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죽음의 과정에 대한 설명(펌)

초인대사 조회수 : 5,867
작성일 : 2023-12-05 19:06:42

죽음을 고통스럽거나 무섭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탄생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처럼 죽음도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탄생이 조금 다르고 혼란스러운 이 세계로 들어오는 것이라면

죽음은 다르기는 하지만 조금 더 밝은 천상의 세계로

돌아가는 것뿐입니다.

사람들은 삶은 대단히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죽음에 대해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그러나 지구에서 보내게 되는 80년 남짓한 수명 보다도

영적인 삶은 훨씬 더 깁니다.

영혼의 삶은 육신의 죽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죽은 후에도 여전히 생각하고 느끼지만 육체적인 중량감만 없을 뿐입니다.

이 얼마나 좋으며 다행스러운 일입니까?

마침내 아픔과 고통을 이 땅에 남겨두고 떠날 수 있으니까요.

은색의 혼줄(silver cord)이 몸을 떠나게 되면

사랑하는 이들이 천상에서 여러분을 맞이할 것입니다.

이때는 재결합의 기쁨 , 평화의 시간입니다.

며칠 , 몇달 , 몇년의 휴식을 취한후에

(사실은 시간을 초월해 있음)

자신이 살아온 지난 날의 삶을 되돌아보고

자신이 성취한 일과 과오를 명확하게 인지하게 됩니다.

아무도 여러분을 심판하지 않습니다.

오직 자신만이 스스로를 심판할 뿐입니다.

그러고 나면 자신이 행한 과오나 실수에 대해

어떻게 보상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그 이후 다시 지구에 육화할때까지 얼마동안 천상계의 교육시설에서

충분히 배우게 됩니다.

천상에서의 상황이 지구보다 훨씬 더 자연스럽고 편하다는 것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그러니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https://blog.naver.com/hiiya808/222020574429

 

우리 모두는 지구로 다시 돌아와서 육화해야 됩니까?

 

답변: 아닙니다,영적 성취가 어느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멀리 떨어져있는 성좌의 다른 행성에서 삶을 체험할 수있습니다. 대개 다른 행성에 사는 사람들은 지구인간들보다는 더 진화되어 있는 것을 기억해 두세요. 그들은 우리보다 5,6,7차원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구와 비슷한  3차원적인 행성도 있는데, 지구와 좀 다르기는 해도 그들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땅을 근거로 해서 살아갑니다. 물론 천계에서도 영적 성장을 할 수가 있으나, 지구와 비교했을 때는 엄청나게 느립니다. 천계에서는 오직 사랑과 빛만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지구에는 전쟁과 배고픔,질병,증오,노여움,질투등 많은 것들을 극복할 기회도 가지게 됩니다! 이 얼마나 멋진 훈련소입니까? 노력만 하면 얼마든지 빨리 배울 수가 있으니 말입니다!

 

그러나 정신없이 바쁘게 살아가는 지구에서의 삶이 정말 싫고 이제는 다른 행성에서 삶을 체험해보고 싶다면, 이러한 상황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여러분들 중에 대부분은 이미 서로 다른 놀라운 별들에서 많은 삶을 체험해 왔습니다! 선택과 책임은 항상 여러분의 몫입니다!

 

 

IP : 125.183.xxx.168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3.12.5 7:09 PM (118.235.xxx.15)

    태어난다구요!!!! 싫어욧!

  • 2. ㅋㅋㅋ
    '23.12.5 7:10 PM (112.166.xxx.103)

    이걸 누가 알아요.
    글쓴이가 죽아봤데요???

  • 3. 덍구라
    '23.12.5 7:11 PM (220.117.xxx.61)

    이런 땡구라같은 스토리텔링을
    사람들이 믿나요?
    죽으면 그냥 소멸이에요. 휙 사라지는거

  • 4. 다시
    '23.12.5 7:15 PM (1.245.xxx.39) - 삭제된댓글

    태어난다고요? 안 돼욧!!!!?

  • 5. 죽음이
    '23.12.5 7:20 PM (223.39.xxx.230) - 삭제된댓글

    죽음이 막연하게 두려운 존재이긴 한데..

    이 세상에 태어나서 선하고, 반듯하고, 열정을 다해서
    살다가 죽음을 맞이한다는 전제하에 죽음을 떠올려보면
    그리 두렵지만은 않을것 같긴해요.

    그치만 그렇게 살다가 죽는게 좀 판타지 같다는..
    이승에서의 삶이 그리 녹록치 않으니까요.

    소망하길
    죽은후 맞는 차원다른 세계는
    따뜻하고 평온한 안식의 공간이길 바랍니다

  • 6. ...
    '23.12.5 7:30 PM (106.101.xxx.65) - 삭제된댓글

    글쎄요...

  • 7.
    '23.12.5 7:35 PM (39.117.xxx.171)

    저는 죽은담에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해요 그러길 바라구요
    그리고 안무섭습니다
    죽기전 아플까봐 그게 무섭지 죽음은 끝이니까 좋은거죠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는 말이 젤 이해안갑니다
    태어난 김에 사는데 좋을게 뭐가 있나요
    요람과 무덤사이는 고통만 있죠

  • 8. 그냥 자연속으로
    '23.12.5 7:39 PM (14.47.xxx.212)

    으..죽어서도 어느 누구도 만나고 싶지않아요. 그냥 먼지가 되어 멀리멀리 흩어져버렸으면 좋겠어요.

  • 9. 흠냐
    '23.12.5 8:01 PM (49.175.xxx.11)

    사후세계를 믿는 사람들이 이해안돼요.
    그냥 스위치 꺼지는건데.

  • 10. ...
    '23.12.5 9:11 PM (223.38.xxx.111)

    저는 무교고 종교가 모순된 게 많다고 생각하지만
    사후세계는 있는 거 같아요
    불교 기독교도 사후세계를 말하고 있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선하게 살고 잘못을
    깨닫고 성찰하려는 자세

  • 11. ...
    '23.12.5 9:16 PM (211.206.xxx.191)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선하게 살고 잘못을
    깨닫고 성찰하려는 자세.2222222222222222222222

  • 12.
    '23.12.5 9:17 PM (106.101.xxx.108)

    사후세계가 있다는걸 못믿겠으면
    없다는것도 확언할수 없는거죠
    어차피 죽어보기전에는...

  • 13. ㅎㅎ
    '23.12.5 9:38 PM (183.98.xxx.141)

    블로그를 다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저는 이미 믿고있는 바입니다. 십대때부터 긴 공부의 결과인데요,
    다음생은 천화하기로 마음먹었지만 이 모든 실질적인 체험이 너무 그리울것같아요. 사실 정말 재밌잖아요
    제 직업, 내가 도와준 사람들의 미소, 손길
    아이가 보내오는 학교생활 사진들
    겨울이면 또 몰두하는 패딩, 코트사기...ㅎ 정말 아름다운 세상이에요
    하지만 다음엔...



    브릿 말링 자가/감독님의 OA를 보면 그녀도 제법 이해하고 있더라구요
    조지타운 졸업식에서 그녀가 한 축하 연설을 보면 그도 역시 이번 생을 참 잘 즐기고 있더라구요

  • 14. ㅇㅇ
    '23.12.5 9:45 PM (125.187.xxx.79)

    환생의 영혼은 하나가 아니라 여러 영혼들이 합쳐지고 나뉘면서 새로운 영혼이되어 환생하는거라고 들었어요
    선업이든 악업이든 같이 갚아나가는거라고..
    종교없지만 모든종교에서 이웃을 사랑하라고 하쟎아요
    결국 우리는 다 하나라는거죠

  • 15. ..
    '23.12.6 1:34 AM (106.101.xxx.163) - 삭제된댓글

    영혼이 있긴 있어요?
    영혼은 없는것같음

  • 16. 감사
    '23.12.6 7:44 PM (118.235.xxx.84) - 삭제된댓글

    감사합니다
    책 저장해요

  • 17. 감사
    '23.12.6 7:45 PM (118.235.xxx.84) - 삭제된댓글

    감사합니다
    저장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28214 교정 막 시작하는 아이들 단백질 섭취 어떻게 하나요? 6 레몬 2023/12/06 804
1528213 요새 버버리(내피) 입기에 추울까요 4 ㅁㅁㅁ 2023/12/06 892
1528212 회사에서 붙잡는 직원 23 ** 2023/12/06 5,639
1528211 부산가는데, 일정좀 봐주세요.. 7 ㅇㅇ 2023/12/06 818
1528210 충남대, 한밭대 재학생이나 졸업생분들커뮤니티에 글1건 작성해달라.. 3 ___ 2023/12/06 1,943
1528209 쌀국수 소스 어떤 거 추천하세요? 3 리까 2023/12/06 1,215
1528208 남편이 안그러다가 자꾸 집에 일찍와요 14 .. 2023/12/06 6,560
1528207 전세, 전세사기, 전세대출 관련 최소한 이것은 꼭 알고 계시길 .. 8 꼭 알아두세.. 2023/12/06 1,682
1528206 특목고 면접..먼저보는게 나은가요? 나중이 나을까요? 2 .... 2023/12/06 706
1528205 전두환은 악마새끼..노태우는 쿠데타 일등공신 10 서울의 봄 2023/12/06 2,135
1528204 깍뚜기 양념이 과한데, 3 김치 2023/12/06 766
1528203 집안에 큰일이 생기면 사촌들한테 참 고마운감정을 느낄때가 .??.. 6 .. 2023/12/06 2,970
1528202 저희 딸보면 나무늘보가 환생했나 싶어요 27 ... 2023/12/06 6,573
1528201 테일러 스위프트 곡 중에 좋은 곡 추천해 주세요 8 영통 2023/12/06 937
1528200 한전 독점 전력망 사업 민간에 개방…산단 전력공급 속도낼듯 5 가져옵니다 2023/12/06 1,086
1528199 이재용의 스타성 19 2023/12/06 5,874
1528198 급여 비급여항목 1 ???? 2023/12/06 1,129
1528197 지금 울산 30분째 정전이에요 35 ... 2023/12/06 7,009
1528196 방귀 관련 궁금한 점이 있어요. 3 ... 2023/12/06 1,714
1528195 카드실적에 시내대중교통 이용도 들어가나요? 6 교통 2023/12/06 1,090
1528194 강아지 말하기 버튼.. 3 강아지 2023/12/06 1,376
1528193 길가다가 행인한테 쎄한 기운 느꼈어요. 8 초예민인테제.. 2023/12/06 5,387
1528192 가스비 25만원 5 .. 2023/12/06 2,946
1528191 정수리 탈모 조언 부탁드려요. 7 .. 2023/12/06 2,066
1528190 연금저축 이랑 irp 금액이요 6 연말정산 2023/12/06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