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나라처럼 맨발걷기가 열풍인 나라 있나요?

8282 조회수 : 3,226
작성일 : 2023-11-16 10:28:59

우리나라사람들은 좋다고 하면 너무 올인하는거 같아요.

IP : 125.183.xxx.168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해도
    '23.11.16 10:30 AM (221.143.xxx.13)

    너무 심하죠

  • 2. 열풍은
    '23.11.16 10:32 AM (117.5.xxx.235)

    열풍은 안닌데 호주나 뉴질랜드가면 사람들 맨발로 많이 다녀요. 시내에서도..

  • 3. 그런 성향 덕분에
    '23.11.16 10:33 AM (211.247.xxx.86)

    발전도 한거죠
    안 좋은 점도 금방 깨닫고 바꿀 줄 알고.
    무조건 냄비 근성이라 매도할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 4. 우르르
    '23.11.16 10:34 AM (211.221.xxx.43)

    뭐만 하면 우르르 죄다 따라하는 게 너무 우스워요
    저러다 한 순간에 써지는 것도 웃기고
    의사들도 하지 말라는 걸 어휴

  • 5. 음..
    '23.11.16 10:37 AM (121.141.xxx.68)

    울나라가 우르르르~~쏠리는 열풍의 장단점이 있는듯해요.
    단점은 쏠리지 않는 사람들 눈에는 어처구니 없어 보이기도하고
    너무 단순한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지만

    장점은
    우르르~쏠리다보니 양적성장하고 그 결과 질적성장을 하는거죠.
    인구가 5천만 조금 넘다보니
    산업이 발전하기에는 부족한걸
    우르르르~~쏠림현상으로 어느정도 해소해 준다고 보거든요.

    화장품에 전국민이 미쳐있을때 화장품 산업 발달
    핸드폰에 미쳐있을때 핸드폰 발달
    음식에 미쳐있을때 음식 발달
    아이돌에 미쳐있을때 K팝
    드라마에 미쳐있을때 k드라마
    성형에 미쳐있을때 k성형
    이런식으로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 어느정도 수요가 받쳐줘야
    확~~~~발전하기에
    우리나라 쏠림현상은
    비판하기에는 장점도 너무 크다는거죠.

  • 6. ooo
    '23.11.16 10:52 AM (106.101.xxx.49)

    어떡해서든 집단주의의 장점을 찾아보려는 노력 이해는 하겠는데
    이로 인한 부작용이 더 크다고 봅니다.
    사회가 제시하는 가치를 비판없이 무조건 수용하고
    동참하지 않으면 나만 뒤쳐진다는 박탈감이 들거나
    까칠하고 별난 사람으로 낙인 찍히기 쉬워요.

    고도의 경제성장을 겪으며 순식간에 발전한 나라가
    시대를 관통하는 가치관도 철학도 부재한 상황에서
    외모지상주의, 배금주의가 최우선 가치로 제시되니
    대중들은 품격, 예의, 진정한 가치를 고민할 줄 아는 사고력
    모두 집어던지고 미친듯이 성형하고 갑질해대는 사회가
    된거라고 봅니다.

    맨발걷기가 뭐 그리 대단해서 이런 얘기까지 하냐고 하겠지만
    큰 맥락에서 보면 이 또한 같은 현상이라 봅니다.
    여기가 맨발로 걸어도 되는 장소인지
    남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는지
    실제로 효능은 있는건지 진지하게 생각해보지도 않고
    일단 남들이 한다니 나도 일단 해보는거예요.

    사고할 줄 모르고 고민도 안 하는게 만연한 집단무지성 사회가 되니
    이런 무식한 행태도 나타나는거예요.

  • 7. ㅋㅋㅋ
    '23.11.16 10:53 AM (119.64.xxx.42) - 삭제된댓글

    양은냄비 스타일이죠.
    하하하

  • 8. ...
    '23.11.16 10:53 AM (118.235.xxx.117)

    쏠림현상..저는 그런 게 너무 싫어요
    세뇌 잘 되는 성향이다 보니 쏠림 현상있는 거죠
    종교에 빠지고 명품열풍에 빠지고 여론에 휩쓸리니
    이용해 먹기 좋은 습성들..아주 위험합니다

  • 9. 비판만 하고
    '23.11.16 10:54 AM (211.247.xxx.86)

    모든 변화에 냉소적인 사회는 발전이 없어요
    좋다면 일단 해 보는 게 왜 나빠요?
    해 보고 아니면 그만 두면 그 뿐이고요. 비용이 들거나 남에게 해가 되는 일도 아닌데 잘난 척 눈깔고 내려다 보는 것도 우습네요.

  • 10. ooo
    '23.11.16 11:02 AM (106.101.xxx.49)

    맨발걷기가 환경을 파괴한다는 뉴스 안 보셨나봐요
    산길은 산길대로 갯벌도 맨발걷기 후 심각하게 파괴되던데
    이런 사실도 모르고 일단 해보는게 뭐가 나쁘냐니
    이래서 무지성 소리 듣는거예요.

    힐링하려고 간 공기좋은 산에서까지
    남들의 더러워진 맨발 보고 싶지 않은 사람들도 있다는건
    고려도 안 하고 알게 된다 하더라도
    남들이 다 좋다고 해서 하는건데 혼자 유난떤다고
    오히려 비난이나 하고 말겠지요.

  • 11. ..
    '23.11.16 11:05 AM (116.40.xxx.27)

    공원에 힐링하러갔다가 맨발로 걷는사람많아서 기분별로더라구요.

  • 12. 양은냄비맞죠
    '23.11.16 11:05 AM (175.223.xxx.129)

    탕후루 열풍이라서 한집건너 생기더니 벌써 열풍 식어서 줄 패업중이라는데

  • 13. ㅁㅁㅁ
    '23.11.16 11:08 AM (211.192.xxx.145)

    좋다는 다음 꺼가 나오면 사라질 거에요.
    망치로 머리 두들기면 뇌세포가 활성화 되어 치매 예방된다 이런 거

  • 14. 열풍은
    '23.11.16 11:29 AM (106.101.xxx.28)

    아니지만 남반구 나라들은 맨발로 아이들 시내 잘돌아다니더라구요
    울애도 어릴때 따라해서 맨발로 길거리 다니는데
    좋다면서 ㅎ
    야외 공공장소에서 애들은 다 맨발

  • 15. 솔직히
    '23.11.16 11:43 AM (14.32.xxx.215)

    이상하죠
    길이 깨끗한것도 아니고 질병감염 우려도 많은데
    나가서 신발신고 걸어도 좋은걸 맨발이라 더 좋다니...
    그거 어싱이라고 요새 다단계 팔아요

  • 16. ..
    '23.11.16 11:55 AM (106.101.xxx.195) - 삭제된댓글

    울나라가 우르르르~~쏠리는 열풍의 장단점이 있는듯해요.
    222

  • 17. ..
    '23.11.16 12:16 PM (211.251.xxx.199)

    우루루 기성세대들이 좀 사라져야지요
    근데 저 기성세대들이 키운 아이들이많진 않지만 또 문제네
    엄마말만 들어
    엄마가 하란대로 해
    주관이 없는것들

  • 18. ...
    '23.11.16 12:35 PM (112.171.xxx.147) - 삭제된댓글

    쏠림현상 냄비근성 다 좋은데
    특히 건강쪽은 유난하죠
    그리고 이런건 여자들이 훨씬 더 열심이구요

  • 19.
    '23.11.16 3:12 PM (118.235.xxx.238)

    미국도 어싱 오래된 건강법이라 많이 해요. 지금 한국 열풍은 대중방송에서 효과 있음을 과학적 근거와 함께 제시했기 때문에 자연스러운거죠. nk 세포 활성도가 수십배 올라갔다는 실험 증거를 봤으면 진짜 효과가 있네 하는 게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태도에요. 그저 자기 상식과 다르단 이유로 감정적 비논리적으로 유사과학이네, 냄비근성이네 조롱하는 게 문제인거구요. 진짜 전문적인 지식과 연구를 바탕으로 비판하는 사람은 본 적이 없어요. 그저 막연하고 대중적인 상식에 빗대어 판단하는 사람들 뿐.

  • 20.
    '23.11.16 3:28 PM (61.47.xxx.114)

    건강이 좋아지면 좋은일이죠
    그런데 구분좀 했으면 해요
    뫙릉쪽을 뭐 해라마라 하시는지
    그냥 맨발로걷기좋은곳 해놨으면걷기서만
    하셔야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29449 대학생 아이가 탈모가 있는데 9 조언 2023/12/10 2,249
1529448 이재명 카페 개설자“내가 만든 개딸 명칭 파기” 20 ... 2023/12/10 2,474
1529447 또 혼자네요 12 혼자 2023/12/10 4,905
1529446 서울의봄 보신분들.? 18 ... 2023/12/10 3,709
1529445 짝퉁 종결 - 소위 명품백 자체가 고가 사치품은 맞지만.... 16 정확 2023/12/10 3,767
1529444 밥먹고 살만하다는 말이요. 14 .. 2023/12/10 4,068
1529443 시절인연란 말이요 7 현소 2023/12/10 5,225
1529442 무기력과 번아웃은 다른가요? 7 .. 2023/12/10 2,118
1529441 확장한 추운 북향 작은 방은 방법이 없겠죠? 6 ㅇㅇ 2023/12/10 1,846
1529440 피부과 많이 다녀보신분 시술 추천해주세요 13 귤차 2023/12/10 4,861
1529439 박정훈 대령, 투명사회상·호루라기상 수상 6 가져옵니다 2023/12/10 972
1529438 꽃게탕에 들어가는 야채 10 ..... 2023/12/10 1,133
1529437 넷플 영화 노웨어 보신분 2 그냥이 2023/12/10 2,184
1529436 생밤을 냉동시켰다가 삶아먹어도 되나요 8 .... 2023/12/10 2,054
1529435 연락 끊은 부모님 빚 13 만약 2023/12/10 7,838
1529434 이런 행동을 했어요 ㅜㅜ 10 실수 2023/12/10 5,482
1529433 기공수련 해보신 분 있나요? __ 2023/12/10 424
1529432 내가 명품가방을 허영 사치품이라고 보는 이유 31 2023/12/10 8,111
1529431 대학교 장학생.. 3 신입생 2023/12/10 1,811
1529430 베란다에 있는 세탁기도 어나요 8 ㅇㅇ 2023/12/10 2,024
1529429 김건희가 사라졌네요 39 ㅇㅇ 2023/12/10 21,142
1529428 백화점에서 선물사고 현금 계산하면 5 .. 2023/12/10 2,493
1529427 코스트코 딸기 나왔던데 맛있던가요? 8 .. 2023/12/10 2,276
1529426 알타리 김치 이렇게 익혀도 되나요? 2 둥둥 2023/12/10 1,461
1529425 입시관련 말들중에 5 ㅇㅇ 2023/12/10 1,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