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추전 망했어요ㅠ 부침가루가 문제일까요?

오랜만에 조회수 : 2,662
작성일 : 2024-05-08 08:12:32

오랜만에 부추전을 했는데 떡진 부추전....

부침가루만 썼는데 이게 문제일까요?

여기에 찹쌀가루를 좀 넣으면 바삭하게 될까요?

부추전 고수님들 좀 알려주세요, 오늘 재도전 할거에요 ㅠㅠ

IP : 121.140.xxx.44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5.8 8:18 AM (58.29.xxx.55) - 삭제된댓글

    물이 너무 많이 들어간거아닌가요?
    너무 걸죽해도 엉망되요
    그리고 한쪽면이 다익을때까지
    뒤집지말아야하구요
    찹쌀가루넣으면 진짜 떡되니 넣지마시구요

  • 2. . .
    '24.5.8 8:18 AM (49.142.xxx.184)

    찹쌀가루는 절대 노노

  • 3. 이게
    '24.5.8 8:19 AM (116.89.xxx.136)

    물, 불 다 중요하더라구요
    불을 처음에 쎄게하다가 줄이면
    밀가루가 기름을 다 먹어서 질척하고 기름지기만 한 전이 되더라구요

  • 4. ...
    '24.5.8 8:20 AM (124.50.xxx.169)

    반죽이라고 할 것도 없이 최소한의 부침가루+튀김가루 반반해서 그저 뭉쳐질 정도로만 물을 넣고 아주 얇게 부치면 바삭해요. 한쪽면에 빵가루 솔솔 뿌리면 더 바삭.

  • 5. ..
    '24.5.8 8:20 AM (58.79.xxx.33)

    부침가루에 튀김가루 섞으면 좀 더 바삭거리는 맛이나죠. 부추전 참 어렵던데요

  • 6.
    '24.5.8 8:25 AM (218.153.xxx.148)

    매우 찬물로 반죽해보셔요
    먹다 남은 맥주나 탄산수도 괜찮구요 달걀도 생각보다 많이 넣어야 질척하게 안 되더라구요

  • 7. ,,
    '24.5.8 8:29 AM (106.102.xxx.204)

    전분가루 조금 넣어보세요

  • 8. 공간
    '24.5.8 8:31 AM (222.113.xxx.170)

    기름 넉넉히 두르고
    완전히 달군상태에서 넣기

    요거이 젤 중해요

  • 9. iasdfz
    '24.5.8 8:34 AM (211.36.xxx.213)

    전 차라리 밀가루에 간해서 넣는게 좋더라구요

  • 10.
    '24.5.8 8:40 AM (116.37.xxx.63)

    반죽의 농도 문제 아닐까요?

  • 11.
    '24.5.8 8:40 AM (211.211.xxx.168)

    차라리 약간 간해서 야채에 물기 좀 빠진 다음에 부치면 바싹해져요.
    야채 비비자마자 부치면 야채에서 물 나와서 징척해 지는게 가장 크거든요.
    다시다 살짝 넣으면 더 맛있다는 건 안비밀!

  • 12.
    '24.5.8 8:47 AM (211.234.xxx.167)

    저도 약간 간-다시다 해서 물기 조금 빼고 부침가루든 밀가루든 가루만 무쳐서 굽는 거 선호
    너무 센불 노노

  • 13. ..
    '24.5.8 8:49 AM (223.38.xxx.21)

    떡진거면 물이 부족하거나 가루가 잘 안풀렸거나요.

  • 14. 그남자의 쿡
    '24.5.8 8:49 AM (211.211.xxx.168)

    이 유튜버는 풋내나니 손으로 살살 섞어 주라하네요
    스텐팬 쓰네요. 고수!

    이 유튜버는 부추랑 밀가루를 손으로 살살 비비라 하네요. 풋내 난다고
    100프로 부추전- 해물다시다나 조개 다시다 넣으라고
    https://youtu.be/y7jsJ-14t9U?si=KyIn19fx_JPOETop

    부추랑 야채전- 바삭함을 위해 마지막에 빵가루를 넣네요. 쿨럭
    https://youtu.be/Y85YdppTotA?si=NKyQ8dxA7CTKGfDi

  • 15. ..
    '24.5.8 8:49 AM (118.221.xxx.98)

    전 항상 튀김가루로 해요.
    물은 조금 넣구요

  • 16. ㄱㄱ
    '24.5.8 8:55 AM (58.29.xxx.46)

    떡이 졌다는건 가루 종류나 물의 온도 문제가 아니에요.

    부추 사이사이 가루가 뭉쳤는데, 기름 두르고 부칠때 가장자리를 기름이 닿아서 바삭할거고, 가운데 갈라보면 반죽이 떡져있겠죠.
    우선 반죽 필때 아주 얇게 펴야 하는데 스킬이 부족해서 두껍게 되었을거고,
    거기다가 보통 넓적하게 부칠때 부침개 가운데로 기름이 안갑니다. 그러니 가운데는 덜 바삭하죠. 집애서는 전집처럼 기름을 튀기듯이 많이 두르지 않거든요. 기름이 좀 부족하면 중간중간 전을 살짝 들면서 가운데 부분에 기름이 들어가게 밀어 넣어줘야 하는데 그런거는 아마 모르셨을거고요,

    또 그 이전에 부추 대비 가루와 물양의 비율이 맞는지도 봐야해요.
    가루 종류는 죄가 없어요. 밀가루만 해도 잘만 부쳐지고, 찬물(기왕이면 찬물이 좋지만) 안 써도 크게 지장 없어요.
    제일 핵심은 반죽 농도와 야채와의 비율이에요.
    그냥 부침가루 뒷면에 조리법 써놓은대로 고대로 똑같이 반죽하면 최소한 망하지는 않습니다.
    여기다 뭘 더하고 빼고는 그 다음 문제고요.
    제 생각에는 반죽 농도가 너무 끈적이고 되직했을거에요.

  • 17. ...
    '24.5.8 9:00 AM (211.112.xxx.215) - 삭제된댓글

    튀김가루, 전분가루 약간씩 섞고
    기름 많이 두르고 뜨겁게 팬 달군 후에
    지지직~

  • 18. ......
    '24.5.8 9:03 AM (106.101.xxx.76)

    저 여기서 배웠어요. 부추랑 재료 씻은 그대로에다가 그냥 가루만 솔솔 뿌려서 (계란은 취향ㅡ전넣어요) 이대로 부치면 진짜 맛있어요

  • 19. 저는
    '24.5.8 9:06 AM (118.34.xxx.85)

    백종원 레시피를 엄청 신뢰하진 않고 기본은 되는구나
    싶거든요 근데 보리새우넣은 부추전 레시피대로 했을때 진짜맛있게 되더라구요

    https://youtu.be/wfm951HEpGU?feature=shared

  • 20. 부추전
    '24.5.8 9:11 AM (39.122.xxx.3)

    부추에 살짝 묻을정도의 부침+튀김기루 물은 극소량으로
    가루들에 살짝 스며들정도만..
    그럼 바삭한 부추전이 되더라구요
    또하나는 라이스페이퍼 위에 부추 올린후 전 만들면 바삭해요

  • 21. 그러기도어려워
    '24.5.8 9:21 AM (124.5.xxx.0)

    적은 기름
    낮은 온도
    물많은 반죽

    이 세개가 만나니 떡이 되더군요.

  • 22. ㅇㅇㅇㅇㅇ
    '24.5.8 9:32 AM (175.199.xxx.97) - 삭제된댓글

    지금반죽이 남았나요
    그냥부추를 더 넣으세요
    반죽은 진짜 뭉침의 정도로만 쓴다 라고 해야됩니다
    맥주는 ㅡ튀김
    튀김가루 ㄴㄴㅡ식으면단단해짐
    부침가루 소량 .찬물 .부추 이렇게 삼박자가 맞으면
    바삭바삭 맛잇게됩니다

  • 23.
    '24.5.8 11:07 AM (219.249.xxx.181)

    후라이팬 기름 뜨거울때.
    반죽 밀가루 좀더 낳으셔야

  • 24. ..
    '24.5.8 11:32 AM (118.221.xxx.98)

    튀김가루 식어도 단단해지지 않아요.
    오뚜기 튀김가루로 항상 하는데
    전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97555 대치동 오피스텔서 모녀 살해 후 도주한 60대 남성, 경찰 추적.. 4 ㅡㅡㅡㅡ 2024/05/30 5,239
1597554 우울할때 보는 유튜브 있을까요 11 . . . 2024/05/30 1,982
1597553 최태원의 첩 김희영이는 20 마리아사랑 2024/05/30 29,897
1597552 푸바오 이마에 자국 혹시? 5 푸바오 2024/05/30 2,966
1597551 속치마입어도 니트치마가 비치는데 어쩌죠? 6 바다 2024/05/30 1,976
1597550 3박4일 국내 여행지 추천해주세요. 4 2024/05/30 1,431
1597549 작년 기준의 의료보험료, 환급받을 수 있나요? 7 남는돈이없다.. 2024/05/30 526
1597548 환율이 요동치는사이 부자들은 돈버느라 정신 없는데 12 2024/05/30 5,744
1597547 발을씻자! 너의 한계는 어디까지? ㅋㅋㅋ 17 @@ 2024/05/30 10,273
1597546 정영진 최욱 최고의 콤비 새 유튜브 5 suk 2024/05/30 2,594
1597545 펌) 유럽여행 조언 5가지 18 ..... 2024/05/30 5,609
1597544 다이아 세팅 후 확인 방법 있을까요? 4 ... 2024/05/30 1,221
1597543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안해줬다는 사람인데요. 10 궁금 2024/05/30 1,437
1597542 치매, 깔창용 배회감지기 써보신 분 7 별헤는밤 2024/05/30 928
1597541 이혼하니 아직은 해방감에 좋네요 19 이혼 2024/05/30 5,392
1597540 노인들 보면 자기 사는 동네가 제일 좋다고 해요. 12 .... 2024/05/30 4,356
1597539 엄마가 업소마담 출신이라는데 맞나요? 23 륄리? 2024/05/30 17,038
1597538 이제 여성들도 군대가야죠 18 부사관 여군.. 2024/05/30 1,547
1597537 대상포진예방접종하셨나요? 5 .. 2024/05/30 1,494
1597536 예전 장학퀴즈 제공 선경..테이프 2 ..... 2024/05/30 1,222
1597535 조국혁신당 내일 국회청소노동자와 오찬간담 예정 4 ㅇㅇ 2024/05/30 861
1597534 사위 공부시켜주고 사업체물려줘서 바람난케이스 많아요 4 2024/05/30 3,302
1597533 수술 부위, 실밥 뽑은 자리 붉게 된 거 언제 빠질까요? 9 수술 2024/05/30 782
1597532 보기엔 잘 된것 같은데 먹어보면 설익은 밥은 뭐가 문제일까요? 1 2024/05/30 485
1597531 원빈 또 안왔네요 22 강아쥐 2024/05/30 1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