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인 가구 절반은 ‘가난’ 여성·노인에 더 가혹한 빈곤의 늪

.. 조회수 : 3,542
작성일 : 2023-04-25 19:30:00
우리나라 전체 가구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1인 가구의 절반 가까이는 빈곤 상태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1인 가구 빈곤율은 남성 1인 가구에 견줘 훨씬 높았다. 나이가 많을수록 가난을 경험하는 경우도 많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 2021년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해 9일 산출한 ‘2022년 빈곤통계연보’를 보면, 2020년 전체 인구 중 가처분소득 수준이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인구 비율(상대빈곤율)은 15.3%였다. 이런 빈곤율을 인구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1인 가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빈곤율은 47.2%로 전체 인구 빈곤율에 견줘 3배 이상 높았다. 가처분소득이란 가계가 소비·저축에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소득으로, 시장소득에서 세금 부담 등을 제외하고 복지 지원 같은 이전소득을 보탠 것이다. 소득을 높은 순에서 낮은 순으로 나열했을 때 가장 중간값(중위소득)의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이들을 보통 빈곤층으로 분류한다. 혼자 사는 이의 절반가량은 빈곤하다는 의미다.

1인 가구 빈곤율은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2016년 54%, 2017년 52.1%, 2018년 52.7%, 2019년 51.8%, 2020년 47.2%로 낮아지는 추세지만, 여전히 50% 언저리를 맴돈다. 특히 혼자 사는 남성보다 여성의 경제적 어려움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처분소득 기준 여성 1인 가구 빈곤율은 55.7%로 남성(34.5%)보다 훨씬 높았다. 나이가 많을수록 빈곤율도 올라갔다. 만 65살 이상 1인 가구의 가처분소득 빈곤율은 72.1%에 달한다. 소득 하위 70% 노인에 지급하는 기초연금 등을 가계에 보태도 10명 중 7명이 가난한 셈이다. 다만 2016년 빈곤율 78.4%보다는 6.3%포인트 낮아졌다. 가처분소득 기준 청년층(19~34살)·장년층(35~49살)·중년(50~64살) 빈곤율은 각각 20.2%, 19.5%, 38.7%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2021년 한국에서 혼자 사는 이들은 716만6천가구로 전년보다 7.9% 증가했다. 전체 가구 가운데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2005년 20%대에서 꾸준히 증가해 2021년엔 역대 최고치인 33.4%를 기록했다. 특히 1인 가구 가운데 60살 이상 비중은 34.5%로, 30대 이하 1인 가구(36.9%)와 비슷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35007?sid=102
IP : 23.106.xxx.52
4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4.25 7:33 PM (183.98.xxx.174)

    평생 전업주부로 살다
    남편 죽고 혼자 남은 할머니들 많으니
    여성 1인 빈곤율이 높은 게 당연

  • 2. ..
    '23.4.25 7:34 PM (59.13.xxx.234)

    인구 줄어도 1인가구 늘어 집값 안떨어질거라는 사람들 이거보고 뭐라고 할지..
    1인가구 대부분 다세대주택이나 원룸에 산다고 기사났더구만

  • 3. ..
    '23.4.25 7:40 PM (211.36.xxx.26) - 삭제된댓글

    나이들면 남성보다 여성이 훨씬 잘산다고 들었는데
    결과가 의외네요.

    과부는 은이서말
    홀아빈 이가서말 이라했는데



    다 옛말인가요.

  • 4. ....
    '23.4.25 7:43 PM (222.236.xxx.19)

    결과가 의외이기는 하네요 ....

  • 5. 00
    '23.4.25 7:53 PM (211.46.xxx.165)

    평생 전업주부여도 남편 죽으면 남편이 유산 안물려주나요?

  • 6. ...
    '23.4.25 8:10 PM (211.104.xxx.198) - 삭제된댓글

    조사내용은 꼭 결혼후 남편죽고 혼자남은 할머니 1인가구 얘기가 아닌데요?
    1인 가구만 볼때 노인 이전의 연령층 1인가구 여성이 빈곤율이 그냥 높은것도 아니고 훨씬 높다니 의외이긴하네요

  • 7. ㅎㅎ
    '23.4.25 8:16 PM (14.36.xxx.107) - 삭제된댓글

    여자 혼자 잘산다 어쩐다 하는건 사실 일부고
    현실은 대부분은 경제적으로 힘들고 빈곤해요. 1인가구 자체가 그렇기도하고. 계속 그래왔어요.
    나이든여자들이 일할곳이 자리도 없고 벌이가 안좋단거죠.

  • 8. ...
    '23.4.25 8:20 PM (223.39.xxx.5) - 삭제된댓글

    전에 통계봤는데 노인인구가 여초라 여성 1인 빈곤가구 비율이 높더라고요 기사 내용보니 노인 빈곤율 심각하네요

    %)보다 훨씬 높았다. 나이가 많을수록 빈곤율도 올라갔다. 만 65살 이상 1인 가구의 가처분소득 빈곤율은 72.1%에 달한다. 소득 하위 70% 노인에 지급하는 기초연금 등을 가계에 보태도 10명 중 7명이 가난한 셈이다. 

  • 9. ...
    '23.4.25 8:21 PM (223.39.xxx.5)

    전에 통계봤는데 노인인구가 여초라
    여성 1인 빈곤가구 비율이 높더라고요
    기사 보니 노인 빈곤율 심각하네요

    나이가 많을수록 빈곤율도 올라갔다. 만 65살 이상 1인 가구의 가처분소득 빈곤율은 72.1%에 달한다. 소득 하위 70% 노인에 지급하는 기초연금 등을 가계에 보태도 10명 중 7명이 가난한 셈이다.

  • 10.
    '23.4.25 8:28 PM (223.39.xxx.253) - 삭제된댓글

    1인 가구만 볼때 노인 이전의 연령층 1인가구 여성이 빈곤율이 그냥 높은것도 아니고 훨씬 높다니 의외이긴하네요
    ㅡㅡㅡㅡ

    기사 어디에 그런말이 있나요? 궁금해서요
    여성 1인 빈곤율이 높게 나오는건
    노인인구가 여초고 노인 빈곤율이 높아서로 알고 있거든요
    전에 봤던 통계에선
    젊은층 여성이 남성보다 소득이 낮긴 했지만
    빈곤율 큰 차이는 아니었어요
    높은 여성 빈곤율을 캐리하는건
    여성 노인인구로 알고 있거든요

  • 11.
    '23.4.25 8:29 PM (223.39.xxx.253)

    1인 가구만 볼때 노인 이전의 연령층 1인가구 여성이 빈곤율이 그냥 높은것도 아니고 훨씬 높다니 의외이긴하네요
    ㅡㅡㅡㅡ

    기사 어디에 그런말이 있나요? 안 보이는데
    궁금해서 확인해보고 싶어서요
    여성 1인 빈곤율이 높게 나오는건
    여성 수명이 길어서 노인인구가 여초고
    노인 빈곤율이 높아서로 알고 있거든요

    전에 봤던 자료에서
    젊은층 여성이 남성보다 소득이 낮긴 했지만
    빈곤율 큰 차이는 아니었어요
    높은 여성 빈곤율의 주원인은
    여성 노인인구로 알고 있거든요

  • 12. ..
    '23.4.25 8:36 PM (211.36.xxx.97) - 삭제된댓글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news_board&wr_id=53383

    여성가구주의 빈곤율이 남성가구주보다 3배나 높다네요.

  • 13.
    '23.4.25 8:40 PM (125.143.xxx.10)

    남편이 죽었는데 할머니가 빈곤이라면 평생 전업으로 살았을 형편이 아닌데요?
    뭐라도 끊임없이 하던 사람인데..
    남자에 비해 소득 높은 일자리가 드문게 이유가 아닐지 하다못해 노가다도 하기 어려우니까요

  • 14. ...
    '23.4.25 8:41 PM (118.235.xxx.97)

    이거 당연한거 아닌가요??
    지금 노년층은 무조건 혼인하고 여자는 전업하던 세대였는데
    남자가 아프다 죽으면 투병하면서 재산 쓰고 사망해요.
    그럼 여자는 직업도 없고 가난한 1인가구로 남겨지는거에요.

    그나마도 남자는 1인가구되면 5060에 대부분 사망 ㅡㅡ
    결혼못한 비혼가구는 대부분 그렇게 가난하게 남겨지지 않아요.

  • 15. 뭔소리
    '23.4.25 8:48 PM (122.35.xxx.2)

    결혼 못한 비혼은 안아픈가요?

  • 16. 00
    '23.4.25 8:51 PM (211.46.xxx.165)

    결혼 안한 비혼은 젊었을 때부터 살기 위해 일했을듯요.
    생존능력은 결혼 안한 비혼이 더 강할듯요.

  • 17. 122님
    '23.4.25 8:51 PM (118.235.xxx.87)

    결혼 못한 비혼들은 간병을 그렇게 길게 못해요.
    빨리 죽어서 가난할 틈도 별로 없어요.
    저 업계에서 일합니다.

  • 18.
    '23.4.25 8:55 PM (223.39.xxx.253) - 삭제된댓글

    ㄴ저 세대 할머니들은 혼인율 백프로 가까이 나오던 세대인데
    왜 빈곤한가를 생각하다보니 나온 얘기죠
    젊을때 남편이든 본인이든 벌었을텐데
    자식한테 쓰고 노후대비도 제대로 안됐다는거니까요
    혼자 벌면 많이 못 벌어도 온전히 본인 노후준비만
    할 수 있다 이 말이겠죠
    물론 1인가구는 아프거나 다쳤을때의 리스크가 있긴해요

  • 19. 122.35.xxx.2님
    '23.4.25 8:55 PM (223.39.xxx.253) - 삭제된댓글

    ㄴ저 세대 할머니들은 혼인율 백프로 가까이 나오던 세대인데
    왜 빈곤한가를 생각하다보니 나온 얘기죠
    젊을때 남편이든 본인이든 벌었을텐데
    자식한테 쓰고 노후대비도 제대로 안됐다는거니까요
    혼자 벌면 많이 못 벌어도 온전히 본인 노후준비만
    할 수 있다 이 말이겠죠
    물론 1인가구는 아프거나 다쳤을때의 리스크가 있긴해요

  • 20. ...
    '23.4.25 8:56 PM (223.39.xxx.253)

    122.35.xxx.2님
    저 세대 할머니들은 혼인율 백프로 가까이 나오던 세대인데
    왜 빈곤한가를 생각하다보니 나온 얘기죠
    젊을때 남편이든 본인이든 벌었을텐데
    자식한테 쓰고 노후대비도 제대로 안됐다는거니까요
    혼자 벌면 많이 못 벌어도 온전히 본인 노후준비만
    할 수 있다 이 말이겠죠
    물론 1인가구는 아프거나 다쳤을때의 리스크가 있긴해요

  • 21. 현직자
    '23.4.25 9:03 PM (118.235.xxx.87)

    일단 돈 많은 독거노인...

    남자는 없어요 아예.
    여러분들도 생각을 해보세요.
    남자가 돈이 있는데 여자 없이 독거할 것인가...
    남자는 돈 있으면 여자를 구해요. 혹은 여자가 달라 붙던가.
    차이가 뭥가 ㅋㅋㅋ 암튼 다른 할머니랑 삽니다.

    할아버지가 독거인데 돈이 없어 혼자 살면
    그냥 죽어요. 고독사.
    밥은 안먹고 소주만 먹고 일용직 전전하다가
    버는 돈은 다 성매매에 씁니다. 그러다가 그냥 고독사에요.

    할머니는 그거랑 좀 다른데 대부분 가난해요.
    왜 가난하냐면 남편이 병들어서 투병하느냐고 자식들 결혼시키느냐고 돈쓰고
    그래도 허름한 곳에서 주거 마련하고 생활보조되서 나온 쌀로 밥지어 드시고 반찬도 해서 드세요.
    그래서 저런 통계가 나오는 겁니다.

    앞으로는 통계도 약간 달라지겠죠?
    자발적 비혼자들이 많이지니까요?

  • 22. 예전에
    '23.4.25 9:21 PM (117.111.xxx.202)

    무슨 다큐멘터리에서 봤는데

    노인빈곤율 = 여성노인 빈곤율 아라고 했어요. 이제부터는 좀 달라지겠지만 일단 여자는 경제적능력이 없는 경우가 많았으니까요

  • 23. ...
    '23.4.25 9:21 PM (182.217.xxx.35) - 삭제된댓글

    기사 읽어보시면 고령으로 갈수록 남자빈곤율이 높고
    전체적인 빈곤율은 여성이 훨씬 높다고 나와요.

  • 24. ..
    '23.4.25 9:23 PM (106.101.xxx.1) - 삭제된댓글

    맞아요
    보통 남편이 먼저 아프고 간병비.병원비 많이 들어가죠

  • 25. 남녀의
    '23.4.25 9:30 PM (218.234.xxx.5) - 삭제된댓글

    차이는 평균수명 때문이죠.
    여기서 왜 전업이니 뭐니.. 참;;
    평균수명이 여자가 6,7년이 더 긴데 대부분 남자 나이가 더 많은 상태에서 결혼을 하니 실제로는 평균수명의 차보다 몇 년 더 긴 시간을 여자 혼자 사는 거죠.

  • 26. ...
    '23.4.25 9:35 PM (223.39.xxx.253) - 삭제된댓글

    기사 읽어보시면 고령으로 갈수록 남자빈곤율이 높고
    전체적인 빈곤율은 여성이 훨씬 높다고 나와요.
    ㅡㅡㅡㅡ

    어디에요?
    고령으로 갈수록 남성 빈곤율이 높다는건 없는데요

  • 27. ...
    '23.4.25 9:36 PM (223.39.xxx.253)

    기사 읽어보시면 고령으로 갈수록 남자빈곤율이 높고
    전체적인 빈곤율은 여성이 훨씬 높다고 나와요.
    ㅡㅡㅡㅡ

    어디에요?
    고령으로 갈수록 남성 빈곤율이 높다는 말 없는데요
    전체 빈곤율은 여성 55.7%로 남성 34.5% 보다 높고요

  • 28. ..
    '23.4.25 9:43 PM (182.217.xxx.35) - 삭제된댓글

    댓글링크 기사 읽어보세요.

  • 29. ...
    '23.4.25 9:52 PM (223.39.xxx.253) - 삭제된댓글

    ㄴ네 당연히 읽어봤어요 그러니까 어디에요?

  • 30. ...
    '23.4.25 9:57 PM (223.39.xxx.253) - 삭제된댓글

    ◇ '나홀로 생활' 717만가구…빈곤율 고령층·여성에서 특히 높아

    2020년 전체 인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인 비율)은 15.3%였는데. 1인 가구만 따져보면 47.2%로 3배 이상이었다.
    1인 가구의 빈곤율은 2016년 54.0%였던 것이 2017년 52.1%, 2018년 52.7%, 2019년 51.8%를 기록하다가 그나마 2020년 50% 이하로 내려왔다.
    1인 가구 빈곤율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높았다.
    ㅡㅡㅡㅡ


    님 이 문장보고 그러시는거죠
    저건 문단 소제목만봐도 기자가 잘못 쓴 것 같은데요
    1인가구 빈곤율은 1.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았고
    2.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라는 문장을 쓰려했는데 잘 못 쓴거죠

    왜냐면 예전에 봤던 자료에서도
    저 기사의 원출처인 빈곤 통계연보에서도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빈곤율보다 남성빈곤율이 높다는 말은 없거든요

  • 31. ...
    '23.4.25 9:59 PM (223.39.xxx.253) - 삭제된댓글

    ◇ '나홀로 생활' 717만가구…빈곤율 고령층·여성에서 특히 높아

    2020년 전체 인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인 비율)은 15.3%였는데. 1인 가구만 따져보면 47.2%로 3배 이상이었다.
    1인 가구의 빈곤율은 2016년 54.0%였던 것이 2017년 52.1%, 2018년 52.7%, 2019년 51.8%를 기록하다가 그나마 2020년 50% 이하로 내려왔다.
    1인 가구 빈곤율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높았다.
    ㅡㅡㅡㅡ


    님 이 문장보고 그러시는거죠
    저건 문단 소제목만봐도 기자가 잘못 쓴 것 같은데요
    1인가구 빈곤율은 1.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았고
    2.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라는 표현을 위해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다는
    문장을 잘못 쓴거죠

    왜냐면 예전에 봤던 자료에서도
    저 기사의 원출처인 빈곤 통계연보에서도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빈곤율보다 남성빈곤율이 높다는 말은 없거든요

  • 32. 182.217
    '23.4.25 10:00 PM (223.39.xxx.253) - 삭제된댓글

    ◇ '나홀로 생활' 717만가구…빈곤율 고령층·여성에서 특히 높아

    2020년 전체 인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인 비율)은 15.3%였는데. 1인 가구만 따져보면 47.2%로 3배 이상이었다.
    1인 가구의 빈곤율은 2016년 54.0%였던 것이 2017년 52.1%, 2018년 52.7%, 2019년 51.8%를 기록하다가 그나마 2020년 50% 이하로 내려왔다.
    1인 가구 빈곤율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높았다.
    ㅡㅡㅡㅡ


    님 이 문단 마지막 문장보고 그러시는거죠
    저건 문단 소제목만봐도 기자가 오타낸 것 같은데요
    1인가구 빈곤율은 1.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았고
    2.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라는 표현을 위해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다는
    문장을 잘못 쓴거죠

    왜냐면 예전에 봤던 자료에서도
    저 기사의 원출처인 빈곤 통계연보에서도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빈곤율보다 남성빈곤율이 높다는 말은 없거든요

  • 33. 182.217
    '23.4.25 10:09 PM (223.39.xxx.253) - 삭제된댓글

    ◇ '나홀로 생활' 717만가구…빈곤율 고령층·여성에서 특히 높아

    2020년 전체 인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인 비율)은 15.3%였는데. 1인 가구만 따져보면 47.2%로 3배 이상이었다.
    1인 가구의 빈곤율은 2016년 54.0%였던 것이 2017년 52.1%, 2018년 52.7%, 2019년 51.8%를 기록하다가 그나마 2020년 50% 이하로 내려왔다.
    1인 가구 빈곤율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높았다.
    ㅡㅡㅡㅡ


    님 이 문단 마지막 문장보고 그러시는거죠
    저건 문단 소제목만봐도 기자가 오타낸 것 같은데요
    1인가구 빈곤율은
    1.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았고
    2.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라는 내용을 요약하는
    "1인가구 빈곤율은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다"는
    문장을 잘못 쓴거죠
    애초에 매락만 봐도 오타지만
    님이 말한 의미로 쓴거면 쉼표가 없어야죠

    그리고 무엇보다 예전에 봤던 자료에서도
    저 기사의 원출처인 빈곤 통계연보에서도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빈곤율보다 남성빈곤율이 높다는 말은 없거든요

  • 34. 182.217
    '23.4.25 10:10 PM (223.39.xxx.253)

    ◇ '나홀로 생활' 717만가구…빈곤율 고령층·여성에서 특히 높아

    2020년 전체 인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인 비율)은 15.3%였는데. 1인 가구만 따져보면 47.2%로 3배 이상이었다.
    1인 가구의 빈곤율은 2016년 54.0%였던 것이 2017년 52.1%, 2018년 52.7%, 2019년 51.8%를 기록하다가 그나마 2020년 50% 이하로 내려왔다.
    1인 가구 빈곤율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높았다.
    ㅡㅡㅡㅡ


    님 이 문단 마지막 문장보고 그러시는거죠
    저건 문단 소제목만 봐도 기자가 오타낸 것 같은데요
    1인가구 빈곤율은
    1.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았고
    2.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라는 내용을 요약하는
    "1인가구 빈곤율은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다"는
    문장을 잘못 쓴거죠
    애초에 맥락만 봐도 오타지만
    님이 말한 의미로 쓴거면 쉼표가 없어야죠

    그리고 무엇보다 예전에 봤던 자료에서도
    저 기사의 원출처인 빈곤 통계연보에서도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빈곤율보다 남성빈곤율이 높다는 말은 없거든요

  • 35. 182.217
    '23.4.25 10:27 PM (223.39.xxx.253) - 삭제된댓글

    정확히 알려주기 위해 빈곤통계연보 원문 다시 보고 왔는데
    청년층(~34세) 빈곤율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고
    노인층 빈곤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아요
    그리고 노인인구도 여성이 훨씬 많죠
    그러니 님 말은 사실과 정확히 반대에요

  • 36. 그리고
    '23.4.25 10:45 PM (223.39.xxx.253) - 삭제된댓글

    여러분 이 1인가구 빈곤율이라는거 잘 생각해보세요
    빈곤이라고 표현했는데 여기서 정확한 정의는
    "중위소득의 50% 이하 소득 인구 비율" 이에요
    기사에도 원문에도 상대적빈곤율이라고 적혀있죠

    근데 1인가구에서
    60대 이상이 34.5% 30대 이하가 36.9% 총 70%가 넘어요
    노인층과 20대의 소득이 적은건 어찌보면 당연한거죠
    일해도 대부분 파트타임잡 일테고요
    그러니 1인가구 빈곤율이 저렇게 높게 나오는거고요
    다만 20대는 미래를 준비하는 시기라 그런거지만
    노인층은 말그대로 건강상의 이유로 일 못하는거라
    노인 인구 빈곤이 더 심각한 문제긴 해요

  • 37. 182.217
    '23.4.25 11:13 PM (223.39.xxx.11) - 삭제된댓글

    빈곤통계연보 원문 보면 오히려 청년층(~34세)에선 남성빈곤율이 더 높고 노인층에서 뒤집혀요 님이 말한 것과 반대죠

  • 38. 182.217
    '23.4.25 11:15 PM (223.39.xxx.11) - 삭제된댓글

    빈곤통계연보 원문 보면 오히려 청년층(~34세)에선 남성빈곤율이 더 높고 노인층에서 뒤집혀요 님이 말한 것과 반대죠

  • 39. 182.217
    '23.4.25 11:16 PM (223.39.xxx.11) - 삭제된댓글

    빈곤통계연보 원문 보면 오히려 청년층(~34세)에선 남성빈곤율이 더 높고 노인층에서 뒤집혀요 님이 말한 것과 반대죠

  • 40. 182.217
    '23.4.25 11:18 PM (223.39.xxx.11) - 삭제된댓글

    빈곤통계연보 원문 보면 오히려 청년층(~34세)에선 남성빈곤율이 더 높고 노인층에선 반대에요 님이 말한 것과 반대죠

  • 41. 182.217
    '23.4.25 11:18 PM (223.39.xxx.11) - 삭제된댓글

    빈곤통계연보 원문 보면 오히려 청년층(~34세)에선 남성빈곤율이 더 높고 노인층에선 반대에요 님이 말한 것과 반대죠

  • 42. 182.217
    '23.4.26 12:52 AM (223.39.xxx.68) - 삭제된댓글

    빈곤통계연보 원문 보면 오히려 청년층(~34세)에선 남성빈곤율이 더 높고 노인층에선 여성빈곤율이 더 높아요 님이 말한 것과 반대죠

    참고로 청년층 빈곤율도 노인층 빈곤율도 남녀 큰 차이는 아니에요
    10%가 안돼요
    근데 전체 빈곤율에서 20%정도로 차이가 벌어지는건
    여성 수명이 길어서 여성 노인 인구수가 많기 때문이죠

  • 43. 182.217
    '23.4.26 12:55 AM (223.39.xxx.68) - 삭제된댓글

    빈곤통계연보 원문 보면 오히려 청년층(~34세)에선 남성빈곤율이 더 높고 노인층에선 여성빈곤율이 더 높아요 님이 말한 것과 반대죠

    참고로 청년층 빈곤율도 노인층 빈곤율도 남녀 큰 차이는 아니에요
    남녀 차이 10%가 안돼요
    근데 전체 빈곤율에서 20%정도로 차이가 벌어지는건
    여성 수명이 길어서 여성 노인 인구수가 많기 때문이죠

  • 44. ...
    '23.4.26 12:57 AM (223.39.xxx.68)

    빈곤통계연보 원문 보면 오히려 청년층(~34세)에선 남성빈곤율이 더 높고 노인층에선 여성빈곤율이 더 높아요 님이 말한 것과 반대죠

    참고로 청년층 빈곤율도 노인층 빈곤율도 남녀 큰 차이는 아니에요
    10%가 안돼요
    근데 전체 빈곤율에서 20%정도로 차이가 벌어지는건
    여성 수명이 길어서 여성 1인 가구중 노인 비중이 높기 때문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0841 재량휴일 힘드네요. ㄷㄷ 10:09:44 31
1600840 우리집엔 왜 바퀴벌레가 살까요... 바퀴벌레 10:08:44 46
1600839 판다들은 외국으로 장기임대되는 판다들 팔자가 제일 좋은 것 같아.. 1 ㅇㅇ 10:01:36 159
1600838 이화영 판결날, 조국은 “오랜만에 맛보는 망중한” 8 .. 09:58:10 355
1600837 노현정 전 아나운서의 근황. '부미원' 대표이사 2 ... 09:56:43 800
1600836 연극성 인격장애 2 ........ 09:54:55 290
1600835 머리랑 손이랑 개인플레이하네요. ... 09:54:06 107
1600834 아주 윤석열 김건희가 헛발질 할때마다 빵빵 터지네요 1 Gma 09:47:25 420
1600833 김건희.. 3개국 순방 동행 "이제 대놓고 활보&quo.. 6 ㅇㅇ 09:46:12 551
1600832 밀양사건을 보면서 7 참담함 09:42:11 393
1600831 성심당같은 빵집의 제빵사가 되려면 6 엄마 09:40:51 628
1600830 서울에서 기후동행카드로 인천공항 가능한가요? 1 .. 09:38:37 101
1600829 유튜브에서 자존감에 대해 들었는데요 1 자존감 09:35:33 460
1600828 농산물 맛있는 판매자, 품종 공유해주세요. 3 ., , 09:29:41 262
1600827 지성이랑 이보영은 조용히 연기만 잘하네요 3 . . . 09:24:35 1,120
1600826 쥐 나오는 악몽을 꿨어요 1 .. 09:21:07 241
1600825 매실엑기스에 설탕추가 가능할까요 8 추가 09:15:26 250
1600824 가난과 부유함 엄청난 변화를 겪으신 분 계신가요? 4 .. 09:13:21 1,180
1600823 연 끊은 부모의 연락이 괴롭네요 25 슬픔 09:09:23 2,651
1600822 선재업고 튀어 13 선재솔이 09:07:42 786
1600821 속에옷 사이즈 재고 사고싶은데요 2 .. 09:05:36 257
1600820 배우 노정의랑 가수 라리사 마노반하고 닮았네요. 1 simila.. 09:04:19 427
1600819 문경새재, 단양에서 어디 갈까요 9 ,, 08:59:08 497
1600818 천주교 주일 미사 빠지면 안되나요? 3 oo 08:59:00 652
1600817 인생이 너무 뒤쳐졌어요. 6 457 08:58:31 1,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