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완배 협동의 경제학] 나는 윤 대통령이 제발 입을 좀 닥쳤으면 좋겠다

조회수 : 1,226
작성일 : 2024-05-06 11:59:14

지난주 초 영수회담이 열렸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어떤 마음가짐으로 영수회담에 임했는지 모르겠지만, 나는 애초부터 이 회담에 쥐뿔도 기대하는 것이 없었다.

예상대로 영수회담은 윤 대통령의 불통 의지만 확인한 채 아무 성과 없이 끝났다. 애초 기대한 것이 없었기에 나는 실망조차 하지 않았다. 화를 낼 일도 없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틀 뒤 프레시안에 실린 기사를 보고 제대로 빡쳤다. 그 기사 제목이 이랬다.


‘투머치토커’ 尹? “종횡무진 화법, 막 여러 가지 곁가지까지 섞어 얘기해”

기사 내용인즉슨 영수회담에서 윤 대통령이 질문 하나에 답변을 너무 길게 주절주절 이야기하는 바람에 이재명 대표가 뭔가 의미 있는 논의를 진척시키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와 진짜, 취임 이후 처음 야당 대표를 만나서, 그것도 여당이 총선에서 참패한 상황에서, 좀 남의 말을 경청하면 어디가 덧나냐? 그 중요한 자리에서 “내가 1994년 LA에 있을 때 말이야···” 박찬호 기술을 꼭 사용해야 했냐고?

그냥 이상하게 보이고 싶은 거라면 머리에 꽃이라도 한 송이 꽂아라. 그게 차라리 보는 사람 정신 건강에 좋겠다. 이 분이 약을 잘 못 먹은 건가, 아니면 먹고 있는 약이 있는데 거른 건가, 나는 이 상황이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리더가 침묵해야 하는 이유


내가 윤 대통령에게 책을 추천해도 읽을 것 같지 않아 헛수고가 분명하지만, ‘입 닥치기의 힘’이라는 책이 있다. 오랫동안 정보기술(IT) 분야에서 저널리스트로 활약했던 댄 라이언스(Dan Lyons)의 저서다. 이 책 서문 제목이 ‘우리는 말이 너무 많다’이다. 이 책 1장 제목은 ‘당신이 지나치게 말이 많은 이유’다. 진짜 윤 대통령한테 꼭 일독을 권하고픈 책이다.

연봉 협상 테이블이 열렸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협상의 ABC는 절대 먼저 내가 원하는 액수를 말하지 않는 것이다. 왜냐? 상대가 1억 원쯤 생각하고 있는데 내가 먼저 “8,000만 원 주세요!”라고 외치면 무조건 그 협상은 손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협상 때에는 ‘침묵이 승리를 이끈다’는 원칙을 기억해야 한다.


조직을 운영할 때도 마찬가지다. 이 침묵의 전략을 잘 활용한 경영자는 애플의 팀 쿡이다. 팀 쿡은 회의 때나 면접 때 말을 거의 하지 않는다. 대화 중에 말이 끊겨 어색한 상황이 생겨도 그 공백을 채우려 하지 않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의 영수회담에서 미리 준비한 메시지를 꺼내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4.04.29. ⓒ뉴시스


이러면 상대가 말이 많아진다. 말이 많아지다 보면 자유를 느낀다. 직원들은 그 자유로운 수다 속에서 무심결에 진실을 말한다. 리더가 진짜 들어야 할 이야기를 그때 듣는 것이다.

그래서 권력자일수록 말을 아껴야 한다. 권력자가 말을 많이 한다면 뭔가 불안하거나, 자기가 능력이 없거나, 실질적인 파워가 없거나 등등의 경우다. 그걸 채우려고 수다를 떠는 것이다. 라이언스의 책 한 대목을 인용해보자.

힘 있는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보다 항상 말을 적게 한다. 그래서 힘 있는 사람 중에는 말 많은 사람이 없다. 수다쟁이들은 나약하고 무능하고 자신감이 없어 보이지만 말이 적은 사람들은 강하고 신비롭고 자신감이 넘쳐 보인다.

윤 대통령이 강하고 신비롭고 자신감이 넘쳐 보인 적이 있었던가? 단언컨대 그런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지금 보니 그 이유를 알겠다. 민심을 경청하라고 만든 영수회담 자리에서 지 할 말만 떠들고 앉아있다. 이러니 강하고 신비롭기는커녕 나약하고 무능하고 자신감이 없어 보인다.

들을 생각이 애초부터 없었다

윤 대통령 개인 성향이기도 하지만, 왜 저런 중요한 자리에서 그는 자기 얘기만 떠들다 나왔을까? 한 마디로 듣는 법 자체를 모르기 때문이다. 검사라는 자리가 원래 그렇다. 검사는 피의자의 말을 경청하는 자리가 아니라 자기가 정해놓은 결과로 상대의 말을 유도하는 자리다.

복음주의 기독교 목사인 릭 워렌(Rick Warren)이 전한 연구에 따르면 듣는 방식에는 네 가지 종류가 있다고 한다. 첫째, 남이 말하기 시작할 때부터 고정관념으로 가득 차서 남을 판단부터 하는 사람이다. 대략 인구의 17% 정도 된다. 이런 방법으로는 들어도 듣는 효과가 없다. 상대 무슨 말을 하건 나는 이미 답을 정해놓았기 때문이다.

둘째, 상대와 대화 내내 질문을 하며 듣는 사람이다. 약 26% 정도가 이런 방식을 사용한다. 물론 질문은 대화에서 중요하다. 그런데 이런 사람들은 질문을 하는 것이 경청을 한다고 착각한다. 그래서 정작 들어야 할 것은 놓치고 자기가 질문을 할 내용만 고민한다. 경청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날 수 없다.

셋째, 상대의 말을 듣자마자 어떤 조언을 해 줄 것인가부터 고민하는 사람이다. 뭔가 가르쳐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인데 대략 35%를 차지한다. 첫 번째 케이스보다는 낫지만 이것도 형편없는 방법이긴 마찬가지다. 왜냐하면 상대는 말을 하면서도 계속 꾸중을 듣는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이러면 대화의 의미가 퇴색된다.

넷째, 상대방이 이야기하는 내용도 잘 들을 뿐 아니라 상대방의 감정까지 공감하는 사람이다. 이렇게 감정이입을 하며 듣는 사람의 비중은 22%정도다. 바로 이 22%가 진정 경청을 할 줄 아는 사람이다.

대화의 효과도 이 케이스가 가장 높다. 대화의 중심이 ‘나’가 아니라 ‘상대방’에 있기에 듣고 배울 것이 더 많아진다. 게다가 상대의 감정에 공감하며 듣다보면 상대가 무심결에 터놓는 진실도 들을 수 있다. 팀 쿡이 사용한 바로 그 전술이다. 골수 검사 성골들은 절대 이해하지 못할 대화법이기도 하고 말이다.

윤 대통령은 전형적인 1번 + 2번의 케이스다. 애초 영수회담 전부터 이 대표가 의제를 던지면 어떤 대답을 늘어놓을까 그것부터 고민하고 앉아있었다. 영수회담이 의제를 정한답시고 그렇게 오래 시간을 끈 이유를 생각해보라. 들을 생각이 있는 게 아니라 선입견으로 상대를 규정하고, 내가 생각한 방식으로 가르칠 준비를 한 것이다.

이러니 기껏 열린 영수회담에서 민심을 제대로 들을 수가 없다. 우리는 망가진 나라를 그나마 좀 수습할 소중한 기회조차 또 이렇게 놓쳤다. 들을 줄 모르는 대통령, 투머치토커 대통령, 회담이 자기 할 말 씨불이면 다 되는 줄 아는 대통령 탓이다.

내가 윤석열 대통령이 제발 입을 좀 닥쳤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이유다. 하지만 돌아가는 꼴을 보아하니 앞으로도 윤 대통령은 절대 남의 말을 듣지 않고 떠들기만 할 태세다. 듣지 않으려는 자의 귀를 강제로 열 수는 없는 법, 우리가 대체 언제까지 그를 대통령으로 용인해야 할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 왔다. 

IP : 211.36.xxx.28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ㅣ출처
    '24.5.6 11:59 AM (211.36.xxx.28)

    https://vop.co.kr/A00001653102.html

  • 2. 어휴
    '24.5.6 12:02 PM (114.203.xxx.205)

    술이나 ㅊ먹지 책은 무슨요.

  • 3. 그래서
    '24.5.6 12:15 PM (211.234.xxx.129)

    이재명대표가 미리 준비해간 글을 읽은것은
    진짜 현명한 생각이었다고 생각해요
    윤에게 이용당하기 전에 미리 발표해서
    반쪽짜리 성공이라도 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95143 BBC다큐 좀전에 봤는데요 7 ㅇㅇ 2024/05/22 3,141
1595142 쿠* 식품 자주 개봉된 채 배송돼요 14 ... 2024/05/22 2,633
1595141 헬스복 선택 조언 요망 2 2024/05/22 783
1595140 갈비찜 할 때 간 잘맞추는 비법 있을까요 3 요리 2024/05/22 1,173
1595139 물탱크 청소 너무 자주 해요... 5 2024/05/22 1,634
1595138 고등학교 선택 조언해주세요 10 mmm 2024/05/22 1,030
1595137 냉장밥, 냉동밥 괜찮나요? 10 ... 2024/05/22 1,295
1595136 변우석 팬미 가고 싶어요 5 ㅇㅇㅇ 2024/05/22 1,190
1595135 딩크가 흔치않던 시절에 딩크 결심 후 이상한 사람 취급받다가 이.. 18 ..... 2024/05/22 4,016
1595134 냉동피자 한판들어가는 미니오븐 추천부탁드려요 1 ㅇㅇ 2024/05/22 587
1595133 이런 전세 계약해도 될까요? 8 도움요청 2024/05/22 1,526
1595132 분당이나 판교 미용실 2 미용실 2024/05/22 917
1595131 입양 완료) 너무너무 예쁜 꼬물이들 4주된 아기고양이 2마리 키.. 10 ㄷㄷㄷ 2024/05/22 2,312
1595130 냉장고 선택 도와주세요 냉장고 선택.. 2024/05/22 411
1595129 부동산 공동명의 5 부동산 2024/05/22 1,291
1595128 혈뇨에 관해서 아시는 분^^ 18 미미샤 2024/05/22 1,784
1595127 고추장아찌 볶아먹기 6 강건너기 2024/05/22 859
1595126 허리안좋은이)종일 서있는 일 할만할까요 3 땅지맘 2024/05/22 935
1595125 요즘 읽는책인데 추천 해드리고 싶어요.. 6 .. 2024/05/22 2,714
1595124 사구체여과율이 갑자기 확 떨어졌는데요 7 ..... 2024/05/22 1,687
1595123 싸이킹같은 유선청소기 보관 4 추천 2024/05/22 550
1595122 좋은 제도가 사라지는 대부분의 이유 3 ... 2024/05/22 2,279
1595121 유산이나 상속세는 법무사에 맡기나요? 4 2024/05/22 1,372
1595120 40평 팬트리가 꽉 차서 5 신축 2024/05/22 2,847
1595119 '농무' '가난한 사랑노래' 쓴 대표 민중시인 신경림 별세(종합.. 8 zzz 2024/05/22 1,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