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값예측, 오랜만에 써 봅니다~

집값예측 조회수 : 7,277
작성일 : 2023-10-22 12:18:32

우선 지난 4월에 쓴 예측이 조금 빗나갔어요.

 당시 정부가 둔촌발 급한불 끄기 위해서 규제 풀고 대출 권했지만 올해 입주물량과 금리상승추이로 더 강한 반등은 어렵다고 봤어요.

치명적인 헛점은 기준금리를 이렇게나 오래 동결해서 

미국보다 오히려 2프로나 낮게 쭉 유지 되도록 할거란 예상을 전혀 못했어요. 이건 저뿐 아니라 아무도 예상 못하셨을거에요. 즉  통상대로라면 최소 6프로는 되어야 하는 대출이자가 4프로대로 쭉 유지되고 있는 거에요.

어쨋든 현재상황에서 다시 예측글을 써봅니다.

우선 집을 사는 구매자는 세 종류에요.

1. 1주택자들의  갈아타기 :하급지 - 중급지 -상급지로 

2.  무주택자들의 첫 내집마련(영끌. 특히 30대): 하급지 매수 또는 청약

3. 유주택자들의 투자목적 매수

1월 대책은 1.2에(특히 1번) 맞췄었고 실제로 이들이 대거 참여해서 이뤄진 거래들이었습니다.

통상 집값상승은 1번들이 먼저 시작해서 하-중-상급지 거래량이 늘고 매매가 활발해지면 3번들이 슬슬 매수가담. 마지막으로는  2번들이 대거( 청약대신) 하급지를 영끌하면서 

안정적인 상승사이클에 들어가게 됩니다.

하지만 현재는 1번들이 움직인건 맞고 가격도 올라갔는데 거래량이 적어요. 거래량이 적다는건 기존 중하급지 집이 잘 팔리지 않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아니다 다를까 2번의 움직임이 잘 없어요. 즉 2번들이 영끌을 해서 1번들의 기존 중하급지를 사줘야 하는데 2번들의 영끌이 예전 폭등기에 비하면 아주 적어요. 

이걸 지금 양극화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만 제가 보기엔

지금 4프로대 대출금리가 하급지를 영끌할만한 30대들의 체력에 버거운것 같아요.

여기에 눈여겨 볼만한건 3번들이 계속해서 몸을 사리는듯 해요.

3번들의 참여시장인 아파트외 건물 상가 토지 등도 거래가 없죠.  예금액은 사상최대라는데요.  

금리 붙잡아주던 정책에 의지해  거래되던 시장이 기준금리와 무관하게 대출금리가 오를수 있다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2번은 더욱 움추릴것 같고 3번은 계속해서 참여를 안 할것 같아요. 즉 더이상 기준금리 동결을 부동산에 호재로 보지 않고 악재로 보는 (특히 부채 최대.  oecd1위) 분위기가 퍼지는 중인듯 하여 가계부채 국가부채 기업부채 자영업 부채 연일 최고라는 기사들에서 부채들이 좀 줄어가는다는 신호성 기사가 나올때까지는 공격적인 매수는 이젠 점점 안 할것 같아요.

개인적인 의견이니 참고만 하십시요~

 

 

IP : 223.38.xxx.8
3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링크
    '23.10.22 12:18 PM (223.38.xxx.192)

    https://naver.me/x1gsB04i

  • 2. 음...
    '23.10.22 12:30 PM (112.153.xxx.207)

    저희 같이 대출낀 집 한채가 전재산일 경우
    저는 변두리로 나가서 대출 갚고 살자
    남편은 이게 기회다 조금 무리해서라도 상급지 가자, 올초에 갈아탔으면 이윤이 얼마겠냐.(원래 올초부터 갈아타자했어요) 아직 늦지 않았다 로 올해가 넘어가네요ㅠㅠ

    뭐가 좋을지요. 어려워요.

  • 3. 1번
    '23.10.22 12:33 PM (211.206.xxx.191)

    중급지에서 중상급지로 갈아 타려는데
    1년이 다되도록 팔리지가 않아요.
    얼마전 두 세팀이 보러 왔으면 감감 소식.

  • 4. 골드
    '23.10.22 12:38 PM (211.36.xxx.160) - 삭제된댓글

    그래서 앞으로 집값이 오를까요 내릴까요

  • 5. 결론만
    '23.10.22 12:42 PM (223.38.xxx.103)

    말씀드리자면 미국이 저렇게 계속해서 긴축의지를 보인다면 여기서 더 오르긴 어려워 보입니다.

  • 6. 저는
    '23.10.22 12:44 PM (211.212.xxx.141)

    1번인데 해도 될까요?
    완전 상급지로 가려는 거는 아니고 같은 동네인데
    같은 동네에서도 더 좋은 입지가 있잖아요.
    같은 동네지만 더 위치좋고 평수넓은 곳
    그런 곳으로 옮기려는건데 대출받아야해요.

  • 7. 같은의견
    '23.10.22 12:45 PM (125.177.xxx.70)

    3번인데 최소 20년이전 가격은 되어야 들어갈거에요
    대신 상가 토지등 내물건도 싼가격에는 내놓지않고 버티기 들어갔으니
    급매 아니면 거래는 줄겠죠
    근데 인건비 원자재 토지가격 상승으로
    새아파트나 새건물 분양가격 자체가 비싸요 ㅎㅎ
    요지의 기존아파트나 건물 가격은 유지될거라고봐요

  • 8. 감사합니다.
    '23.10.22 12:46 PM (59.6.xxx.211)

    제 경우는 3번에 해당되는데요,
    투자용 부동산을 사고 싶어도 더 올라서 이윤을 남길만한
    메리트 있는 부동산이 안 보여요.
    아파트는 너무 올라서 투자 가치는 제로에요.
    오히려 지금 잘못 사면 손해죠.

    강남 아니라 강남의 노른자 아파트도 지금은 살 때가 아닌 거 같아요.
    비싸도 너무 비싸요

  • 9. 지방
    '23.10.22 1:02 PM (221.152.xxx.108)

    혹시 부산 같은 지방 대도시는 어떻게 예측하시는지 알수 있을까요?

  • 10.
    '23.10.22 1:10 PM (39.125.xxx.34) - 삭제된댓글

    집값은 정기적으로 우상향
    그 안의 사이클이 오락가락하는데
    한은은 금리인상 안하고 외화 풀어 환율 막고 있음
    금리인상하면 가계 기업 부채 터짐(이미 균열 중임)
    그리고 경기 침체됨 그러나 금리 인상은 시간문제임
    정부는 두가지 방법을 준비함 국토부가 3기 신도시 준비하고 있음(추석전 발표) 경기 부양 시그널 줌
    하나는 수출 확대임 지금 윤이 예산 헐어가며 해외 다니고 있음 외화 공급이 절실한 상황임. 앞서 한은이 외화 풀고 있는거 다시 채워야함 또 수출물량 늘면 내수경기도 부양됨
    그럼 금리 인상은 언제쯤? 국토부가 추석전에 발표했음 내년 설은 2월임 미국입장이 바뀌지 않으면 연말연초 인상 예상됨 금리
    인상되면 부동산부터 가라앉음 하지만 서울 보유자들은 맷집 있음 버틸것임 거래물량 없는 상태로 2년은 버팀 그 사이 경기 부양 성공하면 반등함 안정세로 갈것임

  • 11. 룬이 집값 떠받침
    '23.10.22 1:17 PM (114.204.xxx.83) - 삭제된댓글

    급락하던 아파트값 결국 ‘가계 부채’로 막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256234?sid=101
    가계부채 비율 증가폭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미국을 연상케 한다

    가계부채가 늘수록 소비지출이 감소해 결국은 장기 불황을 가져온다는 게 책의 결론이다.
    같은 이유로 ‘가계부채에 의존한 성장’ 역시 매우 위험하다고 그는 짚었다.

  • 12. 감사
    '23.10.22 1:19 PM (125.132.xxx.86)

    집값예측 ..저장합니다

  • 13. ㅇㅇㅇ
    '23.10.22 1:27 PM (220.85.xxx.236)

    완전 전문가시네요
    저는 뭔가 막연하고 파악이 어려웠었는데
    시장 상황을 깔끔하게 잘 정리해주신거 같아요
    정말 감사드리고 종종 의견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 14. 룬정권
    '23.10.22 1:33 PM (114.204.xxx.83) - 삭제된댓글

    23년 현재 대한민국 가계 상황 (전년 동기 대비)
    https://theqoo.net/square/2966234569
    가계 이자 지출 증가율
    2022년 2분기 - 7.1%
    2022년 3분기 - 19.9%
    2022년 4분기 - 28.9%
    2023년 1분기 - 42.8%
    2023년 2분기 - 42.4%

    결국 룬정권이 집값 미친듯이 떠받들고 있는중.

  • 15. 저는
    '23.10.22 1:36 PM (115.41.xxx.53)

    집값 안 오르는건 당연하고 미세하게 조금씩 내릴것 같아요.
    몇달새 외식 거의 안하고 있는데 대출 있는 집은 더하겠죠. 생활비 여유가 없어요.

  • 16. ...
    '23.10.22 1:41 PM (119.197.xxx.1) - 삭제된댓글

    전 2번인데 하급지 가격도 좀 비싸다고 생각되어서 현금구매 가능하지만 못 사고 있어요ㅠ

  • 17. ..
    '23.10.22 1:52 PM (115.138.xxx.248) - 삭제된댓글

    내년 하반기 상황보고 매수할려구요. 집 팔고 현재 계획적 무주택 상태입니다.

  • 18. 원글님..
    '23.10.22 1:55 PM (115.138.xxx.248) - 삭제된댓글

    지난 4월에 고금리예상해서 집값 폭락 예측했고 지금 바뀐 전망은 현재 오른 가격 상태로 그대로 보합일거란 뷰인건가요?

  • 19. 원글님..
    '23.10.22 1:58 PM (115.138.xxx.248) - 삭제된댓글

    지난 4월에 고금리예상해서 집값 폭락 예측했었는데지금 바뀐 전망은 현재 오른 가격 상태로 그대로 보합일거란 뷰인건가요? 더 이상 하락도 상승도 없이 21년 전고점대비 90%까지 오른 이 가격으로 보합이란 건지요? 가끔 급매 나오지만 가격 하락으로 가진 않을거란말씀?

  • 20.
    '23.10.22 2:00 PM (122.37.xxx.67) - 삭제된댓글

    저도 3번이고 현금들고 계속 분석중인데
    2018-2019년 가격대까지 가면 움직일거에요
    그동안 더 열심히 모을겁니다

  • 21. .....
    '23.10.22 2:09 PM (223.38.xxx.53)

    9월부터 미국채 10년물 수익률이 5%에 임박해서 고금리 장기화 움직임을 보이면서 주식시장도 떨어지고, 대출금리도 오르는 모습이에요. 올초에는 조금 견디면 미국 금리가 다시 내려갈테니 조금만 견디자는 분위기였는데 이제는 미국 고금리는 앞으로 상당히 오래갈 것이다라는 분위기에요. 그러면 한국은 환율쪽에서 불안하니까 금리를 올리지 않을까 싶어요. 내외금리차 역전을 이렇게 오래 두어도 되나 모르겠어요.

  • 22. 부동산
    '23.10.22 2:11 PM (119.71.xxx.177)

    한번정도는 충격올듯한대요
    이제 은퇴자들 많아지면 집값을 떠앉는
    인구가 낮아질것같아요
    앞으로 미국도 저금리는 오지않을거라고 예측하던데
    미국이 금리인하 안하면 우리도 못해요
    거기에다가 우리기업이 지금 적자상태인데
    어디서 돈이 나서 부동산이 오를까요?
    삼일전 청담동오피스텔 만기연장안해줘서 디폴트나겠단
    뉴스나왔잖아요 새마을금고에서 못해준다고해서 지금
    나머지 투자한 3순위는 돈 다 떼먹게 됐다네요
    이러면 재건축도 쉽지않죠
    압구정 재건축기대로 50억 막 이러는데
    순수집값빼고도 부담금이 어마하다네요
    모르는분들 덥썩 잡았다간 낭패죠
    이게 순순히 진척될까요?
    공사비오르고 얼척없이 오른 거품아파트 한번은
    푹 꺼질겁니다 노도강 지금 40퍼 빠졌어요

  • 23.
    '23.10.22 2:21 PM (39.117.xxx.171)

    제가 며칠전 원글님 글 기다린다고 썼는데
    글 잘봤습니다 감사해요!^^

  • 24. 내년에
    '23.10.22 2:40 PM (115.41.xxx.53)

    아파트가격이 힘이 없을것 같아요.
    세종도 시장강도가 떨어지고 있고 연말되면 가격 떨어지지 시작할것 같고 전국적으로 10월부터 거래량이 작네요.
    정부가 대출 풀면 결국은 소비여력이 없어 그것도 못할것 같고 아파트가격이 오르지않을것 같으면 실거래목적이든 투자자든 달려들지 않죠.

  • 25. 부산은
    '23.10.22 2:47 PM (223.39.xxx.226)

    25년이후 신규 입주 물량이
    거의 없어서 폭락은 안될거라던데
    알수가 없죠

  • 26. 자문
    '23.10.22 3:50 PM (59.8.xxx.114)

    부동산은 82 거르세요

  • 27. ㅎㅎ
    '23.10.22 3:59 PM (14.36.xxx.107) - 삭제된댓글

    (오늘기사)거래 안 되고 매물 쌓여…“매도자들 호가 내릴 수밖에

    서울 매물 싸임 최고치

  • 28. ㅎㅎ
    '23.10.22 4:03 PM (14.36.xxx.107) - 삭제된댓글

    오늘기사)거래 안 되고 매물 쌓여…“매도자들 호가 내릴 수밖에

    서울 매물 최고치

  • 29. ㅎㅎ
    '23.10.22 4:03 PM (14.36.xxx.107) - 삭제된댓글

    오늘기사)거래 안 되고 매물 쌓여…“매도자들 호가 내릴 수밖에

    서울 매물 빠르게 쌓여

  • 30. 궁금
    '23.10.22 4:07 PM (106.73.xxx.193)

    올해 입주물량 많아서 역전세로 집값도 하락한다는 의견 많았는데 전세가가 오히려 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 31. 윗님
    '23.10.22 4:41 PM (223.38.xxx.38)

    금리때문이에요. 금리가 낮아진 상태로 유지시켜주니까 전세대출 금리도 낮아지고 무엇보다도 집값하락이 멈췄기 때문에 전세금 떼일 공포(역전세)가 줄어든 거예요. 그런데 우리나라만 이렇게 금리동결로 쭉 가는 게 더 이상 먹히지 않는것 같아요. 경제가 버틸만해서 금리를 동결한 게 아니라, 금리를 동결하지 않으면 경제가 무너질 만큼 안 좋다고 받아들이는 것 같습니다.

  • 32. ..
    '23.10.22 7:57 PM (121.134.xxx.22)

    집값예측 저장해요

  • 33. 음음음
    '23.10.22 9:36 PM (223.39.xxx.26)

    윗님 역전세 맞아요. 2년전 2021년 전세값이 높아서 2023년에 돈 못돌려주는 주인들 많아요. 전세값은 매달 조금씩 오르고 있지만 전세만기되는 분들은 돈 돌려받기 어려운 상황이에요.

  • 34. ...
    '23.10.23 7:55 AM (115.143.xxx.196)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31829 다래끼도 아닌데 눈주변 염증, 피부과 vs 안과 4 어디가요? 2023/11/15 1,052
1531828 쿠쿠밥솥 바닥에 누룽지가 생겨요 5 뎁.. 2023/11/15 1,624
1531827 김장 1통 얼마드리면 될까요? 33 ... 2023/11/15 6,112
1531826 자기만의 시간을 가져야 하는 분들 결혼생활 어떤가요? 13 음.. 2023/11/15 3,001
1531825 손안대고 신고 벗을수 있는 부츠 있을까요? 5 질문 2023/11/15 1,082
1531824 친구 웃겨주고 오는 길입니다. 16 ... 2023/11/15 5,567
1531823 김진태 똥 25조 세금보전 곧 시작될듯요 3 부동산pf 2023/11/15 1,315
1531822 미국가족여행 패키지도 좋을까요?(초,중등) 17 해피 2023/11/15 2,327
1531821 중기유산 후 계류유산 했어요. 저에게도 다시 기회가 올까요. .. 13 보더콜리 2023/11/15 2,765
1531820 화병인가봐요- 겨우 머그컵 하나 깨뜨린 건데 16 2023/11/15 4,375
1531819 남자들은 왜 그럴까요, ? 담배 13 지구별 2023/11/15 2,360
1531818 온열매트 고민 3 혹시 2023/11/15 781
1531817 거실 암막 커튼에 차르르 시폰 조합 어떠세요? 암막 답달할까요?.. 8 ........ 2023/11/15 1,042
1531816 47평 오래된 집과 32평 39 2023/11/15 7,727
1531815 한쪽 코만 냄새가 안 나요 4 2023/11/15 716
1531814 미니 블랜더 믹서기인데요, 끝자리 스펠링만 아는데 브랜드가 궁금.. 2 알고싶다 8.. 2023/11/15 695
1531813 욕실 난방기 써보신 것 중 추천할만한 거 있으신가요 8 ... 2023/11/15 1,079
1531812 욕실에 휴젠뜨 설치하신 분 어때요? 4 휴젠뜨 2023/11/15 1,525
1531811 아파트보험 해당 안되나요? 6 이럴때 2023/11/15 412
1531810 최고의 가구는 크은~ 집이네요. 7 2023/11/15 3,287
1531809 남 옷차림에 왜 이리 말이 많은지? 6 ddd 2023/11/15 2,252
1531808 이사 할 때 3 블루커피 2023/11/15 666
1531807 코로나 열 얼마나 가던가요 2 .. 2023/11/15 603
1531806 일년이 다 되어가는 두드러기, 결국 스테로이드 처방 9 으악 2023/11/15 1,629
1531805 아이가 독감인데 제가 안 옮는 방법은 없겠죠? 14 ... 2023/11/15 2,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