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양인들도 쉽게 이혼 하는거

아니던데요 조회수 : 4,382
작성일 : 2011-09-25 22:36:30

국제 재혼에 관련된 글 보다가 생각나 적는데요

서양인들이 결혼 생활 하면서 사랑이 식으면 바이바이가

쉽다고들 하는데 저도 그런 줄 알았거든요?

그런데 아니던데요

제 주위 국제결혼한 커플 몇 있어요

한커플은 남자 미국인

한 커플은 남자 이태리

한커플은 남자 독일인

한커플은 남자 호주인

한커플만 빼고 나머지 친구들 유학하다 현지서 만났어요

4커플 모두 제 친구 혹은 후배.물론 제가 한국여자이니 제 지인도 여자한국인이죠

제 가족중 하나도 미국형부랑 결혼했죠

그래서 제가 살아보진 않고 대화로만 이런저런 말해보면

그들도 가정을 지킨다는 생각이 있다고해요

우리가 생각하는 사랑이 식으면 바이바이 아니래요

우리처럼 부모님와 자식에 대한 개념이 조금 다르지만

결혼시에 배우자 직업 학벌 다 보고 결혼 후에도 사랑이 식어도  살기도 하고

(물론 케이스바이 케이스겠지만) 특히 여자가 능력이 없으면

어떠한 계산 아래 참고 사는 경우도 많대요

단지 잘 드러내진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뭐 어딜가나 경제적 능력이 권력으로 작용하는 구나 생각을 했는데.

어느 곳이나 인간사나 별반 다르지 않더라구요

IP : 222.116.xxx.22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9.25 10:43 PM (121.167.xxx.142)

    인간의 고통을 지수화하면 자식 죽는 거 - 배우자 죽는 거, 그 다음이 이혼하는 거라면서요.
    연애하다 헤어져도 죽네사네 하는데 결혼해서 한 몸으로 살다 헤어지는 건 그 만큼 힘들죠.
    문화가 달라도 인간의 기본적 심성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아요.
    단 이혼하고 혼자되는 직업없는 여자의 경우 이혼연금이란 게 있는 나라에서는 폭력이나 도박 같은 최악의 상황에서 쉽게 빠져나오는 것 같아요.

  • ㅎㅎ
    '11.9.26 7:00 AM (14.37.xxx.18)

    배우자죽음이 첫번째인데...잘못아셨네요..

  • '11.9.26 9:45 AM (121.167.xxx.142)

    저도 배우자죽음이 첫번째인 경우의 기사를 먼저 읽었는대요... 그게 서양인 기준이고 우리나라 특성상 자식의 죽음이 더 크게 느껴진대요.
    상명지통(喪明之痛)이라고 해서 자식의 죽음은 배우자 상실에서 오는 후유증보다 강도가 훨씬 커 자식을 잃은 부모는 오래 살지 못하고 특히 자녀가 급사한 경우 부모의 사망 위험이 훨씬 높아진다는 연구보고서가 나중에 나왔어요.

  • 2. 이혼 연금
    '11.9.26 5:02 AM (121.136.xxx.227)

    첨 듣네요

  • 3. 저는
    '11.9.26 6:34 AM (188.99.xxx.49)

    고통지수 배우자 죽음이 1위인거로 알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318 산후조리시 호박즙 먹어야 하나요? 1 조리 2011/10/14 2,205
23317 어그 모카신 신어 보신 분 1 모카 2011/10/14 1,752
23316 설악산가려하는데요 3 007뽄드 2011/10/14 1,294
23315 48개월 아이 유치원에 안보내고 데리고있기로했는데.. 6 아자!! 2011/10/14 1,751
23314 엊그제 임플란트 시술 전에 치조골이식 받았는데..^^ 15 대박 2011/10/14 4,859
23313 돌잔치 하는데 돈 안내는 경우도 있나요? 5 난감 2011/10/14 2,330
23312 아주 똥줄이 탔구나... 2 .. 2011/10/14 1,513
23311 한류 스타 상품 문의요 1 한류 2011/10/14 1,169
23310 컴퓨터 잘 아시는 분 꼭 답변 부탁드려요. 1 동안 2011/10/14 1,267
23309 뿌리깊은 나무 다시보기를 하려는데요.. 4 뿌리깊은나무.. 2011/10/14 2,342
23308 내일 점심무렵부터 저녁까지 아짐 혼자 조용히 서울시내에서 쉴만한.. 6 검은나비 2011/10/14 3,538
23307 동네 세탁소에서 해결 못하는 얼룩 전문적으로 하는데 없을까요? 2 세탁 2011/10/14 1,438
23306 애들 독감예방접종주사 맞히시나요? 6 ㄷㄷ 2011/10/14 1,959
23305 그렇고 그런 샤넬이야기 15 dhfzp 2011/10/14 4,942
23304 영지버섯이랑 수삼이랑 대추랑 같이 넣고 다려 먹어도 될까요 4 우와 2011/10/14 2,128
23303 밥 안넘어가시는분들 물에 자주 말아드시나요? 4 궁금 2011/10/14 1,516
23302 신용장(L/C) 관련 잘 아시는 분 도움 부탁드립니다. 7 달고나 2011/10/14 2,253
23301 큰병원에서 옷색깔 다른것 입고 있는 분이 수간호사인가.. 2011/10/14 1,211
23300 전주에 계신 맘들께 여쭙니다 4 숙소가 궁금.. 2011/10/14 1,294
23299 전세재계약시 복비 줘야 할까요? 6 ..... 2011/10/14 7,162
23298 박원순과 나경원 앞으로 또 토론하나요? 18 궁금 2011/10/14 1,928
23297 눈이 좋아지는 안경 어느정도 효과가 있을까요 우연히 2011/10/14 1,319
23296 철분제 섭취를 위해서 어떤 음식이 하세요? 11 ... 2011/10/14 2,577
23295 엄마랑 화해하는 법 알려주세요. 3 어려워요 2011/10/14 3,790
23294 애들 학교 보내고 뭐하세요? 2 야호 2011/10/14 1,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