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완배 협동의 경제학] 나는 윤 대통령이 제발 입을 좀 닥쳤으면 좋겠다

조회수 : 1,231
작성일 : 2024-05-06 11:59:14

지난주 초 영수회담이 열렸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어떤 마음가짐으로 영수회담에 임했는지 모르겠지만, 나는 애초부터 이 회담에 쥐뿔도 기대하는 것이 없었다.

예상대로 영수회담은 윤 대통령의 불통 의지만 확인한 채 아무 성과 없이 끝났다. 애초 기대한 것이 없었기에 나는 실망조차 하지 않았다. 화를 낼 일도 없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틀 뒤 프레시안에 실린 기사를 보고 제대로 빡쳤다. 그 기사 제목이 이랬다.


‘투머치토커’ 尹? “종횡무진 화법, 막 여러 가지 곁가지까지 섞어 얘기해”

기사 내용인즉슨 영수회담에서 윤 대통령이 질문 하나에 답변을 너무 길게 주절주절 이야기하는 바람에 이재명 대표가 뭔가 의미 있는 논의를 진척시키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와 진짜, 취임 이후 처음 야당 대표를 만나서, 그것도 여당이 총선에서 참패한 상황에서, 좀 남의 말을 경청하면 어디가 덧나냐? 그 중요한 자리에서 “내가 1994년 LA에 있을 때 말이야···” 박찬호 기술을 꼭 사용해야 했냐고?

그냥 이상하게 보이고 싶은 거라면 머리에 꽃이라도 한 송이 꽂아라. 그게 차라리 보는 사람 정신 건강에 좋겠다. 이 분이 약을 잘 못 먹은 건가, 아니면 먹고 있는 약이 있는데 거른 건가, 나는 이 상황이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리더가 침묵해야 하는 이유


내가 윤 대통령에게 책을 추천해도 읽을 것 같지 않아 헛수고가 분명하지만, ‘입 닥치기의 힘’이라는 책이 있다. 오랫동안 정보기술(IT) 분야에서 저널리스트로 활약했던 댄 라이언스(Dan Lyons)의 저서다. 이 책 서문 제목이 ‘우리는 말이 너무 많다’이다. 이 책 1장 제목은 ‘당신이 지나치게 말이 많은 이유’다. 진짜 윤 대통령한테 꼭 일독을 권하고픈 책이다.

연봉 협상 테이블이 열렸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협상의 ABC는 절대 먼저 내가 원하는 액수를 말하지 않는 것이다. 왜냐? 상대가 1억 원쯤 생각하고 있는데 내가 먼저 “8,000만 원 주세요!”라고 외치면 무조건 그 협상은 손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협상 때에는 ‘침묵이 승리를 이끈다’는 원칙을 기억해야 한다.


조직을 운영할 때도 마찬가지다. 이 침묵의 전략을 잘 활용한 경영자는 애플의 팀 쿡이다. 팀 쿡은 회의 때나 면접 때 말을 거의 하지 않는다. 대화 중에 말이 끊겨 어색한 상황이 생겨도 그 공백을 채우려 하지 않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의 영수회담에서 미리 준비한 메시지를 꺼내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4.04.29. ⓒ뉴시스


이러면 상대가 말이 많아진다. 말이 많아지다 보면 자유를 느낀다. 직원들은 그 자유로운 수다 속에서 무심결에 진실을 말한다. 리더가 진짜 들어야 할 이야기를 그때 듣는 것이다.

그래서 권력자일수록 말을 아껴야 한다. 권력자가 말을 많이 한다면 뭔가 불안하거나, 자기가 능력이 없거나, 실질적인 파워가 없거나 등등의 경우다. 그걸 채우려고 수다를 떠는 것이다. 라이언스의 책 한 대목을 인용해보자.

힘 있는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보다 항상 말을 적게 한다. 그래서 힘 있는 사람 중에는 말 많은 사람이 없다. 수다쟁이들은 나약하고 무능하고 자신감이 없어 보이지만 말이 적은 사람들은 강하고 신비롭고 자신감이 넘쳐 보인다.

윤 대통령이 강하고 신비롭고 자신감이 넘쳐 보인 적이 있었던가? 단언컨대 그런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지금 보니 그 이유를 알겠다. 민심을 경청하라고 만든 영수회담 자리에서 지 할 말만 떠들고 앉아있다. 이러니 강하고 신비롭기는커녕 나약하고 무능하고 자신감이 없어 보인다.

들을 생각이 애초부터 없었다

윤 대통령 개인 성향이기도 하지만, 왜 저런 중요한 자리에서 그는 자기 얘기만 떠들다 나왔을까? 한 마디로 듣는 법 자체를 모르기 때문이다. 검사라는 자리가 원래 그렇다. 검사는 피의자의 말을 경청하는 자리가 아니라 자기가 정해놓은 결과로 상대의 말을 유도하는 자리다.

복음주의 기독교 목사인 릭 워렌(Rick Warren)이 전한 연구에 따르면 듣는 방식에는 네 가지 종류가 있다고 한다. 첫째, 남이 말하기 시작할 때부터 고정관념으로 가득 차서 남을 판단부터 하는 사람이다. 대략 인구의 17% 정도 된다. 이런 방법으로는 들어도 듣는 효과가 없다. 상대 무슨 말을 하건 나는 이미 답을 정해놓았기 때문이다.

둘째, 상대와 대화 내내 질문을 하며 듣는 사람이다. 약 26% 정도가 이런 방식을 사용한다. 물론 질문은 대화에서 중요하다. 그런데 이런 사람들은 질문을 하는 것이 경청을 한다고 착각한다. 그래서 정작 들어야 할 것은 놓치고 자기가 질문을 할 내용만 고민한다. 경청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날 수 없다.

셋째, 상대의 말을 듣자마자 어떤 조언을 해 줄 것인가부터 고민하는 사람이다. 뭔가 가르쳐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인데 대략 35%를 차지한다. 첫 번째 케이스보다는 낫지만 이것도 형편없는 방법이긴 마찬가지다. 왜냐하면 상대는 말을 하면서도 계속 꾸중을 듣는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이러면 대화의 의미가 퇴색된다.

넷째, 상대방이 이야기하는 내용도 잘 들을 뿐 아니라 상대방의 감정까지 공감하는 사람이다. 이렇게 감정이입을 하며 듣는 사람의 비중은 22%정도다. 바로 이 22%가 진정 경청을 할 줄 아는 사람이다.

대화의 효과도 이 케이스가 가장 높다. 대화의 중심이 ‘나’가 아니라 ‘상대방’에 있기에 듣고 배울 것이 더 많아진다. 게다가 상대의 감정에 공감하며 듣다보면 상대가 무심결에 터놓는 진실도 들을 수 있다. 팀 쿡이 사용한 바로 그 전술이다. 골수 검사 성골들은 절대 이해하지 못할 대화법이기도 하고 말이다.

윤 대통령은 전형적인 1번 + 2번의 케이스다. 애초 영수회담 전부터 이 대표가 의제를 던지면 어떤 대답을 늘어놓을까 그것부터 고민하고 앉아있었다. 영수회담이 의제를 정한답시고 그렇게 오래 시간을 끈 이유를 생각해보라. 들을 생각이 있는 게 아니라 선입견으로 상대를 규정하고, 내가 생각한 방식으로 가르칠 준비를 한 것이다.

이러니 기껏 열린 영수회담에서 민심을 제대로 들을 수가 없다. 우리는 망가진 나라를 그나마 좀 수습할 소중한 기회조차 또 이렇게 놓쳤다. 들을 줄 모르는 대통령, 투머치토커 대통령, 회담이 자기 할 말 씨불이면 다 되는 줄 아는 대통령 탓이다.

내가 윤석열 대통령이 제발 입을 좀 닥쳤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이유다. 하지만 돌아가는 꼴을 보아하니 앞으로도 윤 대통령은 절대 남의 말을 듣지 않고 떠들기만 할 태세다. 듣지 않으려는 자의 귀를 강제로 열 수는 없는 법, 우리가 대체 언제까지 그를 대통령으로 용인해야 할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 왔다. 

IP : 211.36.xxx.28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ㅣ출처
    '24.5.6 11:59 AM (211.36.xxx.28)

    https://vop.co.kr/A00001653102.html

  • 2. 어휴
    '24.5.6 12:02 PM (114.203.xxx.205)

    술이나 ㅊ먹지 책은 무슨요.

  • 3. 그래서
    '24.5.6 12:15 PM (211.234.xxx.129)

    이재명대표가 미리 준비해간 글을 읽은것은
    진짜 현명한 생각이었다고 생각해요
    윤에게 이용당하기 전에 미리 발표해서
    반쪽짜리 성공이라도 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96948 군 가혹행위 전부 찾아내어 처벌하길 4 ... 2024/05/29 477
1596947 요즘 만화 빌리는 곳은 없죠? 7 ufg 2024/05/29 769
1596946 침구 마틸라 써보신 분? 11 포그니 2024/05/29 1,236
1596945 푸바오.. 34 .. 2024/05/29 2,941
1596944 머리 도대체 어떻게 헹구세요? 15 88 2024/05/29 4,045
1596943 군대 살인에 더 분노하게 되는 이유 5 범죄 2024/05/29 1,389
1596942 딸아이와 강릉여행 5 ^^ 2024/05/29 1,558
1596941 훈련병 얼차려 준 중대장은 본인이 완전군장 해봤을까요? 12 ㅁㅇㅁㄴ 2024/05/29 3,210
1596940 실내 운동기구 추천 부탁드려요 8 ... 2024/05/29 743
1596939 약국에서 사올만한 치약 좀 추천해주세요 4 주말에 2024/05/29 719
1596938 냉동피자에 양파 깔고 돌리면 어찌 되나요? 14 ..... 2024/05/29 1,459
1596937 개는 죽으면 어떻게 처리하나요? 14 ... 2024/05/29 3,269
1596936 씻어나온 쌀 드시는분 계셔요? 4 ... 2024/05/29 492
1596935 니트류를 세탁소 드라이 맡겼는데 줄어들 수 있나요? 6 2024/05/29 447
1596934 남자아이 가다실9 맞췄어요. 29 .... 2024/05/29 3,527
1596933 나이드니 좋은 점 7 2024/05/29 3,753
1596932 에어컨 없이 살기 어려울까요? 20 에어컨 2024/05/29 2,411
1596931 화분텃밭에 질소비료(알비료) 얼마만에 한번씩 주나요? 6 ㅇㅇ 2024/05/29 672
1596930 조금전에 선재이야기...첫사랑 글... 2 오엥 2024/05/29 1,487
1596929 건대입구에 점심 먹을 조용한 식당 있을까요 6 점심 2024/05/29 745
1596928 고양이 심리 알고싶어요 25 고양이 2024/05/29 1,961
1596927 입원하면 하루에 3만원주는 보험 요양병원도 주겠죠? 1 25년전종신.. 2024/05/29 864
1596926 가루 밀크티 향기 강한 거 있을까요 8 밀크티 2024/05/29 681
1596925 골프 썬크림 추천 좀 해주세요 4 골프 2024/05/29 1,083
1596924 교보문고 이야기 9 2024/05/29 1,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