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영어가 거의 한두개 틀리고 다 맞네요
고3때는 이정도 아닌었는데
전공이 국문학도 아니고 영문학도 아니고
겨우 3학기정도 영어독해 강의 들었을뿐
리포트를 쓰고 책읽고 했던게
이렇게까지 큰 차이를 만들어내나요?
넘신기하더라구요
대학교육이 꼭 의미가 없는거 만은 아니네요
국어 영어가 거의 한두개 틀리고 다 맞네요
고3때는 이정도 아닌었는데
전공이 국문학도 아니고 영문학도 아니고
겨우 3학기정도 영어독해 강의 들었을뿐
리포트를 쓰고 책읽고 했던게
이렇게까지 큰 차이를 만들어내나요?
넘신기하더라구요
대학교육이 꼭 의미가 없는거 만은 아니네요
대학교육이 왜 의미없나요. 친구아들도 대학 한학기듣고 반수했더니 면접할때 일단 도움이 많이 되었다고 같은과 다른학교 면접이니 더 그런거였겠지만.. 지거국에서 반수로 ky 갔어요. 수시로..1점대 내신이었는데 현역땐 면접다 떨어짐
공부로만 받아들이던 고등때와는 달리 사회생활 하면서 이해도가 다른거같아요
제 아이는 국어 비문학같은 경우 그렇다고하네요
현역땐 잘 이해못해서 외웠던것들이 자연스럽게 이해된다고
영어는 대학가서도 계속 하니 실력유지되는거같구요
집에서 쳐서 그래요. 수험생도 아니고. 수능이 그날 컨디션도 많이 작용하거든요
제가 고3때 인서울 중급 대학
갔었는데...4학기 후
수능을 봤는데....1.5%안에
들더라구요. 고등학교 교육에
문제가 있는 것 같아요.
수능시험문제가 좋다고 하더군요. 따로 암기하지 않아도 머리가 굵어지고 이해력이 좋아지면 감으로 잘 풀게 된다고요. 그게 바로 학습능력 아니겠습니까
인생을 낭비하는 아이들과 재수.삼수 장려하는
사회분위기 참 안타까워요. 수능은 딱 고등 3년의 학교교육을 종합 평가하는 시험일 뿐인데...
학교교육을 등한시 하고 오로지 수능만 붙들고 있는 아이들도 그렇고 그걸 조장하는 사교육 관련자들도 그렇고... 그냥 사회적 낭비일 뿐입니다.
집에서 풀어서 그런거 맞구
대학공부하다 풀어서 그런거 맞는듯요
우리딸도 대학다니더니
그땐 그게 왜그리 어렵게 느껴졌나몰라
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