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입주 사전 점검ㅡ 시간 얼마나 걸리셨어요?

내집 조회수 : 786
작성일 : 2023-10-18 12:03:09

부부 둘만 가능합니다 
30평대인데, 3시간 더 걸리겠지요?
4시까지라고 되어 있는데, 보통 얼마나 더 머물 수 있는지ᆢ 현장마다 분위기가 다르겠지만, 제가 이런 일이 처음이라ᆢ 
QR코드 찍고 입장한다 하니 이튿날 한번 더 보자 하는 것도 안되겠지요? ㅠㅠ

IP : 182.212.xxx.17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3.10.18 12:18 PM (223.38.xxx.67)

    하루만 하는거 아닐텐데요?

  • 2. ..
    '23.10.18 12:20 PM (59.18.xxx.33)

    꼼꼼히 보려면 2-3시간 걸리는데요.
    처음에는 꼼꼼히 하다 지쳐서 나중에는 좀 대충보게 되더라구요.
    저희도 2시간 줬는데 3명이서 2시간에 끝내고 나왔어요.
    혹시 실거주시면 살면서 하자보수 받으셔도 되니 적당히 보셔도 되고 아니면 사전점검 업체나 입주청소시 부탁하세요.

  • 3. ...
    '23.10.18 12:22 PM (180.69.xxx.82)

    점검기간동안은 계속가도 되는거 아니에요?
    저흰 이틀연속 갔었고
    마감 시간까지 하고 나간거같아요
    꼼꼼하게 하려면 오래 걸려요. 은근 힘들던데요
    캠핑용 의자 가져가시는 분들도 많더라구요
    먼지가 많으니 가방둘 돗자리같은거 챙기시고
    네이버 검색해서 체크리스트 등등 보세요
    가져갈 준비물 챙기시구요

  • 4. 매니저
    '23.10.18 12:26 PM (58.231.xxx.175)

    4시 조금 넘어서 매니저들이 세대 문단속하러 올라가요. 그때 문단속 잘하고 나간다고 말씀하시고
    4시반에서~5시 전까지만 나가면 될거에요.
    재방문은 보통 불가라고 하는데, 마지막날 가서 세대에 뭐 놓고 나온거 같아서 확인차 왔다라고 하면 문열어줘요. 그리고 하자 신청은 입주시 즈음해서 임시방문 기간 또 주기때문에 그때도 가능해요.
    입주자사전점검때 다 해야한다고 생각하지 않으셔도 충분한 시간이 있어요.
    입주해서도 신규 입주아파트들은 생활하자를 제외하곤 대부분 하자 받아서 할 수 있어요.
    입주 후 수리가 번거롭긴 하겠지만,
    집주인 있을 때 작업자들이 하자수리 더 꼼꼼하게 하더라고요.
    저...매니저로 일 많이 해봤어서리~. ^^;;

  • 5. 모모
    '23.10.18 12:51 PM (58.127.xxx.13)

    입주해서도
    하자 신청계속 받아요
    저희는
    다용도실에
    물이 잘안내려가고 고여있어서
    타일 한장깨고 고배를 맞춰줬어요
    그리고 바닥 찍힘있어서
    깜쪽같이 땜방했구요
    다른 하자는 없었어요
    모두다 입주하고 발견한거라
    입주하고 수리했어요

  • 6. 한두시간
    '23.10.18 1:01 PM (39.113.xxx.77)

    걸리고 어차피 살면서 다 해결되니 입주하실거면 크게 걱정하지마세요.
    가셔서 눈에 딱 보이는 큰것만하시고.

  • 7. 신축
    '23.10.18 2:12 PM (175.116.xxx.138)

    입주하실거면 큰문제만 이야기하시고
    세놓을거면 엄청 꼼꼼하게 봐야합니다
    하자가 별로 없으면 30분안에 끝나고
    하자가 많으면 3시간 넘게해도 안끝나죠

  • 8. 원글
    '23.10.18 2:28 PM (182.212.xxx.17)

    소중한 경험 공유 감사드립니다
    입주할 생각인데, 지금 사는 집이 빠지질 않아서 전세의 가능성도 10프로는 있는 상태라ᆢ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

  • 9. ...
    '23.10.18 6:47 PM (220.85.xxx.241) - 삭제된댓글

    사전점검에 꼼꼼하게 본다해도 살다보면 또 발견되요.
    두 번째 살았던 전세집이 하자가 정말 끔찍하게 많았던 재건축아파트였는데 그때 입주하며 하자보수받은 경험으로 1년차 빈집으로 있던 새아파트 매수해서 들어가며 결로있는지를 0순위로 확인하고 소소한 하자보수 신청했어요.
    화장실 부엌 베란다 타일과 마루는 하자보수 할 때 먼지가 많이 나니 꼼꼼히 살펴보세요. 화장실 벽 두들겼을 때 텅텅소리나면 안에 시멘트 덜 바른 불량이에요. 화장실과 베란다 바닥에 물뿌렸을 때 잘 내려가는 지도 보세요. 저흰 베란다 구배가 맞지않아 하수구로 물이 안빠지고 물웅덩이처럼 고여서 타일부시는 건 더 큰 하자를 부를지모르니 덧방했어요. 마루는 3년차까지 하자보수 된다고 했는데 먼지가 먼지가 장난아니고 색깔도 미묘하게 달라요.

  • 10. ...
    '23.10.18 6:50 PM (220.85.xxx.241)

    사전점검에 꼼꼼하게 본다해도 살다보면 또 발견되요.
    두 번째 살았던 전세집이 하자가 정말 끔찍하게 많았던 재건축아파트였는데 그때 입주하며 하자보수받은 경험으로 1년차 빈집으로 있던 새아파트 매수해서 들어가며 결로있는지를 0순위로 확인하고 소소한 하자보수 신청했어요.
    화장실 부엌 베란다 타일과 마루는 하자보수 할 때 먼지가 많이 나니 꼼꼼히 살펴보세요. 화장실 벽 두들겼을 때 텅텅소리나면 안에 시멘트 덜 바른 불량이에요. 화장실과 베란다 바닥에 물뿌렸을 때 잘 내려가는 지도 보세요. 저흰 베란다 구배가 맞지않아 하수구로 물이 안빠지고 물웅덩이처럼 고여서 타일부시는 건 더 큰 하자를 부를지모르니 덧방했어요. 마루는 3년차까지 하자보수 된다고 했는데 먼지가 먼지가 장난아니고 색깔도 미묘하게 달라요.
    젤 좋은 건 큰 하자없는 집이에요. 입주 축하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30735 빈대에 대해 아시는 분? 5 .. 2023/11/11 2,038
1530734 진미채 냉동실 보관하면 딱딱해지지않나요? 2 2023/11/11 994
1530733 한국회사가 유독 외국회사들에 비해 혼밥에 신경 많이 쓰는 이유가.. 23 aa 2023/11/11 3,913
1530732 노태우 아들 사돈기업은 망했어요. 12 ㅇㅇ 2023/11/11 9,271
1530731 못사는 동네 사람들이 비만이 많은 이유가 뭔가요? 39 ... 2023/11/11 7,085
1530730 일본 녹차 재배지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슘이 검출 22 조심하시길 2023/11/11 2,013
1530729 콩나물국밥을 완전 맛있게 해 먹었어요 ㅎㅎ 10 마법가루 2023/11/11 4,207
1530728 얼굴상처로 입원까지 했는데 9 아이 2023/11/11 2,086
1530727 휘발유 묻은코트 ㅜ 2 됐다야 2023/11/11 573
1530726 김치통이겹쳐져있어요 5 김치통 2023/11/11 1,006
1530725 월경주기관련 영양제나 음식이 중요한듯요 2 ㅇㅇ 2023/11/11 1,106
1530724 광화문 루이 짬뽕 최악이네요 4 ㅇㅇ 2023/11/11 2,630
1530723 사투리~우두바라~? 어원이 뭘까요? 9 경사도서 2023/11/11 665
1530722 고관절 아픈 임산부 15 문의 2023/11/11 1,726
1530721 황당한 마음을 어쩌죠.. 20 HumanB.. 2023/11/11 6,704
1530720 최태원의 상간녀가 좀 더 똑똑했다면 51 .. 2023/11/11 31,486
1530719 오렌지? 과일 2023/11/11 429
1530718 허풍선이와 징징이 7 노년 2023/11/11 928
1530717 옥천hub 3 택배 2023/11/11 1,410
1530716 내일 먹을 생크림케익 2 생크림케익 2023/11/11 1,399
1530715 지난 20년간 돈번사람들은..... 8 123 2023/11/11 4,635
1530714 복층 아파트 계단으로 그랜드피아노 들어갈 수있나요 8 ㅏㄷ 2023/11/11 1,444
1530713 헬프미) 가구를 들여 올려야 되거든요 5 2023/11/11 735
1530712 걷기 코스 어디로 다니세요 10 ㅡㅡ 2023/11/11 1,795
1530711 만약 법무장관이 아닌 총선출마를 했더라면 13 지난 2023/11/11 1,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