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가 사교육 선생님

ㅇㅇ 조회수 : 3,617
작성일 : 2023-11-30 07:00:49

아래 초 1앤 다 잘하는데 왜 크면 못하나 

초등부터 고등까지 영어지도해요 교습소 

초 3애들이 지금 6명다니는데 

문법을해요 명사 파트가 조잡하잖아요 오는 

셀수없는 명사 종류  __s es 붙이는 규칙 

불규칙 복수형 a an the 붙이는 규칙 

암기 시키고 문제를 풀면 

아니 암기안해도 되요 

왼쪽설명보고 오른쪽문제를 비교해가면서 풀면되요 

반복되면서 자연스럽게 암기되는 과정으로 구성된 책이죠 

1)오늘 한 번 암기하면. 뒤로 10장을 다맞게 알아서 척척 푸는 애가 있는가 하면 

 

2) 풀긴 푸는 데 꼭 한쬑에 한두문제 틀리고 어렵다고 징징대는 애 앞에가서 보고풀면되는 문제인대도 그래요 인내심 근력이 부족해 보이는 경우 같아요 

 

3) 2~3일 지나면 다 까먹고 못푼다고 끙끙대는 애 

 

공부시켜보면 달라요 느낌이 옵니다 

2 번 3번 유형 친구들은  확실이 머리가 덜 좋거나 공부방법을 몰라요  암기를 까먹었어도 어디쯤 나온거니까 앞에가서 다시 읽어 보고 풀면 되는데 다시 읽지도않고 답을 띡 찍더라구요 

앞 이론 설명을 안읽고 싶어해요  

앞에 나왔자나. 다시 읽어보고 풀자 해도 ᆢ ㆍ 

싫다고 다음 학원가야한다고 그만하자고 하고 던져놓고 갑니다.

정말 이런거 보면 글 읽고 이해하는 뇌가 중요 합니다 

2번 3번 유형친구들이  평소 얼마나 야무진치 몰라요  정곡을 찔러 저한테 쓴소리 할때도 많구요 옛날말로 얼마나 백여시들인지.. 아주 똘똘합니다.  외모도 다들 준수하고 공부도 잘하게 생겼어요.   부모님들은 얘네가 다 잘 한 줄 알아서 상담할때 함부로 못해요 소리 해주면 큰일나요 

그냥 잘하고 있어요 그렇게 말해줍니다 

따라는 오니까 잘하고 있는건 맞죠 

하지만  뛰어나진 않아요 ㅜㅜ 

뛰어나거나 인내심이있어야 인서울 왠만한 대학 가는거자나요 

제발 2번 3번 유형친구들은 연달아 학원안잡아야해요 마무리 하고 더 이해시키고 싶어도 하기싷으니  다른학원 핑계 댑니다. 예체능 전공안시키고 그나마 인서울대학보낼거면 휴대폰 규제 하시고  가정에서 대화 많이하고  책많이 읽혀 주시고 예체능을 영수학원 뒤에 연달아 넣지 마시기 바랍니다.

 

IP : 220.79.xxx.240
2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동감
    '23.11.30 7:22 AM (211.193.xxx.174)

    저도 사교육에 오래 있었고 현잰 공고육에 있으면서 두루두루 살펴 본 결과, 일단 타고 나야해요. 아무리 환경을 갖춰줘도 본인이 못 따라가면 흥미 못 느끼고 동기부여되기가 어렵죠. 저는 만 두돌되던 아이부터 유아수업도 많이 했는데 그때도 이미 보여요. 그래서 내 자식은 일찍 포기한 케이스 ㅎㅎ. 그나마 희망은 성인 수업 해보면 시험이나 확실한 계기로 인한 동기에는 중학교 3년 배울걸 3개월만에도 가능하더라고요. 그것도 사바사겠지만.

  • 2. 대략
    '23.11.30 7:26 AM (211.250.xxx.112)

    6살쯤 되니 차이가 보이더군요. 과제에 달려드는 의욕, 과제집착력이 달라요.

  • 3.
    '23.11.30 7:37 AM (124.5.xxx.102) - 삭제된댓글

    중고등 강사입니다. 우리 애가 3이었는데 서성한 들어갔어요.
    어린 아이들 현재 상태 가지고 확정짓고 판단하는 거 굉장히 위험해요. 초등까지 학습은 여자 아이들이 다 우위잖아요. 수능보면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이 우수하지 않고 표준편차만 낮아요. 최상위권은 남학생이 훨씬 많아서 따박따박 수시 아니면 합격의 성비 맞추기 힘들어요.

  • 4.
    '23.11.30 7:41 AM (124.5.xxx.102) - 삭제된댓글

    중고등 강사입니다. 우리 딸이 3이었는데 서성한 들어갔어요.
    어린 아이들 현재 상태 가지고 확정짓고 판단하는 거 굉장히 위험해요. 초등까지 학습은 여자 아이들이 다 우위잖아요. 수능보면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이 우수하지 않고 표준편차만 낮아요. 최상위권은 남학생이 훨씬 많아서 따박따박 수시 아니면 합격의 성비 맞추기 힘들어요. 그만큼 중고등 역량에서 변화가 있다는 말입니다. 아이들이 육체, 신체 성숙을 어느 정도 완료해야 실력을 아는데 어릴 때 다 안다는 분은 돗자리 까는 직업 가지셔야 해요.

  • 5. ...
    '23.11.30 7:42 AM (118.235.xxx.53)

    서성한이 최상위권도 아닌데 무슨 여학생 공부 못 한다 타령인지

  • 6.
    '23.11.30 7:43 AM (124.5.xxx.102)

    중고등 강사입니다. 우리 딸이 3이었는데 서성한 들어갔어요.
    어린 아이들 현재 상태 가지고 확정짓고 판단하는 거 굉장히 위험해요. 초등까지 학습은 여자 아이들이 다 우위잖아요. 수능보면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이 우수하지 않고 표준편차만 낮아요. 최상위권은 남학생이 훨씬 많아서 따박따박 수시 아니면 합격의 성비 맞추기 힘들어요. 그만큼 중고등 역량에서 변화가 있다는 말입니다. 아이들이 육체적, 정신적 성숙을 어느 정도 완료해야 실력을 아는데 어릴 때 다 안다는 분은 돗자리 까는 직업 가지셔야 해요.

  • 7. 통계
    '23.11.30 7:49 AM (124.5.xxx.102) - 삭제된댓글

    23년 서울대 합격자 3명 중 2명(64.3%)은 남학생
    수능 1등급 남학생 비율 국어 54.7%, 수학에서 74%
    의대 성비 7대 3임.

  • 8. 통계
    '23.11.30 7:51 AM (124.5.xxx.102) - 삭제된댓글

    23년 서울대 합격자 3명 중 2명(64.3%)은 남학생
    수능 1등급 남학생 비율 국어 54.7%, 수학에서 74%
    의대 성비 7대 3임.
    남학생은 성적이 극과 극. 여학생은 평균에 몰려있음.

  • 9. 통계
    '23.11.30 7:57 AM (124.5.xxx.102) - 삭제된댓글

    우리 아이 이야기는 "뛰어나거나 인내심이있어야 인서울 왠만한 대학 가는거자나요 "라는 원글에 대한 반박이고 우리 아이 최상위권이라보 말하지 않았어요.
    23년 서울대 합격자 3명 중 2명(64.3%)은 남학생
    23년 수능 1등급 남학생 비율 국어 54.7%, 수학에서 74%
    의대 성비 7대 3임. 현실이 그러해요.
    남학생은 성적이 극과 극. 여학생은 평균에 몰려있음.

  • 10. 통계
    '23.11.30 8:02 AM (124.5.xxx.102) - 삭제된댓글

    우리 아이 이야기는 "뛰어나거나 인내심이있어야 인서울 왠만한 대학 가는거자나요 "라는 원글에 대한 반박이고 우리 아이 최상위권이라고 말하지 않았어요.
    23년 서울대 합격자 3명 중 2명(64.3%)은 남학생
    23년 수능 1등급 남학생 비율 국어 54.7%, 수학에서 74%
    의대 성비 7대 3임. 현실이 그러해요.
    남학생은 성적이 극과 극. 여학생은 평균에 몰려있음.

  • 11. 통계
    '23.11.30 8:12 AM (124.5.xxx.102) - 삭제된댓글

    우리 아이 이야기는 "뛰어나거나 인내심이있어야 인서울 왠만한 대학 가는거자나요 "라는 원글에 대한 반박이고 우리 아이 최상위권이라고 말하지 않았어요. 그리고 여학생의 수능점수가 남학생 보다 우수하지 않다와 못한다가 같은 이야기인가요? 평균점은 의미있게 크큰 차이는 없다는 것이 통설이에요. 그러나 실기가 따로 있지 않는 이상 수능 평균점으로는 인서울이 어려워서 최상위, 상위를 보는 겁니다.
    23년 서울대 합격자 3명 중 2명(64.3%)은 남학생
    23년 수능 1등급 남학생 비율 국어 54.7%, 수학에서 74%
    의대 성비 7대 3임. 현실이 그러해요.
    남학생은 성적이 극과 극. 여학생은 평균에 몰려있음.

  • 12. 통계
    '23.11.30 8:15 AM (124.5.xxx.102) - 삭제된댓글

    우리 아이 이야기는 "뛰어나거나 인내심이 있어야 인서울 왠만한(웬만한) 대학 가는거자나요(거잖아요) "라는 원글에 대한 반박이고 우리 아이 최상위권이라고 말하지 않았어요. 그리고 "여학생의 수능점수가 남학생 보다 우수하지 않다"와 "여학생이 공부 못한다"가 같은 이야기인가요? 평균점은 의미있게 큰 차이는 없다는 것이 통설이에요. 그러나 실기가 따로 있지 않는 이상 수능 평균점으로는 인서울이 어려워서 최상위, 상위를 보는 겁니다.
    23년 서울대 합격자 3명 중 2명(64.3%)은 남학생
    23년 수능 1등급 남학생 비율 국어 54.7%, 수학에서 74%
    의대 성비 7대 3임. 현실이 그러해요.
    남학생은 성적이 극과 극. 여학생은 평균에 몰려있어요.

  • 13. 통계
    '23.11.30 8:22 AM (124.5.xxx.102) - 삭제된댓글

    우리 아이 이야기는 "뛰어나거나 인내심이 있어야 인서울 왠만한(웬만한) 대학 가는거자나요(거잖아요) "라는 원글에 대한 반박이고 우리 아이 최상위권이라고 말하지 않았어요. 그리고 "여학생의 수능점수가 남학생 보다 우수하지 않다"와 "여학생이 공부 못한다"가 같은 이야기인가요? 평균점은 의미있게 큰 차이는 없다는 것이 통설이에요. 그러나 실기가 따로 있지 않는 이상 수능 평균점으로는 인서울이 어려워서 최상위, 상위를 보는 겁니다.
    23년 서울대 합격자 3명 중 2명(64.3%)은 남학생
    23년 수능 1등급 남학생 비율 국어 54.7%, 수학에서 74%
    의대 성비 7대 3임. 현실이 그러해요.
    남학생은 성적이 극과 극. 여학생은 평균에 몰려있어요.
    저는 딸 엄마이지만 그렇다고 있는 통계 자료를 왜곡할 순 없잖아요.

  • 14. 통계
    '23.11.30 8:25 AM (124.5.xxx.102)

    우리 아이 이야기는 "(어릴 때)뛰어나거나 인내심이 있어야 인서울 왠만한(웬만한) 대학 가는거자나요(거잖아요) "라는 원글에 대한 반박이고 우리 아이 최상위권이라고 말하지 않았어요. 그리고 "여학생의 수능점수가 남학생 보다 우수하지 않다"와 "여학생이 공부 못한다"가 같은 이야기인가요? 평균점은 의미있게 큰 차이는 없다는 것이 통설이에요. 그러나 실기가 따로 있지 않는 이상 수능 평균점으로는 인서울이 어려워서 최상위, 상위를 보는 겁니다.
    23년 서울대 합격자 3명 중 2명(64.3%)은 남학생
    23년 수능 1등급 남학생 비율 국어 54.7%, 수학에서 74%
    의대 성비 7대 3임. 현실이 그러해요.
    남학생은 성적이 극과 극. 여학생은 평균에 몰려있어요.
    저는 딸 엄마인데 그렇다고 있는 통계 자료를 왜곡할 순 없잖아요.

  • 15.
    '23.11.30 9:06 AM (182.219.xxx.104)

    맞는 말 같은데요.
    윗분은 원글이 말하고자 하는 포인트를 잘못 이해하신듯.

    2,3은 남녀를 말하는게 아니라 공부에 대한 애티튜드를 말하는 거 잖아요. 공부에 대한 자세, 의욕이 이미 저런데 뭘 중고등가서 바껴요.
    저렇게 초등부터 구멍 숭숭 나기 시작하니 중고등가서 돌이킬 수 없는 거죠.

    연달아 학원 안 잡아야 된다는 말 진리. 하지만 엄마들은 관심없음.

  • 16. 그것도
    '23.11.30 9:48 AM (118.235.xxx.73) - 삭제된댓글

    어린애들 가지고 섣부른 판단도 금지인거 맞죠.

  • 17. 그것도
    '23.11.30 9:49 AM (118.235.xxx.73)

    어린애들 가지고 섣부른 판단도 금지인거 맞죠.
    허준이교수도 수학문제집 풀자고 하면 도망갔다는데요.
    판단 신중해서 나쁠거 있나요?

  • 18. 근데
    '23.11.30 10:18 AM (1.225.xxx.157)

    원글님이 그래서 2,3번 애들 공부 많이 시키지 말라고 했나요? 나머지 학습 가능하게 학원 연달아 잡지 말라는 거밖엔 없었고 매우 합당한 충고라 생각하는데 123으로 구별 짓는거 자체가 맘에 안든다는 식인데 구별이 되는걸 어째요. 123번 계속 시키되 이런저런걸 맞춤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거잖아요?

  • 19. 그것도
    '23.11.30 10:22 AM (124.5.xxx.102) - 삭제된댓글

    꼬맹이들 데리고 대학 어쩌고 하는 건 선 넘었죠.

  • 20. 그것도
    '23.11.30 10:24 AM (118.235.xxx.45) - 삭제된댓글

    현재 힘들수는 있는데 꼬마들 데리고 나누고
    대학 어쩌고 하는건 글쎄요. 키워 보세요.
    1이 다 잘하는 것도 아니고 2,3이 못하는 것도 아니에요.
    오은영 선생님도 못하는 학습능력 예측 판단인데

  • 21. 그것도
    '23.11.30 10:25 AM (118.235.xxx.45) - 삭제된댓글

    현재 힘들수는 있는데 꼬마들 데리고 나누고
    대학 어쩌고 하는건 글쎄요. 키워 보세요.
    1이 다 잘하는 것도 아니고 2,3이 못하는 것도 아니에요.
    오은영 선생님도 못하는 미래 학습능력 예측 판단인데

  • 22. 그것도
    '23.11.30 10:26 AM (118.235.xxx.45) - 삭제된댓글

    현재 힘들수는 있는데 꼬마들 데리고 나누고
    대학 어쩌고 하는건 글쎄요. 키워 보세요.
    1이 다 잘하는 것도 아니고 2,3이 다 못하는 것도 아니에요.
    오은영 선생님도 못하는 미래 학습능력 예측 판단인데

  • 23. 그것도
    '23.11.30 10:27 AM (118.235.xxx.45) - 삭제된댓글

    현재 힘들수는 있는데 꼬마들 데리고 나누고
    대학 어쩌고 하는건 글쎄요. 키워 보세요.
    1이 다 잘하는 것도 아니고 2,3이 다 못하는 것도 아니에요.
    오은영 선생님도 못하는게 일반아이 먼미래 학습능력 예측 판단인데

  • 24. 그것도
    '23.11.30 10:29 AM (118.235.xxx.45) - 삭제된댓글

    현재 힘들수는 있는데 영어 딱 한과목으로 꼬마들 데리고 나누고
    대학 어쩌고 하는건 글쎄요. 한번 키워 보세요.
    1이 다 잘하는 것도 아니고 2,3이 다 못하는 것도 아니에요.
    오은영 선생님도 못하는게 일반아이 먼미래 학습능력 예측 판단인데

  • 25. 그것도
    '23.11.30 10:36 AM (118.235.xxx.45) - 삭제된댓글

    현재 힘들수는 있는데 영어 딱 한과목으로 꼬마들 데리고 나누고
    대학 어쩌고 하는건 글쎄요. 한번 키워 보세요.
    1이 다 잘하는 것도 아니고 2,3이 다 못하는 것도 아니에요.
    오은영 선생님도 못하는게 일반아이 먼미래 학습능력 예측 판단인데
    그나저나 조합을 조잡이라고 쓴거죠? 신뢰성이

  • 26. 그것도
    '23.11.30 10:38 AM (118.235.xxx.45)

    현재 힘들수는 있는데 영어 딱 한과목으로 꼬마들 데리고 나누고
    대학 어쩌고 하는건 글쎄요. 한번 키워 보세요.
    1이 다 잘하는 것도 아니고 2,3이 다 못하는 것도 아니에요.
    오은영 선생님도 못하는게 일반아이 먼미래 학습능력 예측 판단인데
    그나저나 명사파트가 조잡해요?

  • 27. ...
    '23.11.30 10:58 AM (123.111.xxx.253) - 삭제된댓글

    공부머리 정해져 있어요.
    요인은 타고난 성향과 환경. 95%
    성향과 환경 안좋은데 잘하는 경우는 예외. 5%

    내 아이는 저 5%에 들어갈거라는 희망을 안고 들들들 시킴.
    5%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선생님들 아무도 사실을 말하지 않음.
    5%라는 희망 때문에 보통은 충분히 할 아이도 좌절과 실패를 느끼며 살게함.

  • 28. Ry
    '23.11.30 12:48 PM (112.169.xxx.231)

    공부머리는 영어가 아니라 수학으로 봐야해요..
    영어에서 성실과 태도로 영어최상위될수 있어요 언어니까요
    근데 수학머리좋은건 성실과 태도만으로는 안돼요..
    그러나 보통의 수학머리를 가졌다면 우리나라 수능문제로는 서성한중경정도 갈수있어요

  • 29. 교육학자들이
    '23.11.30 1:36 PM (211.206.xxx.180)

    다 말해온 것들입니다.
    자기주도, 실행능력, 과제집착력 다.
    학령기에 발현돼서 정규 교육과정 안에서 빛을 발하면 좋지만,
    뒤늦게 각성해서 뼈를 깎는 고통으로 성취한 사람들도 있긴 하죠.
    아무리 사교육 내신대비에서 엄선된 자료로 다 갖춰놔도
    자기가 보기싫고 의미 탐구 안하면 끝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28511 인적공제에서 빠지면 세금혜택 얼마나 줄어드는지 어떻게 계산하나요.. 6 ... 2023/12/07 1,469
1528510 어떤쪽이 난방비 절약될까요 11 겨울시러 2023/12/07 2,526
1528509 요리할때 어떤 기름 쓰나요 13 ㅇㅇ 2023/12/07 2,106
1528508 집에 와서 할거 절대 먼저 안하는 아이.. 15 ㅇㅇ 2023/12/07 2,800
1528507 하와이여행...해변..해수욕 이런거 안해도 재밌나요? 17 .... 2023/12/07 2,947
1528506 폐경 되면 좋겠어요 20 이제 2023/12/07 4,310
1528505 폐렴증상? 3 hippos.. 2023/12/07 1,580
1528504 발등이 높은 아치깔창이요 4 .. 2023/12/07 870
1528503 영어 1등급 4.71%인데 많다고 19 2023/12/07 4,335
1528502 부러운 부부 8 멀티 2023/12/07 5,320
1528501 상비약 추천 부탁드려요 9 2023/12/07 1,047
1528500 부모 봉양에 대한 남자들 생각 42 남자들 2023/12/07 6,600
1528499 동네 옷가게마다 카피옷 줄줄 .. 15 ㅇㅇ 2023/12/07 7,467
1528498 스탠팬, 베이킹소다로 닦으면 된다고 했잖아요. 12 ... 2023/12/07 2,400
1528497 부모님 돌아가시고 제일 후회되는게 뭐였나요? 25 2023/12/07 6,888
1528496 영어만 1등급인 저희 아이 ㅠㅠ 8 휴… 2023/12/07 4,377
1528495 홍익표 '與, 위성정당 방지 15일까지 합의안되면 민주당이 판단.. 3 홍익표 잘한.. 2023/12/07 962
1528494 언제부터 돈이 사람 보다 더 중요하게 됐나요? 19 언제부터 2023/12/07 3,730
1528493 갠적으로 입시치뤄보면 겸손 12 ㅇㅇ 2023/12/07 3,590
1528492 책상에서 발받침 쓰세요? 5 ㅋㅋㅋ 2023/12/07 1,259
1528491 사는게 재미없어보인다고,,,ㅠ 15 ㅜㅠ 2023/12/07 5,126
1528490 인생 최대 목표 ㅎㅎ 2 ㅇㅇ 2023/12/07 2,310
1528489 포케는 샐러드랑 다른게 뭔가요? 5 ... 2023/12/07 3,020
1528488 한김치 레시피를 배추 1~3통으로 줄이면 1 ... 2023/12/07 1,014
1528487 코트 혼용율이요 2 궁금 2023/12/07 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