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3수학과외 방식..?

둥이맘 조회수 : 1,747
작성일 : 2022-08-22 16:24:58
고3학생입니다.
성적스트레스로 고3초부터 학교를 거의 빠지다시피..
병원도 다니고..암튼 지금까지 많이 힘들어했어요ㅜ
본인도 재수를 원하고
저도 한해정도는 각오하고있는데
대뜸 수학과외를 시켜달래서 앱으로 만난 의대 여선생님께
과외받은지 2번째인데
두시간중 한시간이십분정도 아이가 문제풀고
나머지는 선생님께서 설명해주신데요.
그외는 선생님 폰만 계속 펼쳤다 접었다하신다하고..
고등수업방식이 원래이런가요?
혼자 풀게둘수도 있을꺼같긴한데 지나치게 폰을 보신다하니..
궁금해서요~~

IP : 118.38.xxx.6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고1
    '22.8.22 4:27 PM (118.32.xxx.120)

    대학생한테 과외하는데 폰 안 본대요.
    주로 문제는 집에서 숙제로 풀고 질문하고 채점하는 형식으로 수업해요.
    고3인데 폰 보는 선생님 너무 별로예요.
    전문과외로 바꾸시는게 나을듯요.

  • 2. 저는
    '22.8.22 4:33 PM (223.33.xxx.141)

    저는 타 과목인데, 풀어야 할 문제는 모두 숙제로 내 줍니다. 고3 시간이 아까워서요.
    1주일 1회짜리 수업인데 그 시간에 문제 풀려면 설명할 시간이 부족해요.
    숙제하고 채점하고 틀린 것과 어려운 문제만 추려서 압축적으로 설명해도 시간이 휙휙 가서 제 욕심만큼 많이 수업해 주지 못할 때가 많아요.

    그래서 수업 시간엔 설명 위주로 하되
    그러기 위해 학생에게 요구하는 게 많아요. 숙제하고 채점 후에
    다시 풀어 보되, 본인이 왜 모르는지
    처음에 왜 그 답을 생각했는지
    다시 볼 때 뭐부터 봐야 하는지 보이는지
    아니면 다시 봐도 모르겠는지 등등 뭘 많이 시켜요. 그 쌓인 1주일의 결론과 의문을 가지고 만나서 쫘아악 설명하고 해소해 주는 게 수업이죠.
    속도나 문제 보는 습관을 직접 보려고, 눈 앞에서 문제 풀라고 시킬 때도 있지만 (필요하지만)
    30분은 안 넘기는 것 같아요.

    그리고 다른 과목도, 그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고3은요.
    고3 과외는, 한정된 시간 안에 일 주일치 개선점을 팍팍 개선해 줘야 하는 수업이에요.



    참.
    수업 때 학생과 제 폰은 모두 무음으로 해서 책상 저쪽 끝에 치워 둡니다.
    너랑 나랑 둘 다 폰 보지 말자, 는 약속이죠. 이것도 기본이라고 생각해요.

  • 3. 55
    '22.8.22 4:54 PM (112.150.xxx.101)

    고3때랑 재수때 과외 많이 했는데 핸드폰 보는 선생님 한명도 없었어요.
    화장실갈때나 쉴때도 핸드폰을 보지 않는다고 아이가 이야기 해 줬네요.
    다만 대학생과외샘은 아니고 모두 전문과외 선생님이셨습니다

  • 4. 쉼자리
    '22.8.22 5:24 PM (175.119.xxx.88)

    지금 고3한테는 정말 황금같이 1분 1초가 아까운게 시간인데 과외를 그런 방식으로 하다니요. 학원에 다녀도 문제푸는 건 학생이 하고 채점은 따로 채점하는 선생님 계시고요. 학생이 자꾸 틀리거나 어려워하는 문제만 선생님께 묻고 따로 풀어주고 확인해주는 방식입니다. 과외 본 수업에서는 아이가 어려워하고 틀리는 문제만 정확히 짚어서 봐주셔야지요. 2시간에 그런식으로 비합리적으로 쓸거면 돈도 시간도 아깝잖아요. 숙제로 교사가 정확히 범위를 지정하고 채점도 수업시간에 하기에 시간아까우니까 채점도 부모님이 해주실 수 있다면 해주시고요. (아이들이 맡기지 않으려고 하는데 지금은 정말 시간 싸움이라서요.) 수업시간엔 칼같이 오답체크, 왜 틀렸는가 어떻게 풀어야하는 가상세한 설명만 들을 수 있게 해주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91887 "사법부는 각성하라!" 운동이라도 하고 싶네요.. 2 ㅡㅡ 2022/09/17 447
1391886 어제 나혼산 크러쉬 동네 개모임 아줌마들 13 Mmmmn 2022/09/17 9,821
1391885 로맨스 소설 작가들 돈 잘버나봐요 8 .. 2022/09/17 2,612
1391884 심장사상충 걸려보신 분 계신가요? 2 강아지 2022/09/17 1,288
1391883 시어진 쪽파김치 해소법? 13 실파 2022/09/17 2,075
1391882 가을이 얼른 왔으면 7 ㄱㄱ 2022/09/17 1,268
1391881 멘탈 강하게 다잡을수 있는 책 추천 부탁드려요 1 .... 2022/09/17 809
1391880 무쇠솥에 잡곡밥해도 괜찮을까요 1 밥맛 2022/09/17 600
1391879 46살 남편 내 나이에 누가 설거지를 해! 61 46 2022/09/17 7,818
1391878 누가 진짜 발 좀 주물러줬으면 20 2022/09/17 3,179
1391877 허리아래 엉덩이 조금 위쪽이 당기는 느낌이 들어요 3 2022/09/17 1,093
1391876 전국 최대 규모' 서울중앙지검, 700억 들여 별관 증축 7 00 2022/09/17 1,567
1391875 과민성대장증후군이 있으면 체취도 생기나요? 5 ㅇㅇ 2022/09/17 2,025
1391874 5억. 요즘 같은때엔 어디에 투자하나요? 18 재테크 2022/09/17 4,099
1391873 오늘 은근히 덥네요 15 ㅁㅁ 2022/09/17 3,011
1391872 안경 싼거해도 되려나요 12 ㅇㅇ 2022/09/17 3,131
1391871 아이침대 고르기가 너무어려워요.ㅠㅠ 20 가구고르기 2022/09/17 1,668
1391870 한살@ 콩기름 최근에 산 분 계신가요? 2 색깔 2022/09/17 904
1391869 놀이기구 못타는데 롯데월드 가도 재미있을까요?? 14 혹시 2022/09/17 1,328
1391868 저도 옷 봐주세요 33 우동조아 2022/09/17 4,089
1391867 검정롱패딩 오리털 몇개씩빠지는거 버려야할까요? 1 바닐라향기 2022/09/17 782
1391866 수시원서 접수시 자기소개서 작성방법 궁금합니다 6 가르쳐주세요.. 2022/09/17 879
1391865 이주혁샘 기소당하셨네요. . 6 인플루언서 2022/09/17 3,869
1391864 '한강뷰' 초고가 단지들은 '신고가' 행진 7 ㅇㅇ 2022/09/17 2,300
1391863 다이어트시 탄수화물 제한으로 두통올 때 11 미요이 2022/09/17 2,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