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명품 소비 관련해서 놀라운게

.. 조회수 : 4,703
작성일 : 2023-01-15 11:21:18
Displays of wealth are also more socially acceptable in Korean society. A McKinsey survey found that only 22% of Korean respondents consider showing off luxury goods to be in bad taste, compared with 45% of Japanese and 38% of Chinese.
 
한국사회에서는 부를 과시하는게 사회적으로 좀 더 용인된다.
 메킨지 조사에 따르면 명품 과시가 나쁜취향이라고 생각하는 한국인은 오직 22퍼센트뿐이었다. 
( 일본인은 45프로가 명품 과시는 나쁘다고 생각, 중국인은 38프로) 

저는 이 결과가 놀라워요.
시민의식이나 사회의 성숙도가 점점 좋아지고 있다고 저는 생각했는데 
우리 사회의 물질만능 풍조는 전혀 나아지질 않고 있었다는게요. 

기사출처
 https://www.cnbc.com/2023/01/13/south-koreans-are-the-worlds-biggest-spenders-...
IP : 116.204.xxx.153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
    '23.1.15 11:25 AM (112.150.xxx.31)

    플렉스한다고 하쟎아요.
    내돈가지고 내가 사는데 니가 뭔상관이라는 분위기쟎아요

  • 2. ……
    '23.1.15 11:26 AM (211.245.xxx.245) - 삭제된댓글

    럭셔리브랜드를 보는 양가감정이있더라구요
    부유함을 과시한다는 부정적인 것과
    저거라도 보여줘야 어디가서 무시는 당하지않겠지 하는 절박한 것
    후자인 경우가 많은걸 아니까 서로 측은지심 같은게 있달까요

    맨정신에 살기힘든 나라인것같아요 날씨부터 극과극 ㅠㅠ

  • 3.
    '23.1.15 11:27 AM (58.231.xxx.14)

    며칠전부터 왜이리 이 기사 가져오고 난리를 쳐댈까..
    저 기사를 어떤 무리들이 투고하고 다시 가져오는 느낌이랄까..
    맥킨지에 저 조사를 누가 의뢰한 것일까...
    거니가 해외순방때마다 그리 사대서 인당 소비금액이 늘어났겠지

  • 4. 아침공기
    '23.1.15 11:32 AM (106.101.xxx.100)

    명품 사고싶으면 사는거죠.
    내돈내산인데 왜 주변 눈치까지 봐야하죠?
    시간지나면 명품 별거 없구나 싶어 시들해지겠죠.
    오히여 유럽사람들은 명품 별로 안사잖아요.
    아시아쪽에서 폭풍소비하죠

  • 5. ㅇㅇ
    '23.1.15 11:32 AM (211.193.xxx.69)

    댓글에도 보면 많이 나오는 말이죠
    내돈으로 내가 사는건데 니한테 피해준거 있어?
    근데 문제로 저런 럭셔리 물품으로 사회적 서열을 나누는 데 있죠
    초등부터 시작해서..
    어린애들 지나가는데 다 몽클 입었더란 말이 나오는 이유가
    몽클을 입어야 초등집단에서 사회적으로 나눠진 계급에 속할수 있다는 또 다른 말이 되는거죠

  • 6. ..
    '23.1.15 11:33 AM (116.204.xxx.153)

    일본이나 중국도 같은 문화권이라 체면때문에 비슷할거라고 생각했는데
    우리가 더 심할줄은 몰랐어요. 특히 중국은 잘 살게 된지 얼마 인 돼서 졸부현상이 심할거라 생각했거든요.

  • 7. 중국
    '23.1.15 11:49 AM (202.166.xxx.113) - 삭제된댓글

    중국 졸부현상도 심한테 진짜 전혀 신경 안쓰고 머리 화장 옷차림 전혀 신경 안 쓰고 다니는 사람들도 워낙에 많아요.
    우리 인구의 몇십배가 되니 거기서 몇 졸부 티 내고 다녀도 우리가 보기엔 다들 그러고 다니는 것 같이 보여요

    일본의 20년 전이 현재 우리나라랑 많이 비슷하구요. 20년전에는 루이뷔통 매출의 50프로가 일본

  • 8. 중국
    '23.1.15 11:50 AM (202.166.xxx.113)

    중국 졸부현상도 심한테 진짜 전혀 신경 안쓰고 머리 화장 옷차림 전혀 신경 안 쓰고 다니는 사람들도 워낙에 많아요.
    우리 인구의 몇십배가 되니 거기서 몇 프로만 졸부 티 내고 다녀도 우리가 보기엔 다들 그러고 다니는 것 같이 보여요

    일본의 20년 전이 현재 우리나라랑 많이 비슷하구요. 20년전에는 루이뷔통 매출의 50프로가 일본

  • 9.
    '23.1.15 11:52 AM (180.65.xxx.224)

    뭐가 놀라워요
    82만해도 자랑이 무슨 잘못이냐는 천박한 생각이 넘쳐나는데
    자식자랑 돈자랑하려고 인스타하잖아요
    역사도 철학도 배우지 않는 나라잖아요.

  • 10. ㅇㅇㅇ
    '23.1.15 12:21 PM (189.203.xxx.64)

    우리나라는 전국민이 대부분 그래서인가봐요. 명픔좋아하고 싼옷 입고다니면 나이답게 하라하고

  • 11. 중년모임
    '23.1.15 12:42 PM (202.166.xxx.113)

    중년여자, 남자들 모임보면 한국은 흰머리로 나온 사람 한 명도 없는데 외국인이나 중국인, 싱가폴리언들 보면 반 정도는 염색 안하고 흰머리 단정하게 자르고 화장기 없고 안경쓰고 나온 사람들도 많아요. 다들 직업도 좋고 중산층 이상 되는 사람들이에요

    한국의 50대 모임 남녀모두 그런 사람 드물죠. 강경화 전 장관 같은 경우도 머리가 뭐냐고 염색 좀 하라는 사람도 꽤 있었어요. 우리 눈에는 아직도 엄청 낯설이 보이는 모습이죠.

  • 12. ㅁㅇㅁㅁ
    '23.1.15 12:43 PM (125.178.xxx.53)

    물질만능주의가 너무 심해요.. 부끄러움을 모르고

  • 13. ...
    '23.1.15 1:01 PM (223.33.xxx.239)

    국민성 운운 비하까지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이게 다 과정인듯~

    일본인은 45%가 명품과시가 나쁘다고 생각한다고요?
    제가 알기로 일본인들 20~30년전쯤엔 더 환장해있었어요.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는 아직 드문때였고요
    제가 면세점 근무했었는데 고등학생들 수학여행오면 미친듯이 달려옵니다.샤넬립스틱 사려고요.성인들도 마찬가지고요
    그당시 일본에 루이비통가방 안든 여자들이 없다 들었는데..
    저도 그때 불쌍하고 한심한 일본인들.. .했던 기억납니다.
    우리나라도 이런 시기가 점차 지나가겠죠

  • 14. 내돈내산
    '23.1.15 5:12 PM (217.74.xxx.50)

    뭔 상관이냐면서 쿨내 풍기는데에 그치지 않고
    없는 사람, 안 산 사람 깎아내리고 궁상취급하는 것까지 이어지니까요.
    그러다보니 무리까지 해서 사는 사람들 나오고.
    너도나도 다 무리하니까 그냥 다들 이런갑다, 하고 당연스레 받아들이고. 고가의 물품 사는 거에 무뎌지고 응당 누려야할 당연한 경험 처럼 자위하고.
    지금 한국사회가 이렇게 된 거잖아요 그러니까.
    분수에 맞지 않는 소비, 과시형 소비는 지양돼야하는 거 아닌가요?
    Gdp 순위는 세계30위더만 명품소비 1등이라는 건 너무너무 기괴하죠. 한국사회는 안타깝게도 여러모로 병든 사회 맞아요.

  • 15. ㅁㅇㅁㅁ
    '23.1.15 11:02 PM (125.178.xxx.53)

    너무너무 기괴하죠. 한국사회는 안타깝게도 여러모로 병든 사회 맞아요. 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1184 이제 명절에는 여행갈까봐요 2 ........ 11:41:25 200
1761183 안동식쇠고기국밥과 육개장의 차이가 뭔가요? 궁금해요 11:41:08 51
1761182 어떤맘으로 살아가나요 2 궁금 11:32:52 352
1761181 찜갈비하는데 양념불이 2 갈비 11:27:02 190
1761180 함익병피부과 가보신분이요. 9 혹시 11:26:18 606
1761179 [SBS여론조사] '조희대 사퇴' 48%…'검찰청 폐지' 52%.. 11 dd 11:25:46 400
1761178 모빙 10개월 100원 이벤트 가입하신분들 알뜰폰 11:24:02 92
1761177 고3 애들 뭐하나요? 7 ㅇㅇ 11:23:44 278
1761176 열무김치가 달아요.ㅜㅜ 1 ㅡㅡ 11:17:40 201
1761175 피아노곡 찾아주세요 2 .... 11:05:11 149
1761174 돈을 못써요ㅜ 9 11:03:03 1,071
1761173 공부때문에 기상 취침시간이 엉망이라면 개입하실건가요? 8 ........ 11:01:48 332
1761172 집안일 시간 얼마나 걸릴까요? (자포자기상태) 7 ..... 10:56:22 638
1761171 스타벅스 창업 한물갔나요 37 수국 10:52:31 2,243
1761170 선우정아-비온다 ㅇㅇiii 10:52:06 289
1761169 이명박이 4대강 말고 it 이공계에 투자 했어야.. 17 ........ 10:50:44 611
1761168 기도는 기복 신앙 같아요. 15 .... 10:50:41 670
1761167 비가 징그럽게 툭하면 내리네요 2 지겨워 10:49:39 587
1761166 우산 브랜드는 어디가 유명한가요. .. 10:47:00 149
1761165 유럽, 이탈리아는 언제 가야 사람이 그나마 적은가요? 5 유럽무경험자.. 10:45:25 540
1761164 오늘 애들하고 어디가세요? 3 ... 10:43:20 436
1761163 25년 된 아파트 인테리어 하려는데 배관 교체 할까요? 8 ..... 10:42:22 763
1761162 우리 까자 좀 먹게 해주세요 10 아진짜 10:31:44 1,146
1761161 라갈비 양념잰거 냉동실에 한달 있었는데 1 골드 10:28:30 321
1761160 조문을 안 받는 장례식의 경우 조의금 17 조의금 10:17:14 1,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