.03.06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51384
정연제 교수는 이 같은 문제를 두고 “한전을 위해서가 아니라 한전의 부채를 부담해야 할 남은 고객들을 위해서라도, 직접구매제를 이용하는 이들에게도 일부 리스크가 있어야 한다”며 “여태껏 한전더러 모든 적자를 떠안으라고 했다가, 이제와서 소비자들이 빠져나가는 건 잘못된 것”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