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양인들도 쉽게 이혼 하는거

아니던데요 조회수 : 5,692
작성일 : 2011-09-25 22:36:30

국제 재혼에 관련된 글 보다가 생각나 적는데요

서양인들이 결혼 생활 하면서 사랑이 식으면 바이바이가

쉽다고들 하는데 저도 그런 줄 알았거든요?

그런데 아니던데요

제 주위 국제결혼한 커플 몇 있어요

한커플은 남자 미국인

한 커플은 남자 이태리

한커플은 남자 독일인

한커플은 남자 호주인

한커플만 빼고 나머지 친구들 유학하다 현지서 만났어요

4커플 모두 제 친구 혹은 후배.물론 제가 한국여자이니 제 지인도 여자한국인이죠

제 가족중 하나도 미국형부랑 결혼했죠

그래서 제가 살아보진 않고 대화로만 이런저런 말해보면

그들도 가정을 지킨다는 생각이 있다고해요

우리가 생각하는 사랑이 식으면 바이바이 아니래요

우리처럼 부모님와 자식에 대한 개념이 조금 다르지만

결혼시에 배우자 직업 학벌 다 보고 결혼 후에도 사랑이 식어도  살기도 하고

(물론 케이스바이 케이스겠지만) 특히 여자가 능력이 없으면

어떠한 계산 아래 참고 사는 경우도 많대요

단지 잘 드러내진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뭐 어딜가나 경제적 능력이 권력으로 작용하는 구나 생각을 했는데.

어느 곳이나 인간사나 별반 다르지 않더라구요

IP : 222.116.xxx.22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9.25 10:43 PM (121.167.xxx.142)

    인간의 고통을 지수화하면 자식 죽는 거 - 배우자 죽는 거, 그 다음이 이혼하는 거라면서요.
    연애하다 헤어져도 죽네사네 하는데 결혼해서 한 몸으로 살다 헤어지는 건 그 만큼 힘들죠.
    문화가 달라도 인간의 기본적 심성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아요.
    단 이혼하고 혼자되는 직업없는 여자의 경우 이혼연금이란 게 있는 나라에서는 폭력이나 도박 같은 최악의 상황에서 쉽게 빠져나오는 것 같아요.

  • ㅎㅎ
    '11.9.26 7:00 AM (14.37.xxx.18)

    배우자죽음이 첫번째인데...잘못아셨네요..

  • '11.9.26 9:45 AM (121.167.xxx.142)

    저도 배우자죽음이 첫번째인 경우의 기사를 먼저 읽었는대요... 그게 서양인 기준이고 우리나라 특성상 자식의 죽음이 더 크게 느껴진대요.
    상명지통(喪明之痛)이라고 해서 자식의 죽음은 배우자 상실에서 오는 후유증보다 강도가 훨씬 커 자식을 잃은 부모는 오래 살지 못하고 특히 자녀가 급사한 경우 부모의 사망 위험이 훨씬 높아진다는 연구보고서가 나중에 나왔어요.

  • 2. 이혼 연금
    '11.9.26 5:02 AM (121.136.xxx.227)

    첨 듣네요

  • 3. 저는
    '11.9.26 6:34 AM (188.99.xxx.49)

    고통지수 배우자 죽음이 1위인거로 알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535 팔자주름 ,뭐가 가장 정답일까요? 2 ... 2011/09/26 4,322
18534 애정만만세 5 코스모스 2011/09/26 4,387
18533 금정역에서 수원역으로 가는 1호선 출퇴근시 많이 붐비나요? 2 아시는분! 2011/09/26 2,908
18532 부동산에 집 내놓을때 여러군데에 내놓아야 하나요? 3 .. 2011/09/26 6,922
18531 10월초에 혼자서 제주 올레길을 갈려고 하는데.. 4 청명한 하늘.. 2011/09/26 3,477
18530 옷장속에 작은벌레들이 기어다녀요.. 8 싫다 2011/09/26 22,662
18529 호칭질문이요 2 호칭 2011/09/26 2,418
18528 알바들의 업무수칙 13 현실 2011/09/26 3,509
18527 장터에 갭이나 짐보리 공구요.. 2011/09/26 2,836
18526 단독주택으로 이사하는데 걱정이 많아요 5 ... 2011/09/26 6,433
18525 출산 후 탈모가 너무 심해요. 5 서하 2011/09/26 3,770
18524 노후대비..연금보험? 연금저축? 알려주세요~ 7 절실 2011/09/26 5,022
18523 지나가지 말으시고요!! 아이 수학 좀 잡아 주세요!! 5 ..... 2011/09/26 3,378
18522 그릴팬에 고기구우면 확실히 냄새 덜나나요? 2 그릴 2011/09/26 3,183
18521 다이어트. 도움 좀 주세요. 11 살살살들아 2011/09/26 4,095
18520 해윤아빠 포도즙 먹고 싶어요 6 포도즙 2011/09/26 3,300
18519 헬스 자전거 운동효과 있을까요? 6 하늘이 2011/09/26 10,201
18518 살기 괜찮을까요? 2 21년된 아.. 2011/09/26 2,779
18517 아이가 폐렴으로 입원하느라 학원에 2011/09/26 2,418
18516 시어머님과 처음부터 안친하신 분 계신가요? 15 흠.. 2011/09/26 4,588
18515 서울역에 맛집 있나요? 3 약속 2011/09/26 2,910
18514 저희 엄마가 꾼 꿈 예지몽 같은 거였을까요? 1 ..... 2011/09/26 5,709
18513 수학선생님 계시면 도움 좀... 상훈 2011/09/26 2,619
18512 스님 호칭 2 알려주세요 2011/09/26 3,247
18511 홈쇼핑 홈페이지 들어갈때 다른쇼핑사이트 안뜨게하는 방법 좀 알려.. 1 꼬마뚱 2011/09/26 3,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