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으로 돈 버는 시기가 다시 올까요?
대출금리가 1-2프로 대 시기가 오면 다시금 가능해질까요?
1. ㅇㅇ
'22.12.17 9:43 PM (221.150.xxx.98)그거 나쁘짓이에요
많이들 해서 안그런 것같지만2. ......
'22.12.17 9:44 PM (223.39.xxx.108) - 삭제된댓글??????
3. ..
'22.12.17 9:45 PM (223.62.xxx.120)올수도있어요
4. 00
'22.12.17 9:47 PM (124.50.xxx.211)안와요.
우선은 경제침체가 5년 정도는 가고, 그 뒤에는 인구절벽이 와서 구매할 수 있는 젊은 수요층 자체가 사라짐. 지금 현재 중년들은 대부분 자가일테구요.
그 뒤에 노년 인구가 늘어나면서 자기 집 팔거나 버리고 요양원이나 노년 공동체 시설 들어가는 인구들이 늘어날거고요. 그때되먄 이미 지구 환경은 살기 힘들어질 수도 있고…
집으로 돈벌 수 있는 시대는 끝났어요.5. 침체
'22.12.17 9:47 PM (39.125.xxx.100)짦으면 3~4년
길게는 일본처럼 갈 수도 읷다고....6. 음
'22.12.17 9:48 PM (218.150.xxx.232)아무도 알수없는듯요
1인가구도 늘어나고요7. 금리가
'22.12.17 9:49 PM (123.199.xxx.114)낮아지고 죽겠다는 소리가 오래지속되야 오르겠죠.
국민에게 재난지원금을 준게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있는 큰돈풀기였는데 역대 최고점 집값 꼭지를 잡은사람들이 제일 피해가 크지요.8. 지금도
'22.12.17 9:50 PM (121.139.xxx.20)저점 잡아서 사겠다는분들 많죠 집이란게
워낙 욕망의 대상이라 또 금리내리고
돈 풀리면 오르겠죠9. ..
'22.12.17 9:51 PM (112.159.xxx.182)우리나라는 부동산이 내려가면 안되는 구조라던데요
미국은 주식이 그렇구요
일본은 금리가 낮아도 부동산이 안오르고10. Nono
'22.12.17 9:51 PM (59.13.xxx.227)저금리의 시대가 다시 올까 싶어요
일단 올라간 금리로 몇년 쭉 이어질텐데
그 이후에는 인구가 줄고…
다주택자들
집이 짐이 되는 시대가 올수도 있다고 봅니다11. 부동산이
'22.12.17 10:05 PM (112.153.xxx.249)아파트만 있는 건 아니니까요
앞으로는 노인인구가 늘어나니
수익형 부동산 쪽으로 몰리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12. ㅡㅡ
'22.12.17 10:11 PM (211.234.xxx.211)돈 풀 일이 이제 없을까요?
양적완화 시대는 또 올거고
그럼 자산 올라가는 건 어쩔수없고
울나라 부동산은 또 오르겠죠
부동산은 심리라고 하죠?
인간의 욕망이 모인 곳, 오를 수 밖에요13. ᆢ
'22.12.17 10:12 PM (121.167.xxx.120)1인 가구가 증가 추세라 10평대 20평대는 수요가 있을것 같아요
일본도 도심에 위치 좋은 곳은 집값 비싸요14. ㅡㅡㅡㅡ
'22.12.17 10:13 PM (61.98.xxx.233) - 삭제된댓글모르지요.
15. 인구절벽
'22.12.17 10:13 PM (211.218.xxx.160)앞으로 절대로 안올거 같은데요ㅗ.
재건축등으로 공급 엄청 느는데
출산휼은 너무 낮고
집살 사람이 없겠죠.16. 근데
'22.12.17 10:14 PM (125.138.xxx.11) - 삭제된댓글30년뒤부텀 지구에서 인간의 삶 자체를 보장할수가 없어요
17. 본인
'22.12.17 10:16 PM (116.34.xxx.234)생각대로 해야지요.
사람마다 각자 생각이 다 다르니까, 누구는 부자되고 아니고 하는 거 아닐까요.18. 영통
'22.12.17 10:22 PM (124.50.xxx.206)마지막이었다고 봐요.
이번 학습효과가 너무 커요.
다시는 폭등은 없을 듯19. 앞으로
'22.12.17 10:27 PM (108.52.xxx.83)노동 시간 늘어난다는데 집에 있을 시간이 있을지
20. ..
'22.12.17 10:49 PM (211.51.xxx.77) - 삭제된댓글아무도 알수가 없어요. 금리 낮던 시절에는 고금리의 시대가 과연 올까요? 라는 의견이 많았고 이젠 은행에 돈맡기면 이자는 커녕 맡기는 비용을 내야하는 시대가 올거라는 소리도 있었죠.
21. ...
'22.12.17 10:54 PM (211.51.xxx.77)아무도 알수가 없어요. 금리 낮던 시절에는 고금리의 시대가 과연 올까요? 라는 의견이 많았고 이젠 은행에 돈맡기면 이자는 커녕 맡기는 비용을 내야하는 시대가 올거라는 소리도 있었죠.
학습효과도 별 의미가 없는게 imf때 집값왕창 떨어졌었고 노무현정부때 폭등했다 리먼사태이후로 급락해서 하우스푸어이야기 나오고 한동안인구도 줄었고 이제 부동산으로 돈버는시대는 끝났다고 그랬어요.
근데 그 이후로 폭등..그뒤로 서울집값이 40억간다 50억간다 고금리는 없을거라고 하더니,,, 결국 돌고 도는 것 같아요22. 증신
'22.12.17 11:01 PM (122.42.xxx.81)아이유 장윤정 사는곳은 점점 더 오르고 이부망천 그런곳들은 팍 내리고요
고이율이고 저공급이고 이런 연구논리 알아봤자 예측불가능이요 생물이요 욕망덩어리23. *****
'22.12.17 11:23 PM (118.36.xxx.44)돌고 돈다기에는 우리 인구 구조가 너무나도 달라져서 돌고 돌아도 그 위에 올라탈 세대가 이 번에 엄청 디기도 했고 돈이 없어서 올라타기에는 역부족.
우리 사회가 성숙해져 가면서 개인이 부동산으로 돈 벌기에는 어려워질 거 같고 리츠 형태로나 부동산 투자가 가능할 거 같아요.
이제 개인의 가처분 소득의 유무와 다소가 부를 결정할 판이네요24. 12
'22.12.17 11:40 PM (175.223.xxx.149)이제 끝. 인 것 같습니다.
25. 옵니다
'22.12.18 12:03 AM (211.250.xxx.112)토지는 생산수단의 한요소이고 유한하기 때문에 국유화되지 않는한 시세차익을 위해 거래할수 있는 중요한 자산이죠.
26. 음
'22.12.18 12:36 AM (118.235.xxx.119)코로나 시즌2가 오면
27. 구글
'22.12.18 12:43 AM (220.72.xxx.229)옵니다
이제 한민적 아니에요
다민족이죠28. cls
'22.12.18 1:03 AM (125.176.xxx.131) - 삭제된댓글옵니다 반드시
29. ...
'22.12.18 1:38 AM (221.140.xxx.205)저출산의 후유증으로 일본처럼 될 것 같아요
누가 받아 줍니까?30. 만두
'22.12.18 4:21 AM (121.6.xxx.61)너무 출산율이 낮아요. 우리도 싱가폴처럼 적극적으로 이민자 받아들여야 해요.. 고소득 전문직외노자들은 쉽게 영주권 주고 가사도우미, 건설노동자 저임금 비숙련 비자는 엄격하게 관리서 근로계약 마치면 바로 본국으로 출국하게끔 하는 엄격한 이민자 정책이요..
지금처럼 5000년 단일 민족 운운하면 답 없어요. 근데 고소득 전문직들이 이나라에 이민 올려는지 ..31. ...
'22.12.18 6:18 AM (223.62.xxx.199)안올듯. 고금리 자산가치 폭락은 다른 나라는 더 심해요
옛날엔 중국인들이 와서 샀다지만 지금 거기는 더 심하게 부동산 터지고 있는 중이고, 일본인들은 버블 터질 때 호되게 당해봐서 미국 외엔 투자 안하고 지금은 일본인들이 가난해서 남의 집 살 여력도 없죠.
유럽 미국 할 것 없이 우리랑 똑같이 부동산 내려가고 있어서 난리인데 어떤 외국인이 와서 사주나요..
Imf때는 경제를 살려서 부동산을 살렸고, 2008년엔 중국 수출로 역시 경제를 살려서 부동산을 받쳤는데 이젠 받칠 구석이 없죠. 거기다 인구는 중고.
뭐 선택은 알아서32. 오긴옵니다
'22.12.18 2:08 PM (119.71.xxx.177)시간이 걸리겠죠
지역편차가 심하고 디테일하게 공부해야만 수익볼수 있을듯해요
2014년에도 부동산 끝이라고 누가 이제 부동산으로 돈버냐고했어요33. ....
'22.12.18 2:13 PM (211.108.xxx.114)돈버는 시기라는게 딱 정해져 있으면 누구나 돈 벌죠. 자기가 가진 돈과 상황에 따라 선택하세요.
34. ..
'22.12.18 2:29 PM (223.62.xxx.152)최고점은 찍은 거 같아요
35. 볼뚱뚱이
'22.12.18 2:34 PM (112.216.xxx.98)첫댓글님, 정말 고맙습니다.
저는 용기가 없어 어디서든 차마 못하는 말을 해주셔서요.36. 역사는
'22.12.18 2:59 PM (1.233.xxx.247)반복되네요.
이런 말 시작하는거보면요37. 세상은
'22.12.18 3:31 PM (124.57.xxx.214)돌고 돌아요.
역사는 되풀이 되구요.
영원히 떨어지는 것도 없고
영원히 오르는 것도 없어요.38. 제로금리
'22.12.18 3:36 PM (59.13.xxx.218)사상 유래 없는 제로금리 시대였는데
그 시대가 다시올까요?
여러 전문가들 모두 다신 안올거고 하네요39. 인구감소
'22.12.18 3:37 PM (59.13.xxx.218)인구 감소 심각해요
서울에 도봉고 폐교 기사 났던데40. ㅎㅎ
'22.12.18 3:58 PM (118.235.xxx.30) - 삭제된댓글성장이 멈추고 온라인화 자동화로 상가도 별로 사회왔잖아요.
인구 주는 자체도 문젠데 결혼 안해. 아파트 주소비층인 애기 부부들이 적어지고 노인들만 ㅎㅎ
이런 기본 흐름만봐도41. 정말
'22.12.18 4:28 PM (116.123.xxx.191)한국은 일본 뒤따라가는게 맞는듯
잃어버린 삼십년 재현이 한국의 시작임
크게 욕심내지 말고 안분지족으루 살아내야함
일본인들처럼42. ㅎㅎㅎ
'22.12.18 4:53 PM (116.122.xxx.50)올랐다, 내렸다, 올랐다, 내렸다..계속 반복, 또 반복됩니다.
10년 전에도 이제 부동산 끝났다면서 하우스푸어 얘기가 많았죠.
상투 잡는 분들은
오를 땐 더 오를까봐 영끌해서 사고
떨어질 땐 본전 생각나서 못팔고..
평생 무주택자인 분들은
오를 땐 비싸서 안사고
떨어질 땐 더 떨어질까봐 못사고.
부자들은 반대로하니 돈 벌고...43. ....
'22.12.18 5:29 PM (175.207.xxx.227)부동산 아쉽네요
44. ...
'22.12.18 5:40 PM (59.16.xxx.66)영원한 상승도 영원한 하락도 없습니다
역사 모르세요?45. 인구가 주는데
'22.12.18 6:06 PM (112.144.xxx.120)뭔들 수요가 다 줄어들죠
46. 일본
'22.12.18 6:22 PM (223.38.xxx.36)일본은 상황이 다르죠
거기는 근본적 원인이
플라자 합의로 인한 엔화의 인위적인 가치 상승에 있었어요
우리나라 집권 4년만에 3배 올랐다 난리치는데
거기는 1년 만에 3배 올라 기록 갈아치우고
도쿄 핵심지는 10배, 우리나라 강남같은 곳은 15배 (아오야마)
그 외 기타 지방지역도 5배 이상 오른 거였거든요.
우리는 일본처럼 인위적으로 원화가 가치 상승된 적도 없고
(게다가 단 한번도 10배, 15배 오른 적이 없잖아요)
게다가 거기는 LTV 200프로까지 대출해줬어요
우리나라와는 다릅니다
일본의 폭등과는 양상이 상당히 다른데
왜 자꾸 일본 케이스를 가져다 놓는지 모르겠네요
저출산이라 일본 케이스 따라갈거라구요?
이미 저출산이 상당히 진행되어서 저성장이 노골화된 유럽은요?
유럽에서 부동산 일본처럼 30년 장기 대불황이라는 소리 들어보셨나요?
물론 거기도 사이클 따라 부동산이 오르락 내리락 하기는 하지만
일본 같지는 않아요
일본이야말로 전세계적으로 특이한 케이스인데
일본케이스만 계속 가져다가 사골 우려먹듯 우려먹어요
예를 드는 것도 다마 같은 폭락 케이스만 가져오고
지바나 사이타마 같은 곳은 폭락없이 그 가격 그대로 유지되었다는 것은
쏙 빼놓고 말을 안 합니다.
우리가 일본처럼 30년 장기불황으로 가려면
일단 강남이 일본 아오야마처럼 15배 이상 상승하고
마용성은 10배 이상
기타 지방지역도 최소 5배이상은 상승해야 가능합니다47. ㄹㄹㄹㄹ
'22.12.18 6:28 PM (125.178.xxx.53)알수없죠 부동산은 끝났다는 이야기 몇 번 들은거 같네요
48. 이젠
'22.12.18 6:29 PM (122.36.xxx.236)상급지와 가격차가 엄청 벌어질것 같아요.
영앤리치들이 상급지에 다 살고 싶어 하니까요.
모두가 다 오르는건 보다는 서울 핵심지 좋은동네 위주로 팍팍 오르겠죠
미국처럼요.
그렇게되면 정말 범접 할 수 없는 가격대가 되겠네요.
쩝49. 모르죠
'22.12.18 6:39 PM (210.2.xxx.98)민주당이 정권 잡아서
김수현 또 불러서 참여정부 시즌 3 찍을지도.50. 노노
'22.12.18 7:48 PM (175.116.xxx.138)대출금리가 1-2프로 되는 일은 다신 없을거예요
코로나 같은 전염병이 와도 안될거예요
5년이상 지난해 세계 경제가 어느정도 회복되고난후에
코로나같은 전염병이 오면 가능할지도~51. 버블
'22.12.18 8:52 PM (59.13.xxx.218)코로나 직전에도 버블이 있었어요
코로나 때문에 더 키워진거죠
imf에서 한국집값 19년도 가격에서 최하 15% 하락 전망하네요
여기에 금리인상이 더해지면 하락폭은 더 커질거랍니다.
버블은 반드시 꺼지는 법52. ...
'22.12.18 9:31 PM (115.143.xxx.196) - 삭제된댓글결혼을 해야 집이라도 사는거지 1인가구가 집을 사려는 잠재 수요는 아닐듯
53. 아마
'22.12.18 9:37 PM (124.57.xxx.214)언젠가는 아기를 공장에서 만들지도 몰라요.
나라에서 키우겠죠.
국가와 인구 유지를 위해...54. ....
'22.12.18 9:51 PM (110.13.xxx.200)상급지하고 엄청 벌어졋다가 지금 좁혀진거 아닌가요.
지금 내리는거 다 신축에 많이 올랐던 아파트나 지역들이니까요.
저희 지역도 신축만 미친듯이 오르더니 신축만 미친듯이 내리네요.
별로 안오른 단지는 많이 내릴거도 없으니..
그 간극이 많이 좁혀졌어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