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경영학과와 경제학과의 차이래요

ㅇㅇ 조회수 : 18,198
작성일 : 2023-08-01 21:29:15

썰플리 유튜브에서 서강대 경제학과 22학번 학생이

한 얘기입니다.

경영학은 피자 한 판에서 내가 어떻게 하면

제일 많이 가져올 수 있나 연구하는 학문이고

경제학은 피자 한 판을 어떻게 하면 제일 균등하게

나눌 수 있는지 연구하는 학문이래요.

그럴 듯 하지 않나요?

 

천재유교수의 생활이라는 만화가 있는데요

유교수는 경제학 교수로 나오는데

 경제학은 인간을 관찰하는 학문이라는 말을 자주 해요

 

어떤 과를 가야할지 잘 모를 때는

 베이스의 학문을 선택하라고 조언한 사람이 있었는데

경제학이 그 중의 하나라고.

 

제가 생각하기에

정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학문 중 하나가

경제학인 것 같아요.

 

이상 뜬금 없는 이야기였습니다

뭐 자게니까..  ㅎㅎ

IP : 175.207.xxx.116
5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3.8.1 9:32 PM (88.64.xxx.16)

    재밌어요.
    자게에 이런 내용 좋아요.

  • 2. ㅇㅇ
    '23.8.1 9:32 PM (61.101.xxx.67)

    문과속 이과가 경제학과라네요.. 또다른 해석으로 경영학과는 돈을 잘버는 법, 경제학과는 돈을 잘 쓰는 법을 가르친다고..ㅋ

  • 3. ...
    '23.8.1 9:33 PM (220.122.xxx.137)

    경제학은 거시적, 범위가 국가,세계까지 다루지만
    경영학은 경제학 보다 일부분만 다룬다고
    예전 경제학개론, 경영학개론에서 배웠어요.

  • 4. .....
    '23.8.1 9:34 PM (211.221.xxx.167)

    천재 유교수의 생활 제가 정말 좋아하던 만화책이었는데
    그때 좋아하던 만화책들 비려보지만 말고
    소장할껄 그랬어요.

  • 5. ....
    '23.8.1 9:36 PM (221.154.xxx.180)

    15년 전 경제학과 나온 선남이 경영학과와 경제학과는 아예 다르다고 설명해준 기억이 나네요.

  • 6. ㅇㅇ
    '23.8.1 9:37 PM (211.36.xxx.61)

    요새는 둘다 백수..

  • 7. 좋아해요
    '23.8.1 9:37 PM (122.34.xxx.13)

    천재유교수 e북으로 있습니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30898149

  • 8.
    '23.8.1 9:38 PM (118.235.xxx.65)

    경영 경제학과가 무슨 백수예요????
    님은 얼마나 대단한 일 하길래요?

  • 9. ㅇㅇ
    '23.8.1 9:46 PM (175.207.xxx.116)

    학과별로 자주 듣는 질문이래요

    심리학과야 나 무슨 생각하게?
    정외과야 너는 정치 성향이 어떻게 되니?
    기계공학과 여학생이 자주 듣는 말 남자 좀 소개시켜줘
    경제학과야 종목 추천 좀..
    물리학과가 자주 듣는 질문,
    창문에 서리는 왜 끼는 거야? 라면의 끓는 점은?
    화학과는 술 만들 수 있어? 마약 만들 수 있어?
    국문과는 슬퍼요. 뭐 해 먹고 살 거야..

    sg워너비 팬이 가장 많은 대학교 학생들에게
    물어본 거였습니다~~^^

  • 10. ㅇㅇ
    '23.8.1 9:48 PM (175.207.xxx.116)

    천재 유교수 아는 분 계셔서 넘 반가워요^^
    저도 버린 거 후회해요

    또 좋아하는 만화는 마스터 키튼이요

  • 11. ....
    '23.8.1 9:54 PM (1.225.xxx.115)

    경영은 어떻게 이익을 남기는가
    경제는 경영의 흐름을 읽게 하는 것

  • 12. ㅇㅇㅇ
    '23.8.1 10:09 PM (120.142.xxx.18)

    이과인지 문과인지 모를 때, 자기가 딱히 어느 과가 맞는지 모를때 가는 과가 경영학과란 얘기도 있던데요?

  • 13. ㄴㄴ
    '23.8.1 10:12 PM (211.36.xxx.43)

    앞에 단어 하나만 붙이면 이해 됩니다
    경영학은 기업경영에 대해 배우고요
    경제학은 국가경제, 국민경제에 대해 배워요

  • 14. ㅇㅇ
    '23.8.1 10:17 PM (175.207.xxx.116)

    경영학은 business administration
    public 이 붙으면 행정학
    public administration

  • 15.
    '23.8.1 10:21 PM (122.36.xxx.160)

    이해됐어요.재밌네요.
    경제학과와 경영학과의 차이~^^

  • 16. 무슨
    '23.8.1 10:23 PM (117.111.xxx.130)

    둘 다 백수래
    바보예요?
    님은 직업이 뭐죠?

  • 17. ㅇㅇ
    '23.8.1 10:39 PM (121.134.xxx.208)

    경제학내에 형평성에 관한 것은 매우 일부분이에요.

    그보다는 효율, 효용을 가장 많이 따지죠.

    오히려 피자한판을 어떻게 나누어 먹어야 나눠먹은 모든이의 배부름의 합이 가장 커지느냐를 따지는 학문이죠.
    누구는 배가 작아 반조각만 먹어도 배부를수 있고, 누구는 두조각 먹어야 배부를 수 있는데 그런 만족감의 합이 최대가 되는 지점을 찾는 학문이 경제학입니다.

    균등하게 나눠먹는게 아니라 오히려 불균등하게 나눠먹을지라도 모두의 만족감의 합의 최대치를 달성하려는 학문임

  • 18. ㅇㅇ
    '23.8.1 10:58 PM (121.134.xxx.208)

    경영학은 피자 한 판에서 내가 어떻게 하면

    제일 많이 가져올 수 있나 연구하는 학문이고

    경제학은 피자 한 판을 어떻게 하면 더 크게 만들수 있는지 연구하는 학문

    ----

    오히려 이게 맞겠네요.

  • 19. 경영학과 경제학
    '23.8.1 11:02 PM (211.201.xxx.106)

    이 글도 댓글도 넘 좋아요.

  • 20.
    '23.8.1 11:06 PM (14.38.xxx.186)

    경영학은 피자 한 판에서 내가 어떻게 하면

    제일 많이 가져올 수 있나 연구하는 학문이고

    경제학은 피자 한 판을 어떻게 하면 더 크게 만들수 있는지 연구하는 학문

    ----

  • 21. ...
    '23.8.1 11:29 PM (221.146.xxx.22) - 삭제된댓글

    맞네요 본문보다 윗댓글 말이 더 맞아요
    최재천 교수 장하준 교수 나오는 유투브 한번 보세요

  • 22. ...
    '23.8.1 11:43 PM (61.79.xxx.23)

    전공이 경제학인데
    맨 수학만 했던 기억이
    경제수학. 계량경제 .통계학 ㅠㅠ

  • 23.
    '23.8.2 12:12 AM (61.84.xxx.183)

    경영학과와 경제학과의 차이 채밌네요

  • 24.
    '23.8.2 1:22 AM (61.253.xxx.84)

    피자 한 판을 어떻게 하면 제일 균등하게 나눌 수 있는지 연구하는 경제학은 마르크시즘
    피자한판을 어떻게 나누어 먹어야 나눠먹은 모든이의 배부름의 합이 가장 커지느냐를 따지는 경제학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다루는 공리주의
    피자 한 판을 어떻게 하면 더 크게 만들수 있는지 연구하는 경제학은 고전학파쯤 되겠네요

  • 25. ㅇㅇ
    '23.8.2 7:26 AM (175.207.xxx.116)

    82의 이런 점이 저는 너무 좋아요.
    대학 신입생 정도의 원글에
    전공자 졸업생, 현재도 연구 중이신 것 같은 분들의
    답글이 달려서 행복합니다

  • 26. 천재
    '23.8.2 8:46 AM (112.164.xxx.67) - 삭제된댓글

    천재유교수 좋아해서 저 35권이던가 전권 소장하고 있어요
    지금도 잇어요, 사세요
    가끔 생각해요
    유교수가 길을 걷다가 미묘하게 변하는 집을 보면서 걱정하는거,
    저도 거리를 관찰을해요
    그런 자잘한거에 신경을 쓰고 다들 걱정해주고,
    사는 방식이 괜찮다 싶어요,
    제가 아들에게 경제학을 공부하라고 햇더니 머리아퍼 하면서 사범대갔어요
    수학을 제일 잘하던 문과생이었거든요

  • 27. ㅇㅇ
    '23.8.2 9:41 AM (116.121.xxx.129)

    우리의 존재는 우주에서 정말 티끌만한데
    우리의 꿈은 우주보다 더 클 수 있다는 뜻의 말을
    유교수가 손주에게 말하는 장면도 감동이었어요.

  • 28. ㅇㅇ
    '23.8.2 9:49 AM (116.121.xxx.129)

    그러고보니 저희 아들도 수학 잘 하는 문과생이고
    저는 저대로 유교수 만화 영향도 있고
    시어머니께서 애 출생시 받은 사주에서
    경제학과를 콕 집어주기까지 해서

    경제학과를 들이밀었는데
    검사가 되시겠다며
    헤매고 있습니다.

  • 29. ..
    '23.8.2 12:13 PM (211.243.xxx.94)

    나중에 보게 저장합니다.

  • 30. ??
    '23.8.2 12:25 PM (223.38.xxx.71) - 삭제된댓글

    대학 1학년 때 필수 교양과목으로 경제학 기초 배우고
    경영과 경제차이는 초딩 사회에도 나오는데?

    이걸 모르는 분이 많다는게 신기 ㅜㅜ

  • 31. ??
    '23.8.2 12:26 PM (223.38.xxx.71) - 삭제된댓글

    일반과도 대학 1학년 때 필수 교양과목으로
    경제학 기초 배우고

    경영과 경제차이는 초딩 사회에도 나오는데?
    이걸 모르는 분이 많다는게 오히려 신기 ㅜㅜ

  • 32. ??
    '23.8.2 12:27 PM (223.38.xxx.71)

    일반학과도 대학 1학년 때 필수 교양과목으로
    경제학 기초 배우고

    경영과 경제차이는 초딩 사회에도 나오는데?
    이걸 모르는 분이 많다는게 오히려 신기 ㅜㅜ

  • 33. 경제학은
    '23.8.2 12:27 PM (117.111.xxx.4)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최대다수를 어디기준 최대다수까지 볼 것인가 최대행복이 수치적 개량적인 기준을 어디까지 둘것인가 그리고 이런 양적 효율이 과연 옳은가를 생각하는 거죠.
    정치 영향이 제일 적고요.

  • 34. ㅇㅇ
    '23.8.2 1:04 PM (116.121.xxx.129) - 삭제된댓글

    일반학과도 대학 1학년 때 필수 교양과목으로
    경제학 기초 배우고
    ㅡㅡㅡㅡㅡㅡㅡ
    대학마다 달라서요
    우리때 필수 교양은 국어, 영어, 체육, 철학 이 정도였어요.

    경영과 경제차이는 초딩 사회에도 나오는데?
    이걸 모르는 분이 많다는게 오히려 신기 ㅜㅜ
    ㅡㅡㅡㅡㅡㅡㅡ
    막연하게 아는 것과 이걸 말로 표현하기가 쉽지 않네요.

  • 35. ㅇㅇ
    '23.8.2 1:28 PM (116.121.xxx.129)

    일반학과도 대학 1학년 때 필수 교양과목으로
    경제학 기초 배우고
    ㅡㅡㅡㅡㅡㅡㅡ
    대학마다 달라서요
    우리때 필수 교양은 국어, 영어, 체육, 철학 이 정도였어요.

    경영과 경제차이는 초딩 사회에도 나오는데?
    이걸 모르는 분이 많다는게 오히려 신기 ㅜㅜ
    ㅡㅡㅡㅡㅡㅡㅡ
    막연하게 알고는 있어도 이걸 말로 표현하기가 쉽지는 않네요.

  • 36. 경영이나 경제나
    '23.8.2 1:29 PM (203.247.xxx.210)

    수학을




    빙자할 뿐

  • 37. 개론 강의 들을때
    '23.8.2 1:35 PM (121.183.xxx.42)

    대학교때 개론 강의 들을때 경제학개론은 어려웠어요. 무슨 수학이야 그래프에 ㅜㅜ

    경영학 개론은 요즘 애들 말로 개꿀 다 a+

  • 38. 아닌듯
    '23.8.2 1:57 PM (211.250.xxx.112)

    경제학도 수요쪽이냐 공급쪽이냐에 따라 정반대죠. 케인즈와 하이예거...정반대잖아요

  • 39. 피자헛
    '23.8.2 1:59 PM (119.192.xxx.107)

    - 경제학은 피자 한 판을 어떻게 하면 제일 균등하게 나눌 수 있는지 연구하는 학문이래요.

    - 피자 한 판을 어떻게 하면 제일 균등하게 나눌 수 있는지 연구하는 경제학은 마르크시즘

    균등하게 나누는 것을 공부하는 게 경제학이라는 원글을 보고 엥~ 진짜?
    그런 생각이 들었는데 다른 분이 잘 구분해주셨네요

    개인적으로 관악산 옆 학교 경제학과 다니면서 1학년 때까지는 균등하게 나누는
    삶을 지향하다가 그 후 균등을 지양하고 all alone 적인 라이프를 추구하는 형제가
    생각나서 더 그랬던 것 같습니다 :)

    이상 예술대 출신이 썼습니다

  • 40. ..
    '23.8.2 2:04 PM (211.206.xxx.191)

    아들 둘 다 경영학과 나왔어요.ㅎㅎ
    천재유교수 책 볼 수 있으면 구해서 봐야 겠네요.

  • 41. 경제경영
    '23.8.2 3:29 PM (223.38.xxx.182)

    피자한판 놓고 백분토론이 궁금해지네요 ㅎㅎ
    오랜만에 재미있게 읽었어요

  • 42.
    '23.8.2 3:40 PM (221.158.xxx.180)

    저장입니다 감사해요
    원글 댓글 모두 재밌어요

  • 43. 잘났어요
    '23.8.2 4:40 PM (88.64.xxx.16)

    ??
    '23.8.2 12:27 PM (223.38.xxx.71)
    일반학과도 대학 1학년 때 필수 교양과목으로
    경제학 기초 배우고

    경영과 경제차이는 초딩 사회에도 나오는데?
    이걸 모르는 분이 많다는게 오히려 신기 ㅜㅜ

    ㅡㅡ
    니 x 참 굵어요 ㅎ

  • 44. 천재 유교수는
    '23.8.2 5:54 PM (119.69.xxx.233) - 삭제된댓글

    만화로 볼때는 멋지지만
    실제로 주변에 있으면 조금 짜증날 것 같아요. ㅎㅎㅎㅎ
    차라리 마스터 키튼이 인간적이고 좋죠. ㅎㅎ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근데 주말에 만화방에 들러봐야겠네요. ㅎㅎ

  • 45. ㅇㅇ
    '23.8.2 6:25 PM (210.2.xxx.197)

    분배를 다루는 건 마르스크경제학, 정치경제학이고...

    주류경제학(흔히 고전경제학)은 피자가 잘 구워질 수 있게 밀가루, 우유, 페퍼로니 등ㅇ
    잘 공급될 수 있게 하고, 수요도 너무 과열되지 않게 잘 관찰하고. ....

  • 46. 경영학은
    '23.8.2 6:45 PM (118.235.xxx.155)

    회계만 어렵고 경제학이 더 공부하기 어려운 학문이죠. 수학에 통계까지 다루니까. 경영학과 나왔는데 경제학과 부전공 하려다가 어려워서 관뒀어요.

  • 47. 참나
    '23.8.2 6:45 PM (61.81.xxx.112)

    경영은 어떻게 이익을 남기는가
    경제는 경영의 흐름을 읽게 하는 것

  • 48. ....
    '23.8.2 7:00 PM (175.116.xxx.96)

    남편 경제학과, 시동생 경영학과 나왔는데
    매일 남편이 경제학이야말로 진정한 학문이고, 경영학은 파생 학문이다 라고 해서 맨날 둘이 싸웠다 하더군요
    근데, 지금 고등아들이 수학은 좀 하는데, 과학 싫어하는 문과생이라 상경계쪽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그 남편이 이제는 경영학이 더 취직 잘된다고 경영가라 합니다 ㅎㅎ
    그나저나 저 위에 천재 유교수, 마스터 키튼..정말 오랜만에 보는 이름이네요.
    한떄 대학시절 만화방에서 살떄 섭렵했던 책들인데..
    이런 글들이 있어야 82 답지요 ^^

  • 49. ㅇㅇ
    '23.8.2 7:27 PM (175.207.xxx.116)

    만화 댓글 다신 분들..
    제가 재밌게 본 만화 중 하나인데
    제목이 기억이 안나서요

    주인공 남자가 그림을 사고 팔고
    훼손된 그림은 복구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었는데
    혹시 아실까요

  • 50. ㅇㅇ
    '23.8.2 8:27 PM (115.138.xxx.245)

    문과대 다닐때 경제학개론 수업이 재밌어서 들었었는데…저한테도 이과적 기질이 있었나싶네요

  • 51. 이런!
    '23.8.2 9:23 PM (59.16.xxx.97)

    천재유도
    키튼도
    처음 들어보는
    국어과 졸 육십 아짐.
    도대체 난 무슨 책만 보고 살아온 거임?

  • 52. ㅇㅇ
    '23.8.2 9:29 PM (1.244.xxx.182)

    경영경제 이야기에서 만화까지~
    천재유교수의생활 보고싶네요

  • 53. ㅇㅇ
    '23.8.3 6:55 AM (175.207.xxx.116) - 삭제된댓글

    문과대 다닐때 경제학개론 수업이 재밌어서 들었었는데…저한테도 이과적 기질이 있었나싶네요
    ㅡㅡㅡㅡ
    경제학이 문과 속 이과라고 한다지만
    수학이 많이 필요한 거지 기질은 문과가 아닐까 싶습니다
    어느 외국 대학에서는 수학을 문과에 보기도 한다면서요.

    과거 문과의 영역이었던 인사 분야, 영업 분야를
    이제는 이과가 커버한다지요.
    (특히 영업은 과학전문지식이 필요해져서
    문과쪽은 힘들거라고해요)
    근데 재무, 재정쪽은 이과가 하기 힘들대요.
    저도 들은 얘기라 그 이유는 어렴풋이 짐작만 해볼 뿐입니다만.

  • 54. ㅇㅇ
    '23.8.3 6:57 AM (175.207.xxx.116)

    그림 관련 만화는 갤러리 페이크였네요.

  • 55. ㅇㅇ
    '23.8.3 6:59 AM (175.207.xxx.116)

    문과대 다닐때 경제학개론 수업이 재밌어서 들었었는데…저한테도 이과적 기질이 있었나싶네요
    ㅡㅡㅡㅡ
    경제학이 문과 속 이과라고 한다지만
    수학이 많이 필요한 거지 기질은 문과가 아닐까 싶습니다
    또 어느 외국 대학은 수학이 문과에 해당된다면서요.

    과거 문과의 영역이었던 인사 분야, 영업 분야를
    이제는 이과가 커버한다지요.
    (특히 영업은 과학전문지식이 필요해져서
    문과쪽은 힘들거라고해요)
    근데 재무, 재정쪽은 이과가 하기 힘들대요.
    저도 들은 얘기라 그 이유는 어렴풋이 짐작만 해볼 뿐입니다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0817 혹시 40대분들 중에 부모님 학력… 3 01:53:28 277
1600816 인간의 수명이 쓸데없이 길어진게 저출산에 한 몫 하는 게 아닐까.. 1 길어진 수명.. 01:53:04 137
1600815 서울대 교내 차로 통행이 가능한가요? 4 ... 01:45:37 95
1600814 저출산 원인으로는 3 ㄴㅇㄹ 01:36:27 229
1600813 유튜버 나락보관소, 또 밀양 가해자 신상공개 6 ... 01:36:08 799
1600812 희한하다 1 희한 01:31:05 266
1600811 일해야하는데...골절 4 골절 01:20:08 331
1600810 일 그만두면 시부모님 병원 수발 담당 될까봐 못그만두겠어요 ㅠ 5 ... 01:13:38 969
1600809 윤..왜 탄핵 못시키나요? 9 c c 01:13:01 787
1600808 비매너인지 여쭙습니다 6 코코2014.. 01:03:42 769
1600807 단 하나의 영화를 추천한다면 어떤 영화 11 영화추천 01:02:18 625
1600806 주방에 과일바구니 5 .. 00:57:25 720
1600805 82 보고 있노라면 6 00:54:35 514
1600804 쿠팡 웰컴쿠폰요 .. 00:44:33 299
1600803 현관문 앞에 자전거, 우산, 유모차.. 짐이 한가득 7 .. 00:43:01 1,026
1600802 영일만 석유 시추 탐사에 최소 5천억‥자금은 어떻게 8 .. 00:36:46 736
1600801 첫 연애시작.여행. 허락해야하나요? 10 걱정 00:35:55 932
1600800 강릉단오축제 강릉 00:34:37 238
1600799 노산 쉽게 생각하지마세요 35 노산 00:33:50 2,573
1600798 업무상 큰 실수 이후 상사에게 어떻게 해야 할까요 6 00:31:42 577
1600797 은행에 대출하러 갔더니 자꾸 어머니거림 10 기분몹시언짢.. 00:31:31 1,096
1600796 아낌없이 퍼주는 정부..대체 왜이러는거에요? 17 .. 00:17:13 1,543
1600795 오늘 먹은거 3 00:15:59 474
1600794 막걸리 한병 마셨어요 9 힘드네요 00:13:35 682
1600793 지방재배치vs 하안검 7 ㅇㅇ 00:09:47 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