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소창, 무명, 광목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궁금 조회수 : 5,624
작성일 : 2019-07-20 04:49:41
소창, 무명, 광목의 차이점이 궁금하네요.그리고 아무런 표시가 없는 천이 있는데 면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IP : 174.1.xxx.23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가 써본봐로는
    '19.7.20 5:39 AM (211.227.xxx.165)

    소창은 기저귀감
    광목은 예전에 수놓고 앞치마정도? 만들던 얇은흰천
    무명은 상당히 성긴느낌과 두툼ㆍ튼튼해서 수놓아
    방석ㆍ행주 정도 만들어봤어요

  • 2. .그게요
    '19.7.20 6:34 AM (211.36.xxx.115) - 삭제된댓글

    세가지 다 면이고요.
    직조방법 차이 정도
    소창은 아주 성글게 짠 면이예요.
    거기까지만 아는데 왜 누런물이 나오는건지는 잘모르겠어요.
    무명은 전통의 원단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옛날에 조상님 들이 솜을 물레로 돌려
    실을 뽑아 직기로 짜서 쓰던거죠.
    실굵기가 일정하기 힘들겠죠?
    그러다보니 매끄럽기보다 조직감이 있죠
    하지만 근래엔 진짜 무명은 비싸고 거의 없고 무명을 흉내내서 기계로 짠 무명이 대부분이죠
    무명은 조직감이 느껴져요.
    광목에 비해 두툼하지만 꼭 그런것도 아닌것이 실 굵기와 밀도에 따라 두께가 달라요
    저밀도 고밀도 10수 16수 20수
    광목은 일정한 굵기의 실로 가로세로 단순 반복해서 짠 평직방식으로 짠 원단
    무명이 현대화 됐다고 보시면 됩니다.
    실굵기도 일정하고요.
    60수가 아사 10수가 캔버스라고 보시면 돼요.


    광목이랑 무명은 실에 따라서 두께가 달라지는데
    60수 광목을 아사천이라고 보시면되고 10수는 캔버스천 으로 보시면 돼요

  • 3. 그게요.
    '19.7.20 6:39 AM (211.36.xxx.115) - 삭제된댓글

    세가지 다 면이고요.
    직조방법 차이 정도
    소창은 아주 성글게 짠 면이예요.
    거기까지만 아는데 왜 누런물이 나오는건지는 잘모르겠어요.
    무명은 전통의 원단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옛날에 조상님 들이 솜을 물레로 돌려
    실을 뽑아 직기로 짜서 쓰던거죠.
    실굵기가 일정하기 힘들겠죠?
    그러다보니 매끄럽기보다 조직감이 있죠
    하지만 근래엔 진짜 무명은 비싸고 거의 없고 무명을 흉내내서 기계로 짠 무명이 대부분이죠
    무명은 조직감이 느껴져요.
    광목에 비해 두툼하지만 꼭 그런것도 아닌것이 실 굵기와 밀도에 따라 두께가 달라요
    저밀도 고밀도 10수 16수 20수
    광목은 일정한 굵기의 실로 가로세로 단순 반복해서 짠 평직방식으로 짠 원단
    무명이 현대화 됐다고 보시면 됩니다.
    실굵기도 일정하고요.
    60수가 아사 10수가 캔버스라고 보시면 돼요.

  • 4.
    '19.7.20 7:56 AM (116.36.xxx.22) - 삭제된댓글

    면인지 알려면 태워보면 알아요
    태우면 재가 날라다니고 문드러져 없어지지만 화학섬유는 딱딱해지고 냄새가 지독해요
    그라고 모는 머리카락 타는 냄새가 나구요

  • 5. ..
    '19.7.20 10:03 AM (222.237.xxx.88)

    셋 다 순면이라는 공통점이 있고요.
    짜는 실의 굵기, 표백유무, 조직의 치밀성이 그 차이지요.

    소창은 기저귀나 행주감을 떠올리시길 바라요.
    면 방적사가 평직으로 성글게 짜여 있는 면직물이다.
    일반적으로 정련, 표백하여 흰색으로 사용한다.
    무명은 가늘고 정련이 잘된 면사로 촘촘하게 짜
    매끄러운 천이다.
    면 자수를 놓을때 보통 무명에 놓지요.
    광목은 형광, 표백등의 처리를 하지 않은 자연가공한 원단입니다. 목화에서 실을 뽑아 베를 짠 후 삶는 작업을 반복한 원단 입니다. 엷은 누런색을 띄는 것이 특징입니다.

  • 6.
    '19.7.20 3:28 PM (174.1.xxx.236)

    감사해요.

  • 7. ...
    '22.6.5 1:21 PM (1.240.xxx.179)

    소창, 무명, 광목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0659 장례에 남편부부동반 질문이요 경조사 01:12:26 53
1740658 단골 카페 아는체 하면 부담스럽나요? 10 혹시 01:08:02 166
1740657 신축 아파트 벽 갈라진거요 1 01:06:31 142
1740656 김건희 모조품 ㅡ 일부러 짭을 인척네집에 숨겨 놓았을 수도 있죠.. 1 ㅇㅇㅇ 01:03:38 299
1740655 경희대 중간 공대와 한양대 높은 공대 9 차이 00:57:15 237
1740654 한심한 인간 5 한심 00:41:01 567
1740653 세계에서 가장 빠른 21주만에 태어난 아이 ㅇㅇㅇ 00:39:59 418
1740652 최강욱 - 아버님을 푸른 나무 아래 잘 모셨습니다 ... 00:35:42 457
1740651 저녁에 만든 스파게티 상할까요? 3 ㆍㆍ 00:24:05 372
1740650 도와주세요 우버 카드등록!!! ........ 00:12:32 192
1740649 시어머니 요양병원 계시니 자식들이 빈집에 더 자주 가네요 7 마지막주 00:09:56 1,985
1740648 네이버페이 줍줍 ........ 00:09:52 327
1740647 성인아들 독립 2 결정 00:08:40 727
1740646 SPC가 대통령이 나설 '수준'의 일이 아니라는 사람에게 12 800 00:06:05 1,169
1740645 농협·신협·새마을금고 비과세 혜택 단계적 축소 4 ... 00:02:51 709
1740644 파프리카 한박스 들어왔는데 4 ㅇㅇ 00:02:00 542
1740643 연예인 요리 진짜 잘 하는걸까요? 1 차*련 00:00:23 689
1740642 말티푸를 가족으로 맞이했어요 12 ㅎㅎ 2025/07/27 1,121
1740641 '양양·여성 비하 발언' 논란 김성수 부산 해운대구청장 사과 3 둥둥 2025/07/27 652
1740640 9월 초 베트남여행 괜찮은 시기인가요.  2 .. 2025/07/27 344
1740639 김보라라는 배우 이쁘네요 1 ........ 2025/07/27 1,512
1740638 80대운전자가 단독주택 돌진해 10대사망 21 .. 2025/07/27 3,133
1740637 이런 카페 수요 없을까요? 5 ........ 2025/07/27 1,053
1740636 딸돈은 안아까운 친정모 1 딸돈 2025/07/27 1,442
1740635 발레 영상이 떠서 봤는데.. 2 .. 2025/07/27 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