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국이나 유럽도 부동산이 최고의 재태크 수단이고

신기 조회수 : 2,770
작성일 : 2024-05-05 08:55:03

전국민이 달려들어

전재산의 80프로가 부동산에 매여있나요.

아니면 우리나라가 매우 특이한건가요

IP : 223.38.xxx.141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5.5 9:05 AM (121.134.xxx.19)

    우리 나라와 달라요
    보유세 엄청나고 집값도 한국처럼 오르지도 않아요

  • 2. ㄷㄷ
    '24.5.5 9:11 AM (110.15.xxx.165) - 삭제된댓글

    우리나라는 전체가 다단계에 빠져있는거같아요 부동산,교육,전문직,직업,연예계..소수만 이득보는데 그게 진리인양 거기에 매달려있죠 상생을 모르는사회로 가고있는듯요

  • 3.
    '24.5.5 9:14 AM (1.225.xxx.130)

    민주당에서 서민을 위한 다면 복지하려니
    돈이 필요해 집값을 올린거지
    머리 모잘라서 정책을 잘못 피는건지
    민주당만 되면 집값 폭등
    자산가를 위하는 당

  • 4. ...
    '24.5.5 9:21 AM (14.54.xxx.214)

    유럽은 일단 소득세자체가 어마어마하고. 그거모아 부동산못사지않나요?그리고 아직도 왕이랑 백작. 공작있는 나라도 있고.
    전쟁으로 다부서지고 새로 일어난 우리나라랑 고대로 비교가 불가능하죠.

  • 5. ...
    '24.5.5 9:22 AM (14.54.xxx.214)

    한국인이 내집에 집착하는건 미개하서가 아니죠.그런 백년을 살아왔기에.

  • 6. ...
    '24.5.5 9:33 AM (180.64.xxx.185)

    유럽은 더 심해요. 그래서 아예 집 가질 생각을 못하니 임대와 월세가 만연한 거예요.
    우리나라도 앞으로 점점 더 그렇게 될 거에요

  • 7. ....
    '24.5.5 9:40 AM (39.115.xxx.236)

    미국에서 최고의 재테크 수단은 주식이고 선진국은 부동산은 국가에서 관리하죠.
    주택보유세가 어마어마 하다고 하더라구요.
    민주당이 집권하면 좋아지는 경제지표에 세력들이 부동산 띄우기 좋은거죠.
    그래서 언론이 민주당이 집값올렸다~~~ 이러게 되는거고.

  • 8. oo
    '24.5.5 9:44 AM (73.86.xxx.42)

    한국과 정반대. 미국은 자산의 70프로가 금융자산이고 부동산비율은 정작 30프로 밖에 안됨. 그래서 집값 오르고 내리고가 선거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정작 인플레가 영향을 미치죠.

  • 9. ...
    '24.5.5 9:46 AM (180.64.xxx.185) - 삭제된댓글

    미국도 일단 집 먼저 장만했어요. 최근에 모기지 금리가 엄청 올라서 주식으로 턴한 거예요.

  • 10. ...
    '24.5.5 9:48 AM (180.64.xxx.185)

    미국도 일단 집 먼저 장만했어요. 금융 자산도 거의 연금 계좌였구요.
    최근에 모기지 금리가 엄청 올라서 주식으로 턴한 거예요.

  • 11. ...
    '24.5.5 9:57 AM (14.52.xxx.159)

    뭘 하나도 안올라요? 유럽도 대도시는 코로나이후 2배올랐어요. 그리고 유럽은 집이니 성이니 상속세가 없어요. 유동성, 돈가치가 떨어진다 그건 경제 기본이예요

  • 12. 사랑
    '24.5.5 10:43 AM (1.239.xxx.222) - 삭제된댓글

    그런데 요새 기후재앙으로 홍수에 집 떠내려가고 산불에 다 타버리고 집에 올인한 분들은 어느정도 보상을 받나요? 남의 나라 일로만 여기기에는
    영화에서만 보는 것과는 달리 이젠 코 앞에 닥친듯 싶어서요

  • 13. 사랑
    '24.5.5 10:44 AM (1.239.xxx.222)

    그런데 요새 기후재앙으로 홍수에 집 떠내려가고 산불에 다 타버리고 토네이도에 뜯겨나가는 등 집에 올인한 분들은 어느정도 보상을 받나요? 남의 나라 일로만 여기기에는
    영화에서만 보는 것과는 달리 이젠 코 앞에 닥친듯 싶어서요

  • 14. 뇌피셜
    '24.5.5 10:51 AM (211.250.xxx.112)

    미국 유럽은 몇백년 전부터 금융산업이 존재했고 주식시장도 있었잖아요.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빼앗고 다닐때 그걸 금융산업이 뒷받침했고 그 이익을 키우기 위해 금융산업이 또 발전하고요. 아프리카에서 흑인들을 짐짝처럼 차곡차곡 쌓아서 데려오기 위한 돈, 거래하는 돈, 그들을 착취하며 사탕수수 농장해서 번 돈, 전세계에 설탕을 수출하며 번 돈.. 그 돈이 금융산업을 키웠죠.

    그에 반해 우리는 산업화도 늦고 금융산업이 매우 늦게 발전하기도 했지만 전쟁 금융위기같은 대형 위기를 겪으면서 눈에 보이는 현물에 대한 신뢰가 더 클것 같아요.

    또한 과거에 경제성장율이 높다보니 인플레도 높았고 화폐가치는 급격히 떨어지고, 기반 투자와 인급급증으로 인해 투지수요도 급증하니..부동산이야말로 최고의 투자자산이었겠죠.

    이제는 우리나라도 과거와 같은 고속성장보다는 혁신으로 먹고 살아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자본투자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주식시장을 꼭 키워야해요.

    어떤 산업이 발전하려면 먼저 돈이 들어와야해요. 주식시장이 바로 그 돈을 끌어오는 방법이 되는거죠.

    국민연금에 대해 불만이 많잖아요. 만약 우리나라 기업이 장기적으로 우상향한다는 믿음이 있다면 어떻게될까요?

    세계적으로 투자성과가 좋은 우리나라 연기금이 국내투자를 줄이고 해외투자를 늘린다면서요. 안타까운 일이예요.

    내가 매달 월급의 일부를 떼어 주식투자를 해서 은퇴할때는 큰 자산이 되어있고 그걸 매달 현금화해서 노후생활을 할수있고, 젊은이들이 사회에 진출하면서 또 똑같이 투자하고 은퇴하고.. 기업은 이익의 일부를 배당하고..

    이런 선순환 구조가 자리잡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주면 좋겠는데 최근의 분위기는 그게 아니라 아쉽네요.

    그리고 우리나라처럼 개인이 부동산 투자를 많이하면 장점은 있죠. 월세가 싸죠.

  • 15. 너무
    '24.5.5 10:59 AM (223.38.xxx.3)

    유럽과 미국은 요충지 집값이 너무 비싸서 보통사람들이 넘 볼 수 없어서 재테크고 뭐고 할 수도 없고 그냥 월세 살 거 같은데요

  • 16. ㅇㅇ
    '24.5.5 12:59 PM (14.39.xxx.225)

    집값이 한국처럼 안올랐다는 분은 외계인이가요? ㅎㅎ
    한국은 부동산으로 몰릴 수 밖에 없는게 금융시장이 전세계 하위 수준이에요
    국장은 장기로 투자할 만한 곳이 아니란 말인거죠.
    그런데 금투세라니 ㅋ
    민주당 지지자지만 한국을 선진 금융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해요

  • 17. 저요
    '24.5.5 1:34 PM (109.43.xxx.46)

    유럽중 1국중 대도시 사는데요

    근로소득세 42% 떼고
    부동산 취등록세 11% 부동산 중개 수수료 2.5% 예요
    보유세는 말 할것도 없겠죠?

    매해 부동산은 오르긴 하죠
    하지만 코로나 전후 두배요? 도대체 아디가 그렇다는 거죠?
    동유럽이 그런가요?

  • 18. ㅇㅇ
    '24.5.5 5:18 PM (80.130.xxx.213) - 삭제된댓글

    윗님, 유럽은 코로나 전후가 아니라 2011년 저금리 시작 시점부터 쭈시점코로나까지 두세배로 올랐어요..

  • 19. ㅇㅇ
    '24.5.5 5:18 PM (80.130.xxx.213)

    윗님, 유럽은 코로나 전후가 아니라 2011년 저금리 시작 시점부터 쭈욱 코로나까지 두세배로 올랐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96653 노인 아파트, 실버타운 8 .. 2024/05/28 2,785
1596652 피식대학에 7200만원 쓸뻔한 군위군 6 ..... 2024/05/28 2,746
1596651 새끼발가락골절 7 샤방이 2024/05/28 775
1596650 내일배움카드 내가 하고 싶은것 할 수 있나요? 6 .... 2024/05/28 1,584
1596649 정수리쪽이 휑해졌는데 조언 부탁드려요.ㅠ 13 ... 2024/05/28 2,218
1596648 수박 때문에 부부싸움이라니요 84 . . . .. 2024/05/28 8,563
1596647 척추관 협착증 통증의학과 가도 되나요? 12 협착증 2024/05/28 725
1596646 병원 신분증이요 1 현소 2024/05/28 843
1596645 ‘추이브’ 된 하이브…납득할 수 없는 언론플레이의 결과 [전형화.. 27 ... 2024/05/28 2,565
1596644 갑상선 기능 저하증 약 드시는 분 질문있어요 8 얼떨결에 2024/05/28 928
1596643 인간관계 명언중? 11 ㅈㄷ 2024/05/28 3,339
1596642 90년대 패션스타일이 뭘까요? 15 ... 2024/05/28 2,129
1596641 하드디스크 공간부족 해결방법좀 알려주세요ㅠ 5 ... 2024/05/28 775
1596640 이마 주름 원인이 뭘까요 10 ㅁㅇㅁㅇ 2024/05/28 1,993
1596639 수의과대학은 건대를 많이 알아주나요.  20 .. 2024/05/28 3,218
1596638 수플레는 비슷한 일반 디저트 탄수화물 5 2024/05/28 529
1596637 행담도 휴게소 맛집부탁드려요 5 땅지 2024/05/28 812
1596636 의대 인증기준 낮추려는 정부? 16 ... 2024/05/28 1,321
1596635 설명 좀 부탁드려요 1 인바디 2024/05/28 312
1596634 청점퍼에서 냄새가 나요ㅠ 5 청점퍼(새 .. 2024/05/28 1,028
1596633 30년된 한국도자기 버려야겠죠? 19 ㅠㅠ 2024/05/28 3,786
1596632 채상병 특검 오후 2시인가요? 2 피를먹다 2024/05/28 930
1596631 면역력과 체력에 좋은 6 갱년기 2024/05/28 1,699
1596630 명곡이 쏟아졌던 1994년..... 16 추억속으로 2024/05/28 3,590
1596629 검은콩 쥐눈이콩등 먹으면 유방에 안좋을까요 6 ........ 2024/05/28 2,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