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故)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서 발표

zzz 조회수 : 3,678
작성일 : 2024-01-12 15:32:28

229개 단체, 2,000여 명의 문화예술인들 연명

'고(故)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서 발표

12일(금)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문화예술인들 성명서 발표

29개 단체와 전 부산국제영화제 김동호 위원장,

송강호 배우 외 2천여 명의 문화예술인들 연명

12일(금) 오전 11시 29개 문화예술관련 단체를 중심으로 결성된 ‘문화예술인 연대회의’(가칭)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지난 12월 27일 작고한 고(故)이선균 배우의 안타까운 죽음을 마주하며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는데 뜻을 같이하고 수사당국 관계자들의 수사과정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 촉구, 언론의 자정 노력과 함께 보도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기사 삭제 요구, 문화예술인의 인권보호를 위한 현행 법령 제개정 등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한 것.

최덕문 배우의 사회로 진행된 ‘문화예술인 연대회의(가칭)’ 성명서 발표 행사는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소속 장원석 대표의 경과보고를 시작으로 김의성 배우, 봉준호 감독, 윤종신 가수 겸 작곡가, 이원태 감독의 성명서 낭독 그리고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최정화 대표의 향후 계획 발표까지 이어졌다.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소속 장원석 대표는 “고(故) 이선균 배우의 장례 기간 내내 방송, 영화, 음악 등 연예계를 총망라한 많은 분들이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는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되었다”라고 전하며 “방송, 영화, 음악 등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제 단체들이 연명에 동의해 주었다. 이는 이러한 비극적인 일이 다시는 발생해서는 안 된다는 깊은 공감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생각한다”라며 성명서 발표 경과보고를 상세히 전했다. 금번 성명서 발표에는 29개 문화예술 관련 단체와 2,000여 명의 문화예술인들이 연명에 함께했다.

이어 김의성 배우, 봉준호 감독, 윤종신 가수 겸 작곡가, 이원태 감독이 성명서를 낭독했다.

또한 한국영화제작가협회 정상민 부대표, 한국독립영화협회 고영재 대표,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 송창곤 사무총장, 한국영화마케팅사협회 이주연 회장까지 단체장들의 발언이 이어졌다.

끝으로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최정화 대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향후 어떠한 사안에 대하여 문화예술계 전반이 함께 대응해 나갈 수 있는 연대 회의체를 구체화할 예정이다. 이번 기자회견에 함께해 주신 가칭 ‘문화예술인 연대회의’ 내에서 구체화에 대한 방법과 향후 활동에 대한 논의를 이어 가겠다”라고 전했다. 이어 “여러 곳에서 언급이 되고 있는 속칭 “이선균 방지법”을 제정하기 위하여 뜻을 같이 하는 모든 단체와 함께 협력해 나갈 것이다. 또한 각 단체에서 제시한 여러 의견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함께 해 나갈 것이다”라며 향후 활동에 대해 밝혔다.

‘문화예술인 연대회의(가칭)는 “위 요구와 질문에 대하여 납득할 만한 결과가 나올때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라는 뜻을 전하며 '고(故)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서 발표를 마쳤다.

● 참석자

봉준호 감독, 윤종신 가수 겸 작곡가, 이원태 감독, 김의성 배우,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최정화 대표, 한국독립영화협회 고영재 대표,

영화수입배급협회 정상진 대표, 한국영화제작가협회 정상민 부대표,

한국영화마케팅사협회 이주연 대표, 여성영화인모임 김선아 대표

한국영화감독조합 민규동 대표,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 송창곤 사무총장,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배대식 사무총장, 한국연예제작자협회 김명수 본부장,

한국영화감독조합 장항준 감독, 여성영화인모임 소속 곽신애 대표,

한국영화프로듀서 조합 소속 장원석 대표

● 문화예술인 연대회의(가칭) 성명서 발표 관련 문의처

장원석 대표: ulikeme@empas.com

<성명서 전문>

대중문화예술인들에 대한 수사과정에서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 고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

지난 12월 27일 한 명의 배우가 너무나 안타깝게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지난 10월 19일 한 일간지의 “배우 L씨의 마약과 관련한 정보를 토대로 내사 중이다”라는 인천시경 관계자의 말을 인용한 최초 보도 이후 10월 23일 그가 정식 입건된 때로부터 2개월여의 기간 동안, 그는 아무런 보호 장치 없이 언론과 미디어에 노출되었다. 간이 시약 검사,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밀감정을 위한 시약 채취부터 음성 판정까지의 전과정이, 3차례에 걸친 경찰 소환조사에 출석하는 모습이 모두 언론을 통해 생중계되었으며 사건 관련성과 증거능력 유무조차 판단이 어려운 녹음파일이 언론과 미디어를 통해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결국 그는 19시간의 수사가 진행된 3번째 소환조사에서 거짓말 탐지기로 진술의 진위를 가려달라는 요청을 남기고 스스로 삶의 마침표를 찍는 참혹한 선택을 하게 되었다.

이에 지난 2개월여 동안 그에게 가해진 가혹한 인격살인에 대해 우리의 입장을 밝히는 것이, 유명을 달리한 동료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 생각하여 아래와 같은 입장을 밝힌다.

1. 수사당국에 요구한다.

고인의 수사에 관한 내부 정보가 최초 누출된 시점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2개월여에 걸친 기간 동안 경찰의 수사보안에 한치의 문제도 없었는지 관계자들의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한다.

수사가 진행되는 동안 공보책임자의 부적법한 언론 대응은 없었는지, 공보책임자가 아닌 수사업무 종사자가 개별적으로 언론과 접촉하거나 기자 등으로부터 수사사건 등의 내용에 관한 질문을 받은 경우 부적법한 답변을 한 사실은 없는지 한치의 의구심도 없이 조사하여 그 결과를 공개하기를 요청한다. 특히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밀감정 결과 음성판정이 난 지난 11월 24일 KBS 단독보도에는 다수의 수사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어떤 경위와 목적으로 제공된 것인지 면밀히 밝혀져야 할 것이며, 3번째 소환조사에서 고인이 19시간의 밤샘 수사에도 불구하고 일관되게 혐의를 부인한 후인 12월 26일에 보도된 내용 역시 그러하다.

언론관계자의 취재 협조는 적법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3차례에 걸친 소환절차 모두 고인이 출석 정보를 공개로 한 점, 당일 고인의 노출되지 않도록 대비하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은 점이 과연 적법한 범위 내의 행위인지 명확하게 밝힐 것을 요청한다.

수사당국은 적법절차에 따라 수사했다는 한 문장으로 이 모든 책임에 대해 자유로울 수 없다. 수사 과정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만이 잘못된 수사관행을 바로잡고 제2, 제3의 희생자를 만들지 않는 유일한 길이다.

2. 언론 및 미디어에 묻는다.

고인에 대한 내사 단계의 수사 보도가 과연 국민의 알권리를 위한 공익적 목적에서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는가? 대중문화예술인이라는 이유로 개인의 사생활을 부각하여 선정적인 보도를 한 것은 아닌가? 대중문화예술인이라는 이유로 고인을 포토라인에 세울 것을 경찰측에 무리하게 요청한 사실은 없었는가? 특히 혐의사실과 동떨어진 사적 대화에 관한 고인의 음성을 보도에 포함한 KBS는 공영방송의 명예를 걸고 오로지 국민의 알권리를 위한 보도였다고 확신할 수 있는가? KBS를 포함한 모든 언론 및 미디어는 보도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기사 내용을 조속히 삭제하기 바란다.

대중문화예술인이 대중의 인기에 기반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이용하여 악의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소스를 흘리거나 충분한 취재나 확인절차 없이 이슈화에만 급급한 일부 유튜버를 포함한 황색언론들, 이른바 ‘사이버 렉카’의 병폐에 대해 우리는 언제까지 침묵해야 하는가? 정녕 자정의 방법은 없는 것인가?

3. 정부 및 국회에 요구한다.

설령 수사당국의 수사절차가 적법했다고 하더라도 정부 및 국회는 이번 사망사건에 대해 침묵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형사사건 공개금지와 수사에 관한 인권보호를 위한 현행 법령에 문제점은 없는지 점검하고 필요한 법령의 제개정 작업에 착수해야 한다.

피의자 인권과 국민의 알 권리 사이에서 원칙과 예외가 뒤바뀌는 일이 없도록, 수사당국이 법의 취지를 자의적으로 해석∙적용하는 일이 없도록 명확한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우리는 위 요구와 질문에 대하여 납득할만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고 이선균 배우의 명복을 빕니다.

 

부산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 / 부산국제영화제 /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 서울국제여성영화제 / 여성영화인모임 / 영화수입배급사협회 /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 전주국제영화제 / 한국독립PD협회 / 한국독립영화협회 /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 한국매니지먼트연합 / 한국영화미술감독조합 / 한국방송실연자권리협회 /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 / 한국방송영상제작사협회 / 한국방송예술인단체연합회 / 한국방송작가협회 /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 한국연예매니지먼트협회 / 한국연예제작자협회 / 한국영화감독조합 / 한국영화녹음감독협회 / 한국영화마케팅사협회 / 한국영화제작가협회 /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 한국예술영화관협회 /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가나다 순)

 

IP : 119.70.xxx.175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죽은언론
    '24.1.12 3:35 PM (112.151.xxx.59) - 삭제된댓글

    아까운 사람
    목소리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 2. 진작
    '24.1.12 3:42 PM (122.133.xxx.91)

    좀 더 빨리 편이되어 나서 주지
    아까운 사람 보내고 이제 와서?
    그래도 응원은 합니다

  • 3. dabin
    '24.1.12 3:44 PM (118.235.xxx.162)

    아 이제는 외롭지 않겠어요 정말 이선균법이라도 만들어야 이런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을듯 해요. ㅠㅠ

  • 4. ㅜ.ㅜ
    '24.1.12 3:46 PM (221.163.xxx.27)

    생각할수록 안타까운 일입니다
    지금이라도 목소리 내주어서 고맙습니다
    응원합니다

  • 5. 연대의 힘
    '24.1.12 3:46 PM (211.206.xxx.130)

    현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움직임이라 생각되네요.
    응원합니다

  • 6. ㅇㅇ
    '24.1.12 3:48 PM (45.64.xxx.223)

    응원합니다

    아직도 나의 아저씨가 하늘나라에만 있다는게, 실감이 안납니다

  • 7. 진순이
    '24.1.12 3:53 PM (59.19.xxx.95)

    안타갑네요
    좀 더 일찍 편이 되었으면~~
    지금이라도 하시겠지만
    더이상 죽음을 안봤으면 좋겠어요

  • 8. 아까워
    '24.1.12 4:11 PM (211.220.xxx.118) - 삭제된댓글

    이제라도 다행이긴 합니다만
    잃기전에 이렇게 강한목소리 내줬음 얼마나
    좋았을까요.ㅠ

  • 9. 이래서
    '24.1.12 4:37 PM (110.70.xxx.172)

    윤석열이 며칠 전에 문화예술인 지원하겠다고 간섭 없을 거라고 갑작스레 불러다 엄포 아닌 엄포를 놓은 거죠

    더없는 용기로 이에 굴하지 않고 조목조목 요구로 밝힌 지목대상들을 탓하시길 귀 기울시길
    .

  • 10. 살인자 개세끼들
    '24.1.12 5:12 PM (124.53.xxx.169)

    반가운 소식네요만 또 속이 뒤집어 진다는...
    관련 기레기들 견찰들 낱낱이 색출해 옷벗겨 버리면 속이 좀 후련해 질까요?

  • 11. 정계
    '24.1.12 5:26 PM (115.135.xxx.166)

    연예인이슈 따위는 없어져야죠
    김건희식 김건희발 그쪽에서 꾸미기시작하고 무조건 19시간 붙잡아 족치면 어느 연예인이 멀쩡할까요

  • 12. ㅇㅇ
    '24.1.12 5:33 PM (211.251.xxx.199)

    그전부터 계속 애기했지요
    나와 관계없다고 부당한 일에 침묵하면
    어느사이 그 부당한일이 나에게 닥친다고

    지금이라도 한목소리 내어서 다행입니다

  • 13. 리메이크
    '24.1.12 5:36 PM (125.183.xxx.243)

    응원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7858 딱히 증거도 없잖아 2024/02/01 591
1557857 내남편과 결혼해줘 어디서 보나요? 2 r어얻 2024/02/01 2,491
1557856 맘먹고 반지 장만하려고 하는데요 4 ㅇㅇ 2024/02/01 2,362
1557855 퇴근하고 올때까지 저녁 안먹고 기다리는 40 뎁.. 2024/02/01 7,389
1557854 뭐라고 하나 주호민 트위치 방송 보는데 8 .... 2024/02/01 3,445
1557853 이 상황에서 회사 그만 두는게 맞을까요? 7 나이 많은 .. 2024/02/01 2,185
1557852 주호민이 시비거리 되는 이유라고 생각.jpg 3 이간질 2024/02/01 2,114
1557851 게으름과 우울증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10 ㅇㅇ 2024/02/01 3,622
1557850 가난하고 일자리 없어 매매혼하고 매춘하는게 나쁜가요? 18 근데 2024/02/01 4,411
1557849 코스트코에 나이키 힙색 있나요? 4 코스트코 2024/02/01 855
1557848 Kt 폰 기기대금 48개월 할부 이용하신 분 계세요? 5 폰기기할부 2024/02/01 504
1557847 스만이형(클린스만) 비밀의 노트에 적혀있던것 2024/02/01 824
1557846 61세 데미 무어, 7억 전신 성형 효과 톡톡…목 주름도 없는 .. 19 ... 2024/02/01 25,060
1557845 커피 원두 어디서 갈아요? 9 크리미 2024/02/01 1,644
1557844 다혈질 남편의 행태가 너무 싫어요 7 싫다 2024/02/01 2,435
1557843 옷 글에 대구쪽 여자들 촌스럽다는 글 웃겨요 25 웃기시네요 2024/02/01 4,657
1557842 이런 경우에 부모로서 어떻게 조언해줘야 할까요 8 알바 2024/02/01 1,216
1557841 새끼길냥이를 애들이 델구왔는데 너무 심심해하는데요 8 냥이 2024/02/01 2,280
1557840 지하철만 고집하는 친정엄마 10 . . 2024/02/01 4,748
1557839 8시30분 정준희의 해시티비 라이브ㅡ 동맹에서 동거로 , 비열.. 1 같이봅시다 .. 2024/02/01 357
1557838 사실혼 이혼할 시에 9 2024/02/01 3,022
1557837 핸드폰이 먹통인데 저장 정보 새 기기에 못 옮기나요 5 엉엉 2024/02/01 554
1557836 안정액 먹을까요 말까요 7 ㅜㅜ 2024/02/01 1,660
1557835 호접란 화분 옆의 커다랗고 두툼한 잎사귀는 뭐에요? 3 .. 2024/02/01 812
1557834 주택담보대출 대환대출 성공! 17 대출 2024/02/01 3,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