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모의고사 상위 4%면 몇 등급이에요? 13%는요?

... 조회수 : 3,339
작성일 : 2022-08-22 13:15:55
오래전 수능 세대라
1,2 등급 감이 없어요.
아직 아이도 어리고요.

감을 잡고 싶어서 여쭈어봐요.

모의고사 4%, 10%, 13% 는 몇 등급이 되는건가요~?
IP : 68.170.xxx.86
3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상위
    '22.8.22 1:16 PM (58.148.xxx.110)

    4프로 1등급 13프로2등급

  • 2. steal
    '22.8.22 1:19 PM (222.101.xxx.167)

    1등급 4프로 2등급 11프로 3등급 23로까지요

  • 3. ...
    '22.8.22 1:21 PM (68.170.xxx.86)

    생각보다 한 등급 범위가 넓네요.
    그럼 1등급이어도 1프로와 4프로가 가는 학교가 다를텐데
    왜 등급으로 묶는건가요??

  • 4. ...
    '22.8.22 1:23 PM (175.223.xxx.68) - 삭제된댓글

    모의고사 등급은 전국 응시생을 기준으로 해요. 내신 등급은 해당 학교 학생수 기준이구요.

  • 5. ㅇㅇ
    '22.8.22 1:25 PM (1.241.xxx.55)

    수시 등급으로 수능 최저 기준을 위해 있는거고
    정시는 아무 의미 없어요.

  • 6. ~~
    '22.8.22 1:25 PM (223.38.xxx.193) - 삭제된댓글

    정시의 경우 등급이 별 의미 없더라구요
    벌써 4년전이긴 하네요

  • 7. .....
    '22.8.22 1:25 PM (68.170.xxx.86)

    내신등급도 4%, 11%, 23% 동일하게 구분되나요??

    2등급이 5~11프로면 그 안에서 갈 수 있는 학교 차이가 큰데
    등급이 어떤의미가 있는지요?

  • 8. ㅇㅇ
    '22.8.22 1:27 PM (222.101.xxx.167)

    수능의 경우 등급으로 수시 최저 맞추고 정시는 표준점수가 중요해요.

  • 9. ...
    '22.8.22 1:27 PM (68.170.xxx.86)

    아 그럼 그게 다 수시를 위한 기준인거군요!!
    일단 최저 등급 기준에만 들어가면
    성적은 더이상 평가기준이 안되는 걸까요?

  • 10. 그래서
    '22.8.22 1:28 PM (223.38.xxx.193) - 삭제된댓글

    직접 입시를 경험해보기 전에는
    파악이 안돼요
    복잡다단해요

  • 11. ㅇㅇ
    '22.8.22 1:29 PM (222.101.xxx.167)

    내신도 퍼센테이지 범위 같아요. 12프로도 20로도 같은 3등급 맞고요

  • 12. 어제
    '22.8.22 1:30 PM (39.7.xxx.169)

    범위가 넓긴요. 1등급이 한 반에 한명 있기도 힘든게 현실인데...

  • 13. ....
    '22.8.22 1:30 PM (68.170.xxx.86)

    수시의 경우 그럼 최저기준만 맞으면
    더이상 성적은 평가 안하고 그 외의 것들로 평가받게 되는걸까요~~?

  • 14. ㅇㅇ
    '22.8.22 1:31 PM (203.237.xxx.14)

    내신 등급보다 수능최저 못맞춰서 탈락하는 경우가 더 많아요
    특히 지방 쪽 내신좋은학생들은 수능 최저때매 탈락하는 경우가 많아요
    수능최저가 같은 아이끼리 비교라면 내신 싸움이죠

  • 15. ㅇㅇ
    '22.8.22 1:31 PM (222.101.xxx.167)

    애 어리면 나중에 공부하세요 입시제도 바뀔거에요

    무조건 국영수 독서 중요

  • 16. ...
    '22.8.22 1:33 PM (68.170.xxx.86)

    초4인데 그때는 크게 바뀔까욤~~? ^^


    꼭 제 아이때문에 알려고 하는건 아니고
    관련 글 올라오면 이해하고 싶어서요~ ^^

  • 17. ....
    '22.8.22 1:35 PM (68.170.xxx.86)

    수능최저 내신 최저 다 맞춰야 하는군요.

    전 궁금한게 그 최저를 맞추면
    성적은 더이상 평가의 대상이 아닌건가?
    그게 너무 궁금해요

  • 18. 어제
    '22.8.22 1:38 PM (39.7.xxx.169)

    최저는 이미 내신과 생기부가 좋을때 필요한겁니다.

  • 19. .....
    '22.8.22 1:38 PM (115.136.xxx.13) - 삭제된댓글

    성적 1,2등급 이렇게 되는건 과목별이고
    한과목만 반영되는게 아니 여러과목 평균이 1.23, 2,56 이렇게 성적이 나와요
    그럼 그 점수가 더 좋은 아이가 1차를 통과하겠지요?
    물론 성적만 보는건 아닙니다. 학교생활기록부를 확인합니다.
    거기에 여러 평가가 더 좋은 아이가 높은점수를 받습니다.
    그렇게 해서 1차 통과자를 가리고요


    그 후 수능성적이 나오면 최저를 맞춘 아이만 최종합격하는겁니다.

  • 20. 덧붙여
    '22.8.22 1:39 PM (115.136.xxx.13) - 삭제된댓글

    내신최저를 맞춘다는 개념은 없습니다.

    내신이 더 낮아도(같은 학과에서는 오십보백보겠지요)
    생활기록부가 월등하면 합격하기도 합니다.

  • 21. ..
    '22.8.22 1:47 PM (39.117.xxx.82) - 삭제된댓글

    그래서 등급 안보고 백분위 보는 대학들도 있어요
    지원자들은 요강 확인하고 등급이 유리한지 백분위가 유리한지 판단해서 지원하는거고요

  • 22. ㆍㆍ
    '22.8.22 1:54 PM (115.86.xxx.36)

    5~11%가 다 2등급이면 같은 등급이어도 갭이크네요

  • 23.
    '22.8.22 2:04 PM (1.225.xxx.157)

    여기서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보니까 수시 정시 아예 개념이 없어서 이건 인터넷에서 찾아보시든 실제 사람한테 듣든 하셔야 할듯요. 단편적인 질문을 던져서 답 들어서 이해하실 수 없을겁니다. 예를 들어 내신 4%라 해도 과목별 듣는 인원수로 계산하는거라. 전교생으로 계산하는게 아닙니다.

  • 24. ...
    '22.8.22 2:04 PM (14.47.xxx.152)

    전 궁금한게 그 최저를 맞추면
    성적은 더이상 평가의 대상이 아닌건가?
    그게 너무 궁금해요
    -----------------------------------------------
    네. 수능 최저를 맞추면 성적은 더 이상 평가의 대상이 아닙니다.


    단... 수능 최저가 합격의 단 하나 기준이 아니고 여러 기준 중 하나입니다.


    일단 수시전형만 해도

    학생부 종합 전형
    교과 전형
    논술전형.

    대략 이렇게 세 전형이 있고.

    학생부 종합 전형의 경우, 생기부+내신을 기본으로 봅니다. 수능 최저는 옵션. 보는 학교도 있고, 안보는 학교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서울대 학생부 종합 전형의 경우는 1차를 수능최저 기준 없구요. 1차로 생기부+내신+자소서
    를 봅니다. 1차 통과하면? 그 다음은... 제시문 면접(수학, 과학 문제 풀이. 교수님 앞에서) 과 인성면접 (생기부와 자소서 토대로 한 면접 포함) 이 있어요.


    그리고 연세대 교과전형은 내신+생기부로 1차를 뽑고... 2차는 제시문 면접으로 뽑는 대신. 수능 최저는 적용안합니다.

    그 다음 고려대 교과전형은 내신+생기부로 1차를 뽑고, 2차는 제시문 면접도 보고, 수능최저가 적용되었지요.
    (주요과목 3과목 합 6이었습니다.)

    어때요? 이상은 2022학년 대입시 였습니다.

    저는 올해 대학 보낸 엄마고 저 많은 전형을 공부하느라 너무 힘들었어요.

    생기부 내용 채워야 하고.
    내신도 신경써야 하고.
    자소서도 써야하고
    면접 대비도 해야하고.
    수능 최저도 신경써야하고.

    상위대학을 수시로 보내려면 정말 고등 3학년과 마지막 입시철을 정말 힘들게 보냈죠.

    수시까지는 이렇게 복잡하구요.

    정시는 위 댓글에서 말씀하신대로 등급은 중요하지 않고..각 과목 표준 점수가 중요합니다.
    수시는 수능 외에도 합격 여부를 가르는 기준이 여러가지라 등급을 위주로 보지만
    정시는 정말 수능 점수로만 합불합을 가르는지라... 1점 차도 큰 영향이죠.
    단...정시에서도 중요과목 가중치를 둡니다.
    공대면,.. 수학 미적분 선택시.. 과탐인 경우 물리 선택시... 뭐 그런 자잘한 규정이 또 있답니다.


    그리고 앞서 말한 제가 말한 수시 전형은 해마다 조건이 학교에 의해 바뀝니다.

    코로나 기간에는 수능 최저가 좀 느슨해지구요. (교육청에서 아이들 학습환경이 열악했던 걸 참고한거죠)

    올해의 경우는 작년 문과들이 수학 과목에서 이과보다 불리했다 해서

    문과 수능 최저를 낮춘다고 하더군요..

  • 25. ㅎㅎ
    '22.8.22 2:07 PM (39.117.xxx.138)

    등급으로 최저 기준 맞추어야 지원원서를 검토한다는 말이에요. 즉 1차관문 통과 의미랍니다.
    그 안에서 다시 내신,자소서,수능성적 등등 각 학교마다의 기준으로 지원자 추리는 거죠.
    성적은 높을수록 유리하고 최저기준도 높을 수록 경쟁자가 줄어드니 최저허들 넘은 아이들이 유리
    이해하셨죠?^^

  • 26. 검색좀 하지
    '22.8.22 2:13 PM (14.32.xxx.215)

    다 답변해주시는 님들 너무 착하시다 ㅜ

  • 27. 수시
    '22.8.22 2:15 PM (119.71.xxx.98)

    정시는 등급이 전혀 의미가 없고 수시에서 수능등급은 최저를 맞췄는지만 봐서 등급 그 자체만 봅니다.
    내신에서 등급은 1등급 4%, 2등급 11%, 3등급 23%... 이렇게 나가는데 과목을별 등급을 과목 시수로 곱해서 총 시수로 나누다보면 전과목 다 올1등급을 맞는 경우말곤 딱 떨어지는 등급이 나오기 어렵습니다.
    1.02, 1.12, 1.35, 1.67, 1.98.. 같은 1점대 성적이라도 1.02와 1.98은 수시 지원하는 대학과 합격률 차이가 큽니다.

  • 28. .....
    '22.8.22 2:18 PM (68.170.xxx.86)

    너무 감사합니다~~~
    이제 이해가 되고
    검색을 하더라도 어떻게 검색을 해야할 지 알거 같아요!!!

    모두 복 받으세요~~

  • 29. 검색은
    '22.8.22 2:18 PM (211.58.xxx.161)

    어케하면될까유
    답답한데 애크면 자연스럽게 알게되남ㅇㄷᆢ

  • 30. .....
    '22.8.22 2:19 PM (222.99.xxx.169)

    아이가 초4면 몰라도 되고 지금 여기서 아무리 자세 설명해봐야 확실히 알수도 없습니다. 어차피 얼마 지나면 다 잊어버릴거구요.
    아이가 중2쯤 됐을때 알아보면 되고 그것도 고등가봐야 그말이 이말이었구나 하고 감이 옵니다.
    여기서 최저가 어떻고 내신 몇점대가 어떻고 면접이 어떻고 해봐야 전혀 감이 안오는게 정상이세요

  • 31. ..
    '22.8.22 2:28 PM (39.117.xxx.82) - 삭제된댓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32. ....
    '22.8.22 3:13 PM (68.170.xxx.86)

    14.47 님 덕에 많은 이해를 하게 됐어요~~

  • 33. ...
    '22.8.22 10:24 PM (1.243.xxx.172)

    지금 초4면 고교학점제 시행 대상일듯요.
    그때 가서 공부하시면 될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91882 가을이 얼른 왔으면 7 ㄱㄱ 2022/09/17 1,268
1391881 멘탈 강하게 다잡을수 있는 책 추천 부탁드려요 1 .... 2022/09/17 809
1391880 무쇠솥에 잡곡밥해도 괜찮을까요 1 밥맛 2022/09/17 600
1391879 46살 남편 내 나이에 누가 설거지를 해! 61 46 2022/09/17 7,818
1391878 누가 진짜 발 좀 주물러줬으면 20 2022/09/17 3,179
1391877 허리아래 엉덩이 조금 위쪽이 당기는 느낌이 들어요 3 2022/09/17 1,093
1391876 전국 최대 규모' 서울중앙지검, 700억 들여 별관 증축 7 00 2022/09/17 1,567
1391875 과민성대장증후군이 있으면 체취도 생기나요? 5 ㅇㅇ 2022/09/17 2,025
1391874 5억. 요즘 같은때엔 어디에 투자하나요? 18 재테크 2022/09/17 4,099
1391873 오늘 은근히 덥네요 15 ㅁㅁ 2022/09/17 3,011
1391872 안경 싼거해도 되려나요 12 ㅇㅇ 2022/09/17 3,131
1391871 아이침대 고르기가 너무어려워요.ㅠㅠ 20 가구고르기 2022/09/17 1,668
1391870 한살@ 콩기름 최근에 산 분 계신가요? 2 색깔 2022/09/17 904
1391869 놀이기구 못타는데 롯데월드 가도 재미있을까요?? 14 혹시 2022/09/17 1,328
1391868 저도 옷 봐주세요 33 우동조아 2022/09/17 4,089
1391867 검정롱패딩 오리털 몇개씩빠지는거 버려야할까요? 1 바닐라향기 2022/09/17 782
1391866 수시원서 접수시 자기소개서 작성방법 궁금합니다 6 가르쳐주세요.. 2022/09/17 879
1391865 이주혁샘 기소당하셨네요. . 6 인플루언서 2022/09/17 3,869
1391864 '한강뷰' 초고가 단지들은 '신고가' 행진 7 ㅇㅇ 2022/09/17 2,300
1391863 다이어트시 탄수화물 제한으로 두통올 때 11 미요이 2022/09/17 2,655
1391862 고등아이 답지 보고 베껴요 7 ㄴㅌ 2022/09/17 1,664
1391861 국악한마당보세요 3 .. 2022/09/17 1,136
1391860 60되니 확 늙네요 다른분들 어떠세요 18 ... 2022/09/17 6,094
1391859 영빈관 철회..청와대 관광상품화비는 460억 책정 5 2022/09/17 1,380
1391858 허리통증 있을땐 무조건 움직임을 자제해야하나요? 9 .... 2022/09/17 1,8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