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육친에 대해 살펴 보았다.
정재, 편인, 편관, 식신 등등......
그렇다면 이런 이름들은
어떻게 붙여지는 것인가?
물론 만세력에 사주 입력하면
알아서 척척 다 나온다.
내 사주에 식신이 있는지,
있다면 몇 개인지,
관은 몇 개인지
다 나오지만
왕초보라도 원리는
알아야하지 않겠는가?
다시 복습하면,
(인성)정인, 편인- 엄마, 학문.
(재성)정재, 편재- 아빠, 돈. 남자한텐 부인, 여자.
(관성)정관, 편관- 직업, 여자한텐 남편, 남자/남자한텐 자식.
(식상)식신, 상관- 표현력, 여자한텐 자식.
(비겁)비견, 겁재- 형제, 친구, 동료.
오행의 생극을 복습하면
생.
목생화-화생토-토생금-금생수-수생목.
극.
목극토-토극수-수극화-화극금-금극목.
이걸 머릿속에 넣고 살펴보자.
인성은 무엇인가?
인성은 엄마다.
정인, 편인은 나를 생해주는 것이다.
엄마가 날 낳아서
챙겨주는 것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무토 일간의 엄마는 무엇일까?
토를 생하는 것은? 화생토.
화가 토를 생한다.
무토에게는 병화, 정화가 엄마가 된다.
즉 병화, 정화가 인성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같은 인성인데
무엇은 정인이고, 무엇은 편인일까?
나와 음양이 다른 것이 정인이고,
음양이 같은 것이 편인이다.
여기서 음양을 복습해보자.
갑,을- 갑은 양목. 소나무./을은 음목. 장미꽃.
병,정- 병은 양화. 태양./정은 음화. 달이나 촛불.
무,기-무는 양토. 큰 산/기는 음토. 논밭.
경,신-경은 양금. 광산/신은 음금. 보석.
임,계-임은 양수. 바다/계는 음수. 빗물. 계곡.
1탄에서 모두 암기한 내용.
이걸 다시 생각하며 대입해 보자.
무토에겐 화가 엄마다.
화가 인성인데
무엇이 정인이고 무엇이 편인인가?
음양이 같은게 편인, 다른게 정인.
무토는 양토.
병화는 양화. 병화는 편인.
정화는 음화. 정화는 정인.
그럼 무토에게 재성은?
내가 극하는게 재성이다.
토극수.
토에겐 수가 재성이다.
무토의 재성은 임수, 계수.
그렇다면 무엇이 정재고
무엇이 편재인가?
음양이 같으면 편재.
다르면 정재.
무토는 양토.
임수는 양수. 편재.
계수는 음수. 정재.
그럼 관성은 무엇일까?
나를 극하는게 관성이다.
무토를 극하는 것은?
목극토.
토의 관성은 목.
갑목, 을목이 관성.
음양이 같으면 편관.
음양이 다르면 정관.
무토는 양토니까
양목인 갑목은 편관.
음목인 을목은 정관.
식상은 무엇일까?
내가 생하는게 식상이다.
여자에겐 식상은 자식이다.
엄마가 날 낳았듯
내가 자식을 낳아 키우는 것.
내가 생해주는 것이 식상이다.
토생금. 토가 금을 생한다.
무토의 식상은 금이다.
경금, 신금.
음양이 같으면 식신.
음양이 다르면 상관.
무토는 양토.
양금인 경금이 식신.
음금인 신금이 상관.
비겁은 무엇인가? 비견, 겁재.
나와 오행이 같은것이 비겁이다.
내가 토라면 같은 토가 비겁.
내가 화라면 같은 화가 비겁이다.
무토에게는 같은 무토와 기토가 비겁이 된다.
내가 생하지도 않고
나를 생하지도 않고,
나를 극하지도 않고
내가 극하지도 않는
그저 나와 같은 오행.
그것이 비겁인 것이다.
나와 같은 자매나 친구들을 생각하면 된다.
비겁도 음양에 따라서
나와 음양이 같은게 비견,
나와 음양이 다른게 겁재가 된다.
무토는 양토.
똑같은 양토인 무토는 비견.
음토인 기토는 겁재다.
만세력에 나온 글자들이
어떤 원리로 정해지는지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이 사주를 보고 다시 복습.
임 무 병 계
자 자 진 축.
무토 일간 중심으로
임수는 재성. 토극수. 내가 극하는게 재성.
임수는 양수니까 같은 음양. 편재.
병화는 화생토. 날 생해주는 인성.
병화는 양화니까 무토와 같은 음양. 편인.
계수는 재성. 토극수. 내가 극하는 재성.
계수는 음수니까 다른 음양. 정재.
아래 지지의 글자들을 보자.
자수가 두개. 자수는 계수와 같은 음수.
양토인 무토와 음양이 다르니 정재.
진토는 양토. 무토와 같은 음양. 같은 오행인 토. 비견.
축토는 음토. 무토와 다른 음양. 같은 오행인 겁재.
이제 완성해보자.
편재. 일간. 편인. 정재
정재. 정재. 비견. 겁재.
같은 음양은 편.(편인, 편관, 편재)
다른 음양은 정(정인, 정관, 정재)
같은 음양은 식신, 비견.
다른 음양은 상관, 겁재.
요롷게 암기하자.
-----------------------------------------------------------
원국은 사주 8글자를 원국이라고 하고,
대운은 10년주기로 바뀌는 운을 말한다.
누구나 다 십년주기로 운이 바뀐다.
원국이 중요한가, 대운이 중요한가.
그건 각자 알아서 생각해보자.
사주 원국은 자동차.
대운은 그 차가 달려가는 길.
자동차에는 티코도 있고
소나타도 있으며
제네시스, 그랜저도 있고,
벤츠도 있다.
요즘 청조때문에 핫한
벤틀리와 마이바흐도 있다.
소달구지도 있다.
그러나 제일 흔한건 평범한 자동차이듯.
사주도 대부분은 거기서 거기다.
소달구지도 드물고 마이바흐도 드물다.
대운이 좋으면 고속도로를 달리는 것이고
나쁘면 비포장도로를 달리는 것이다.
최악의 대운은
산속의 꼬부랑 고개를 넘어가거나
수종사의 직각 언덕을 올라가는 것이다.
그러나 벤틀리를 타고
수종사 언덕을 오르는 것과
소달구지를 타고
올라가는 것은
차원이 다르다.
제일 좋은건 벤틀리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리는
인생일 것이나
흔하지 않다.
벤틀리를 타고 있지만
초년엔 한계령 고개를 넘으며
고생을 하기도 하고
좋은 대운을 만나
중년에 고속도로를 타며
이름을 떨치기도 한다.
티코를 타고
평생 고속도로를 달리는
인생도 있다.
그 또한 좋은 인생일 것이다.
대운은 어떻게 보는가?
만세력 사주표 바로 아래
대운이 나온다.
대운이 적용되는 연도와 나이가 나오고
대운 글자가 나올 것이다.
오른쪽부터 읽어서
3세, 13세, 23, 33, 43......
이렇게 나온다면
이 사람은
나이에 3자가
들어갈 때마다
새로운 대운이 오는 것이다.
그 아래 글자를 보자.
53세. 아래 정사.라는 글자가 있다면
본인이 56세라면 지금
정사대운을 지나는 것이다.
정사는 위 아래 모두 화.
정화, 사화.
화 대운이다.
화가 도움이 된다면 좋을 것이고
나쁘다면 나쁜 대운일 것이다.
대운엔 계절이 있다.
계절은 지지로 본다.
인묘진- 봄.ㅡ 목
사오미-여름 ㅡ화
신유술-가을.ㅡ금
해자축-겨울.ㅡ수
계절엔 오행이 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목. 화. 금. 수.
왜 인묘진은 봄일까?
인묘진 월이 실제 계절상 봄이니까.ㅎ
봄은 신록의 계절.
나무의 계절이다.
그럼 왜 인묘진은 왜 목인가?
인묘가 목이니까.
진토가 있는데?
진은 토인데?
진토는 봄날의 기름진 흙.
인묘진 그룹의 일원으로 토지만
목기운도 좀 가지고 있다.
사오미는 여름. 화.
여름은 뜨거운 화의 계절.
사오는 화니까 화.
그럼 미토는?
미토는 한여름의 토.
뜨겁고 마른 화기를 지닌 흙이다.
신유술은 가을. 금.
신유는 금. 술토도 가을의 토다.
해자축은 겨울. 수.
겨울은 추운 수의 계절이다.
해자는 수.
축토는?
토지만 얼어붙은 흙.
수기운이 있는
겨울의 대지다.
모든계절에 토가 하나씩 섞여있지만
인묘진.사오미로 대운이 흐르면
목.화 대운으로 흘러간다고 이야기한다.
자세히 따지면 인대운과 진대운은 다르겠지만
큰 테두리안에서는 봄에서여름으로.
목화대운을 지난다고 말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만세력 대운표를 보자.
오른쪽부터 읽어서
인묘진. 사오미로 흐른다면
목화기운. 봄. 여름으로 가는 것.
신유술, 해자축으로 가면
겨울로 가는 것이다.
대운이 역행해
술유신. 미오사로 흐른다면
가을에서 여름으로 가는 것이다.
목화 용희신(좋은것)인 사람의 대운이
인묘진사오미로 간다면
60년간 고속도로를 달리는것이다.
천간도 갑을병정으로
목화로 흘러가면 더 좋은것.
같은 계절이라도
대운 천간이
무엇인가에 따라 다르다.
사오미 여름의
오 대운을 지나도
임오대운과 병오대운은
또 다를 것이다.
수가 기신(나쁜것)인
신약한 정화,병화 일간에게
자수 대운은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임자대운과
갑자, 병자대운은 좀 다르다.
임자대운에 폭풍이 몰아친다면
갑자,병자는 그 정도는 아닐것이다.
왕초보 반이니
일단 만세력으로 대운을 찾아보고
내가 지금 무슨 대운을 지나고 있는지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