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일본에서 치사율30프로 감염병시작

와중에 조회수 : 5,727
작성일 : 2024-03-20 07:04:36

최근 일본에서 치사율 30%에 달하는 감염병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습니다.

영국 가디언 등 외신들에 따르면 올해 2월까지 일본에서 378건의 '독성 쇼크 증후군' STSS 확진 사례가 나왔습니다.

일본의 47개 현 중 2개 현을 제외한 모든 현에서 감염이 확인됐는데, 빠르게 진행되는 패혈성 쇼크와 다발성 장기 부전이 특징입니다.

연초 수치를 기준으로 2024년 감염자 수가 사상 최고라, 지난해 기존 기록을 크게 넘어설 걸로 전망됩니다.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는 왜 이렇게 빠르게 확산하는지 불분명하다는 입장입니다.

일본에선 1999년부터 이 감염병에 대한 기록이 시작됐는데, 사망자 대다수는 50세 미만 환자입니다.

지난해 일본에서 STSS 환자가 크게 늘었는데,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2023년 7월부터 12월까지 50세 미만 환자 65명이 감염됐고 이 중 21명이 사망했습니다.

대부분의 STSS는 연쇄상구균 화농균이라는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 박테리아는 인후통을 유발하며, 주로 어린이에게 발생합니다.

자신도 모르게 이 질병에 걸리며, 대부분 증상이 없습니다.

전염성이 강한 이 박테리아는 3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심각한 질병, 합병증, 심지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노인의 경우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다가 패혈성 인두염, 편도선염, 폐렴, 뇌수막염 등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연쇄상구균 감염은 코로나 바이러스와 비슷하게 비말, 신체 접촉, 손발의 상처 등을 통해 감염됩니다.

 

IP : 14.5.xxx.71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4.3.20 7:10 AM (211.36.xxx.64)

    잘읽어보면 비과학적인 기사이니 너무 놀ㅈ라지마세요 strep a에서 stss로 진행된 사람들중에서 30%가 사망했다는거고 stss로 진행될 가능성이 낮음

  • 2. Sbs뉴스
    '24.3.20 7:11 AM (14.5.xxx.71)

    https://youtu.be/KWZ1vrtScDI?si=zEMCf_FsfqQJs-Ca

  • 3. ㅇㅇ
    '24.3.20 7:13 AM (211.36.xxx.64)

    Strep a는 연쇄상구균으로 대부분 항생제로 치료가능

  • 4. 미국 가디언지
    '24.3.20 7:43 AM (218.53.xxx.110)

    미국 가디언지에서도 경고 하는데요. Experts warn 한다고 첫문장만 읽어도 나오네요. 무섭네요. 우리나라에까지 바이러스 전염되지 않아야할텐데요.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4/mar/15/japan-streptococcal-infections-r...

  • 5. 미국 가디언지
    '24.3.20 7:44 AM (218.53.xxx.110)

    Mystery in Japan as dangerous streptococcal infections soar to record levels

    Health officials racing to identify cause of rise in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which has a 30% fatality rate

    Justin McCurry in Tokyo

    Experts warn that a rare but dangerous bacterial infection is spreading at a record rate in Japan, with officials struggling to identify the cause.

    The number of cases in 2024 is expected to exceed last year’s record numbers, while concern is growing that the harshest and potentially deadly form of group A streptococcal disease –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 – will continue to spread, after the presence of highly virulent and infectious strains were confirmed in Japan.

  • 6. ....
    '24.3.20 7:54 AM (118.235.xxx.117)

    이례적으로 감염자 숫자가 많으면
    문제로 인식하는게 맞아요
    항생제 내성문제와 연관되면
    재앙이 될수도.

  • 7. 아무리
    '24.3.20 7:55 AM (209.141.xxx.221)

    전염성이 낮아도 다수의 사람이 걸리면 문제죠.
    사실이라면 우리나라도 시간 문제겠어요.
    일본 여행을 그리 가는데....

  • 8.
    '24.3.20 7:56 AM (211.217.xxx.96)

    우리나라로 넘어오는건 시간문제

  • 9.
    '24.3.20 8:08 AM (1.216.xxx.91) - 삭제된댓글

    정부는 얼른 일본인 입국금지시켜야지 댜체 뭐하나요?

  • 10. 123123
    '24.3.20 8:10 AM (116.40.xxx.35)

    그런데 6개월간 65명 감염된게 어떻게 '강한' 전염력이라는 건가요?

  • 11. ….
    '24.3.20 8:30 AM (182.221.xxx.239) - 삭제된댓글

    치사율이 높으면 전염성이 높을수가 없어요
    6개월간 65명 감염. 21명 사망
    30%치사율, 급속히 확산, 사상 최고, 크게 넘어설 것으로, 왜이렇게 빠르게
    확산하는지, 지난해 크게 늘었는데….등등등
    이런 단어들로 기사를 썼네요

  • 12. 성홍열
    '24.3.20 8:37 AM (111.99.xxx.59)

    한국에는 이 병이 없어요?
    없는거 아닌데 무슨 신종 전염병인양..

  • 13. ....
    '24.3.20 8:45 AM (118.235.xxx.117)

    보통은
    인체 면역력으로 커버되는 박테리아인데
    인체면역력을 넘는 전염성이니까
    위험인자로 보는거죠.

    단순 수치의 문제가 아니라

  • 14. ....
    '24.3.20 8:46 AM (118.235.xxx.117)

    문제 포인트는
    왜 인체 면역력으로 커버되지않는
    전염사례가 늘어난건지
    이유를 모른다는거죠.

    과학에서는
    이유를 모르면 해결책도 못 찾는거니까
    감염학자들 입장에서는
    위험 싸인 내놓는게 맞고요

  • 15. ㅎㄷㄷ
    '24.3.20 11:39 AM (39.117.xxx.106) - 삭제된댓글

    방사능 문제 아닐지

  • 16. ...
    '24.3.20 2:30 PM (125.133.xxx.151) - 삭제된댓글

    방사능 영향으로 각종 바이러스에 영향을 미치는건쥐..?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7064 이젠 회전근개 염증이 hj 01:52:04 80
1777063 요즘 머리 심는 기술 저렴해졌다는데 ㅇㅇ 01:27:26 224
1777062 예금주가 여자이름들, 꾸준히 소액 계좌이체내역 뭘까요 16 그놈이수상해.. 01:22:11 739
1777061 해오름 없어졌나요? 01:20:43 174
1777060 노트북이 생겼어요 주로 01:06:17 145
1777059 중국어 하시는 분 계신가요. 5 .. 01:03:12 174
1777058 한국에서도 테슬라 운전대 안잡아도 되네요 1 유튜브 01:00:31 532
1777057 홍콩 아파트 화재 사망자 75명으로 늘어 1 .... 00:58:10 567
1777056 제철음식 뭐 해드셨나요? .. 00:53:12 187
1777055 제주 호텔에 배송되나요 제즈ㅜ 00:49:52 135
1777054 홍장원 인기가 대단하네요 3 00:48:17 1,048
1777053 신축 펜트리를 개조해서 독서실로 만들면? 4 펜트리 00:34:43 697
1777052 전직 기자였던분 계신가요? 직업에 대한 질문.. 6 000 00:22:05 539
1777051 서울 와서 김밥 마는 샤를리즈 테론(영상) 2 ... 00:17:52 1,229
1777050 우리 엄마가 기가 세. 3 ... 00:12:28 922
1777049 명언 - 생명의 존엄성과 소중함 ♧♧♧ 00:04:22 251
1777048 29기 나솔 남자 3명이 몹시 쎄합니다... 8 ... 2025/11/27 1,957
1777047 저도 광고로 싸게 샀어요 1 2025/11/27 830
1777046 박정민..구교환..류준열... 24 ... 2025/11/27 2,512
1777045 기분나쁜 댓글 다는 사람은 8 2025/11/27 653
1777044 50다 되서 바에서 일해요 23 ㄴㅁ 2025/11/27 3,658
1777043 냉동실밥 뭐 맛있게 드셨나요. 4 .. 2025/11/27 582
1777042 민희진 재판 뉴스 보면서 되게 씁쓸하네요. 8 ... 2025/11/27 1,529
1777041 이혼숙려_역대급 갱신하네요. 23 hj 2025/11/27 4,207
1777040 남편 퇴직 2번째 2 고통 2025/11/27 1,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