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음식물쓰레기처리기 불편해요

... 조회수 : 4,614
작성일 : 2021-01-17 03:00:46
친정집에 음식물처리기 있는뎌
저는 사용이 불편해요
미생물로 음식물쓰레기 투입하면 일정시간지나면 흙색의 거름?
상태 되고 이걸 다시퍼서 화분 나무 산에 뿌리면 된다하던데요

엄청난양을감당할 화분나무 토지가 주변에 있는것도
아니고 버리는거 일입니다
전에는 나들이 가실때 차에갖고 가서 버리시는듯 하는대요
코로나로 나갈일이 없으니 포대자루에 거름?쌓이는거보니
답답합니다
음식물쓰레기봉투에 음쓰 버리면 가져라도 가죠
처지곤란해요ㅜ

음쓰 길면 처리기 회전축을 감아서 작동에 방해되니
잘게 잘라서 처리기에 넣는거 손이 한번 더 가니 귀찮습니다


차라리 식물의 껍질뿌리등 음식물쓰레기 믹서에 갈듯이 잘게 갈아서 물기빼서 음식물쓰레기 봉투에 버렸으면 펀하겠다싶습니다

큰돈?들여 장만하셔서 엄마도 불편해도 못 버리시네요ㅜ.

IP : 58.127.xxx.137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1.1.17 3:13 AM (117.111.xxx.147)

    거름처럼 모인거 한번씩 음식물쓰레기 봉투에 버리면 안되나요
    양도 적을테고 냄새도 없을거잖아요

  • 2. ㅇㅇㅇ
    '21.1.17 3:41 AM (121.127.xxx.178)

    동뭍이 먹을수 없는것은
    음식물 쓰레기로 못버려요.
    종량제 쓰레기봉투에는
    안될까요?
    그렇잖아도 그런 제품을 눈여겨
    보고있는 중인데.

  • 3.
    '21.1.17 3:59 AM (183.96.xxx.167) - 삭제된댓글

    이런 단점이 있었군요
    귀찮은건 딱 질색

  • 4. 그거
    '21.1.17 5:21 AM (188.149.xxx.254)

    아파트 화단에 고이고이 조금씩 뿌려주면 좋을지도...안되나...비료인데.

  • 5. 쓰고 있는데
    '21.1.17 5:50 AM (122.36.xxx.234) - 삭제된댓글

    어차피 가정용으로 정해진 크기의 기계에서 나오는 양이 데 그렇게 '엄청난 양'은 아니지 않나요? 저는 3,4달에 한 번 정도 흙이 눈금 가까이 찼을 때 일부만 퍼내서 손바닥만한 텃밭에 버리거나(흙에 섞어서 뿌리면 퇴비 기능) 요즘처럼 농사 안 짓는 겨울엔 일반쓰레기 봉투에 담아서 버려요. 양이 많으면 퍼내는 간격을 좀 더 자주 두면 되고요. 눈금이 덮일 때까지 두니까 흙의 무게 때문인지 교반기 돌아가는 게 버거워 보여서 눈금보다 좀 덜 찼을 때 비워요.
    다른 편리성에 비하면 채소껍질류를 잘라 넣는 것 정도는 감수할 만해서 저흰 반려동물 키우듯 챙겨요. 저는 친환경적이고 너무 편리해서 주변에 추천하는 가전입니다.

  • 6. 쓰고 있는데
    '21.1.17 5:54 AM (122.36.xxx.234)

    어차피 가정용으로 정해진 크기의 기계에서 나오는 양이고 전부 퍼내는 것도 아니니까 그게 그렇게 '엄청난 양'은 아니지 않나요? 저는 3,4달에 한 번 정도 흙이 눈금에 조금
    덜 찼을 때 일부만 퍼내서 손바닥만한 텃밭에 버리거나(흙에 섞어서 뿌리면 퇴비 기능) 요즘처럼 농사 안 짓는 겨울엔 일반쓰레기 봉투에 담아서 버려요. 양이 많으면 퍼내는 간격을 좀 더 자주 두면 되고요. 눈금이 덮일 때까지 두니까 흙의 무게 때문인지 교반기 돌아가는 게 버거워 보여서 눈금보다 좀 덜 찼을 때 비워요.
    다른 편리성에 비하면 채소껍질류를 잘라 넣는 것 정도는 감수할 만해서 저흰 반려동물 키우듯 챙겨요. 저는 친환경적이고 너무 편리해서 주변에 추천하는 가전입니다.
    참, 윗님. 그 흙이 발효되면서 특유의 향이 나기 때문에 사람들 다니는 아파트 화단에 뿌리는 건 비추예요.

  • 7. 생각좀해보자고요.
    '21.1.17 7:23 AM (211.212.xxx.185)

    비닐봉투 꼭 묶은 종량제쓰레기 모여 있는 곳에 버리는것과 음식썩은내 풀플 나고 더러운 국물 흥건한 음식물쓰레기들 모여있는 곳에 버리는 것 둘중 어떤게 더 불편한가요?
    불결하고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음식물쓰레기를 단순히 무게와 부피감소 뿐만 아니라 퇴비로 만들어 토양개선효과까지 말그대로 자원재활용이란 의미에선 획기적인거 아닌가요?
    70만원이란 가격이 부담스러워 망설이고있지만 가격만 2,30만원대로 그리고 미생물만 향후 영구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면 저는 주저않고 살겁니다.

  • 8. 미적미적
    '21.1.17 7:47 AM (203.90.xxx.146)

    나들이가서 음식쓰래기를 버리셨다고요? 불법쓰레기 투기아닌가요? 푸대자루에 음식쓰래기가 쌓인다고요? 식당이신가요?
    음식쓰레기 갈아서 버리는것도 실은 위법장치예요 하수에 유기물이 과도하게 들어가요

  • 9. 윗분
    '21.1.17 8:04 AM (58.127.xxx.137)

    음식쓰레기 갈아서 음식쓰레기봉투에 버리고 싶다고
    본문에 썼어요

    푸대자루에 퇴비?가 쌓이니 싫다고 했어요
    음식쓰레기면 봉투에 버리면 되는데요

  • 10.
    '21.1.17 8:14 AM (125.176.xxx.57) - 삭제된댓글

    종량제봉투에 버리시면 됩니다
    설마 돈아까워 푸대자루에 모으시는거?

  • 11. ... ..
    '21.1.17 8:24 AM (125.132.xxx.105)

    그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넣으면 싹 사라져야 하나요?
    어떤 식으로라도 건조, 축소된 쓰레기는 처리해야죠.
    그만큼 편리해진 거에요. 작은 기계에 너무 많은 걸 기대하네요.

  • 12. 모모
    '21.1.17 9:19 AM (180.68.xxx.34)

    전 이글이 이해가 안가네요
    음식쓰레기넣어 건조되어 나오면
    종량제봉투에 털어 넣으면 되는데
    푸대자루에 왜 모으나요?
    가정집이라 건조되면 양도 쪼끔일텐데
    그때그때 종량제봉투에 털어버리면
    너무 간편한데 ᆢ

  • 13. 모모
    '21.1.17 9:22 AM (180.68.xxx.34)

    더러운 물뚝뚝흐르는 음식쓰레기
    매일 버리러 일층까지 내려가는
    수고하는것도아니고
    바로 그자리에서 처리할수있는데
    왜 힘들까요?

  • 14. ㅇㅇ
    '21.1.17 9:27 AM (175.207.xxx.116)

    일반쓰레기 종량봉투에 담아버리세요

  • 15. ...
    '21.1.17 9:28 AM (218.49.xxx.88) - 삭제된댓글

    근데 나이드신분들은 쓰레기봉투 사는걸 진짜 아까워하드라구요.
    남의집 봉투에 쑤셔넣고 난리도 아님.
    밖에 버릴수 있는 옵션이 있는데 그걸 종량제봉투에 버릴 생각을 못하죠.

  • 16. oo
    '21.1.17 9:48 AM (61.254.xxx.91) - 삭제된댓글

    음식물 쓰레기의
    염분이 제거 덜 되면
    식물 고사시키지 않나요?

  • 17. 괜찮나봐요
    '21.1.17 10:04 AM (211.36.xxx.38)

    저의 엄마는 텃밭에 농사를 지으시는데요, 음식물쓰레기를 밭에 가져가서 버리세요. 자전거 타고 가서요. 염분때문에 안될거 같은데 아닌가봐요.

  • 18. ,,,
    '21.1.17 10:22 AM (121.167.xxx.120)

    구입 망설이는게 가격 70만원도 부담이고 구입해도 쓰레기 넣고
    나중에 건조된 쓰레기 버리고. 미생물도 신경 써야 하고
    그냥 운동삼아 들고 나가거나 외출할일 있을때 비닐장갑 끼고
    버리는게 아직은 더 나은것 같아 구입을 미루고 있어요.

  • 19. ???
    '21.1.17 10:34 AM (203.142.xxx.12)

    뭔 말인지 이해 불가네요
    건조된 찌꺼기는 종량제 봉투에 그때그때
    버리면 그만인데 그걸 푸데자루에 왜 모으나요?

  • 20. 엄청 편한데
    '21.1.17 10:39 PM (182.221.xxx.183)

    그거 일정 수준 차면 종량제 봉투에 버리는 거 예요. 함부로 산이나 화단에 버리면 안됩니다. 내 산이면 모를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6196 부동산이야기 7 ( 헉 강남이 이렇게나 떨어졌다고?) 일곱번째 18:29:57 29
1756195 조희대 한덕수 서로 입 맞줬네요 구라쟁이들 18:29:15 76
1756194 여자는 늙어도 이쁘면 시집 갈 확률이 높나봐요 6 ,,, 18:24:37 337
1756193 집에 차 없애보신 분? 9 @@ 18:20:51 241
1756192 퇴근하며 옆자리 동료에게 인사 안하고 가는것 4 흐앙 18:20:39 219
1756191 조희대 대법원장 "대통령 공직선거법 사건 처리, 외부와.. 10 sjanje.. 18:16:39 793
1756190 3여대 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4 ..... 18:14:54 300
1756189 여러분이라면? 안과 2 흠ᆢ 18:13:30 209
1756188 아이들 밥 차려주기가 왜이리 싫죠? 6 .. 18:13:22 399
1756187 상의해 보겠다고 하고 답이 없으면 대출 알아보는 중일까요? 1 ... 18:13:13 155
1756186 'KT 소액결제' 사건 40대 중국교포 용의자 2명 검거 ㅇㅇ 18:12:45 216
1756185 양념깻잎을 만들었는데 짜요ㅠㅠ 1 ㅠㅠ 18:10:51 188
1756184 펌) 조희대 깔끔 정리 글 8 .. 18:08:12 1,223
1756183 남해 독일마을 빵집 빵순이 18:07:15 357
1756182 쿠팡에서 산 영양제와 안약 1 ... 18:04:19 301
1756181 명절때 친정안가려는 남편, 여러 핑계거리 21 18:03:27 873
1756180 윤미향 "기부금 횡령은 정치적 프레임, 시민운동가의 길.. 15 .. 18:00:52 411
1756179 조국 "'이재명 제거' 대법 전원합의체 판결, 특검 필.. 11 화이팅 17:59:37 896
1756178 미역 사고 싶은데 아주 부드러운미역 6 빗소리 17:57:02 313
1756177 갑자기 부동산ㆍ주식돈번얘기 왜?올라오나요? 18 자랑하려고?.. 17:56:48 670
1756176 부동산 이야기 6( 눈물만 흐르던 그 시절) 3 여섯번째 이.. 17:55:03 427
1756175 백화점이 비싸도 응대가 고맙게 느껴진 경우.. 백화점 17:54:27 397
1756174 중국인들 가짜 위안화쓰고 먹튀 9 ㅁㅁ 17:54:09 534
1756173 저녁메뉴추천 부탁요 5 비비비 17:52:20 335
1756172 카드사에서 보낸 문자 소비쿠폰안내 4 ... 17:51:39 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