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65인치 티비 삼성 vs lg 선택 팁 주세요

결정장애 조회수 : 13,010
작성일 : 2019-01-26 09:07:46
두 브랜드가 화면 구현방식이 다르더라구요..
삼성은 qled이고 lg는 oled이구요..
보고 있는 두 브랜드의 모델이 가격차이가 lg가 70정도 비싼데
음량은 삼성이 40w lg가 20w에요.
화질은 oled가 좋은가요?
번인현상이 있다고도 하고...
가전은 늘 lg라 생각하는지라 송출 음랑과 가격이 불리해도 어쩐지 끌리네요.
한편 삼성꺼 사면 차액으로 공기청정기 한대 들일수 있겠다 싶구요.
고민이 넘 길어지네요ㅜㅜ
티비 구입에 대한 조언 부탁드려요~~
IP : 223.38.xxx.114
6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9.1.26 9:14 AM (221.138.xxx.20)

    마트 오픈기념으로 삼성과 엘지 65인치가 백만원차이였는데 며칠 고민하다 엘지 올레드로 샀어요. 6개월 할부로 했는데 괜히 찔려서인지? 볼 때마다 잘 샀다고 한마디씩해요. ㅎ

  • 2. ...
    '19.1.26 9:17 AM (14.43.xxx.51) - 삭제된댓글

    oled가 더 윗단계라고 알고있어요.
    예전 파브한번 샀다가 다시는 삼성가전은 사지 안ㄹ으리.....

  • 3.
    '19.1.26 9:17 AM (49.167.xxx.131)

    Ig에 한표요

  • 4. 가전은
    '19.1.26 9:17 AM (58.148.xxx.66)

    엘지인데 TV만큼은 삼성이라고 생각합니다.
    다 비교해놓으시고~^^

  • 5. 소미
    '19.1.26 9:17 AM (223.38.xxx.114)

    화면 선명하고 음랑 실감나는 정도면 저는 좋을듯해요.
    요새 티비에 너무 많은 기능들이 있는데 잘 활용안하거든요.
    유튜브 연결,넷플릭스 정도 봅니다.
    다른 기능들은 솔직히
    어떻게 쓰면 편리한지도 잘 모르겠더라구요ㅎㅎ
    스마트 tv가 인공지능 있는거 말하는거죠?

  • 6. ..
    '19.1.26 9:18 AM (219.250.xxx.161)

    번인현상이 심하지는 않겠지만 엘지가 있을꺼예요
    화질차이는 제가 느끼지 못할정도로 양쪽 비슷했어요
    저는 지금 qled 샀는데 담에는 LG꺼 사고 싶어요
    남편때문에 삼성꺼 샀어요

  • 7. 당연
    '19.1.26 9:19 AM (211.176.xxx.157) - 삭제된댓글

    전자제품은 월등히 LG가 좋습니다.
    as받을 일이 거의 없어요~

  • 8. 어차피
    '19.1.26 9:20 AM (221.140.xxx.139)

    82에선 뭘 물어도 엘지일텐데요.

    티비 화질은 oled qled가 완전 컨셉이 달라요.
    어쩌니저쩌니 해도 oled 번인 무시할 수준 아니고.
    -삼성에서 oled 더 까고 싶어도 휴대폰 때문에 못 까는 웃픈 현실. 휴대폰 번인 어쩔꺼냐.

    그리고 스마트 기능, 지금은 그닥.. 싶으시겠지만 있고 없고는 천지 차이에요. 앞으로 iot 점점 확대될텐데.

  • 9. 나마야
    '19.1.26 9:21 AM (122.35.xxx.26)

    qled랑 oled랑은 비교레벨이 아니예요
    qled는 led업그레이드예요

  • 10. lg
    '19.1.26 9:24 AM (180.68.xxx.136) - 삭제된댓글

    이틀전에 lg oled 65인치 주문한거 배송 와서
    보고 있는데 화질이 예술.
    대만족이에요.

  • 11. ...
    '19.1.26 9:28 AM (125.134.xxx.228)

    저도 티비 사야하는데
    다나와에서 가격비교로 사시나요?
    삼성가전 사고 싶지 않지만
    70만원이나 싸다니 혹하네요.

  • 12. ..
    '19.1.26 9:30 AM (110.12.xxx.137)

    6년전에 32인치 삼성 엘지 같은날 샀은데
    엘지가 화면고장나서 유맥스43인치 245000원에
    샀어요
    화질 대박좋네요
    중소기업 짱

  • 13. ㅇㅇ
    '19.1.26 9:32 AM (212.103.xxx.245) - 삭제된댓글

    일단 돈 문제도 있으니까, 원글한테는 삼성tv와 공기청정기가 더 나을듯 하네요.
    음량은 사운드바로 커버 가능하고, 스마트 기능 있어봐야 잘 사용하지도 않을 거 같고, 그 스마트 기능도 셋톱박스나 아니면 조금만 알면 앱 등으로 일정 정도 커버 가능합니다.
    qled는 led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lcd 업그레이드이고, 기술적인 건 설명해봤자 못알아들을테고요.

  • 14. 나라면
    '19.1.26 9:33 AM (115.143.xxx.140)

    75인치..
    LG UHD 4K 75인치 직구로 샀어요. 번인현상 모르겠던데.. 넷플릭스 유튜브 보는데 환상이고요. lg 음질 좋은데 5채널 스피커 연결해서 넷플릭스 보면 더 좋죠..ㅋ

    유튜브로 공연실황 보면 황홀하고..

    전자제품은 뽑기에요. LG는 고장안난다는건 말도 안됍니다.

  • 15.
    '19.1.26 9:36 AM (58.148.xxx.66)

    그니까
    첫째 oled를 살것인가 아닌가를 결정한다
    oled살꺼면 돈더주고 엘지~
    아니면 삼성이 무난한 초이스~

  • 16. Lg추천
    '19.1.26 9:39 AM (121.123.xxx.178)

    Lcd 나왔을때 삼성으로 샀는데
    6~7년 사이에 3대중 2대가 하루차로 고장났어요
    하나는 화면은 안뜨고 소리는 들리고
    하나는 화면은 나오는데 음향이 안되고
    As불렀더니 부품이 없어서 수리가 안된대요
    그래서 우리 티비것 이용하면 한대는 살릴수 있잖냐? 했더니 안된대서
    Lg로 두대다 바꿨어요
    티비는 삼성이라해서
    다른가전 다 lg인데 티비만 삼성샀는데
    것도 개뻥같아요
    진공티비는 고장좀 나라나라 해도 질겨서
    잘나오는 티비 lcd로 바꿨었는데
    다시 lg로 돌아갔어요

  • 17. 저와 주변은
    '19.1.26 9:45 AM (119.197.xxx.183)

    삼성 산 사람들은 화면에 줄이 쫙 갔는데 엘지는 그런 사람 없더라구요
    요즘 티비는 다른지 모르겠지만 저는 엘지 살거에요

  • 18. ......
    '19.1.26 9:46 AM (223.62.xxx.146) - 삭제된댓글

    엘지 써보면 압니다. 삼성이 얼마나 좋은지를.
    엘지 사서 1년이나 1년반마다 수십만원씩 수리비 지불하며 티비 보실 여유 있으시면 사도되요
    그리고 필시 두메이커중 동급사양으로 따저보시고 선택하세요.

  • 19. ..
    '19.1.26 9:49 AM (218.237.xxx.210)

    Tv는 삼성이에요 화질이 동생네 lg보다 우리집 삼성꺼가 훨 좋아요

  • 20. 코코리
    '19.1.26 9:54 AM (58.228.xxx.60)

    삼성을 좋아하진않지만 46인치 12년전에사서
    사정상 다섯번을 이사다니는바람에 붙이고 떼고를했는데도
    얼마나 잘나오는지ㅠㅠ
    이번에바꾸면 80인치바꾸려 작년부터눈독들이고있는데
    당최 고장이 안나요

  • 21. Lg삼성떠나서
    '19.1.26 9:55 AM (182.222.xxx.106)

    집에 tv전문가 있어요 물어보니 당연히 oled래요
    제생각에도 뭐든지 비싼 삼성이 70만원이나 싼 건 이유가 있다

  • 22. .....
    '19.1.26 9:56 AM (182.229.xxx.26)

    Qled는 lcd 에 퀀텀닷이라고 초선명하게 색을 뿌리는 거라나 하고 Led도 아님. Oled는 백라이트가 필요없이 각 색상입자가 스스로 발광하므로 비교할 수 없이 얇은 스크린 구현이 가능하고 최근 일본 가전회사 등등이 만드는 oled tv도 lg oled 가져다 쓴다고..
    기술이 어쩌고 해도 사람눈에는 뭐 둘 다 화질 좋구나... 하구요. 그 정도 가격차이라면 삼성 선택할 만도 하긴 하네요. 올레드는 번인 현상이 있을 수 있다고 해서 아직 올레드 구입 못하고 오래된 lg tv 끌어안고 있긴 합니다.
    그냥 제 개인적인 경험상 삼성은 서비스 잘 해주는구나 체감을 자주 하고, Lg는 as경험이라고는 십년 이상 쓴 냉장고 패킹 갈아 계속 쓴다는 거.

  • 23. 여기댓글들
    '19.1.26 9:59 AM (182.222.xxx.106)

    여기서 tv는 삼성이니 엘지니
    언제 산 누구집 tv가 잘 나오나 따질 게 아니고요 각각 사양이 다르잖아요
    이번에 65인치 tv살건데 qled냐 oled냐가 중요한데 oled승이예요

  • 24. ...
    '19.1.26 10:07 AM (172.56.xxx.179) - 삭제된댓글

    삼성qled... LG의 oled 못 따라가 lcd를 qled라 합니다. 완전 다른 기술. Oled는 스스로 빛을내는 자발광입니다. 무지 얅게 만들수 있고 돌돌 말수 있습니다. 2019 ces에서 상을 50여개 이상 휩쓸었죠. 뉴욕타임즈 표지화면으로 니왔구요.
    oled... 최고의 기술입니다

  • 25. ...
    '19.1.26 10:09 AM (172.56.xxx.179) - 삭제된댓글

    스스로 빛을내는 자발광이라. 정말 화면이 깨끗합니다. 완전한 black이 만들어지는거죠.

  • 26. ㅇㅇ
    '19.1.26 10:11 AM (117.111.xxx.116)

    그냥 oled 쪽은 엘지랑 소니가 시장 장악 수준이에요 세계적으로

    qled 사실 거면 삼성 사시고 oled 사실 거면 엘지 사세요

  • 27. ..........
    '19.1.26 10:12 AM (210.205.xxx.21) - 삭제된댓글

    82서 전에 알볼 . 피자 그렇게 맛있다고 떠드는 댓글 많아서 낚시질 당해 사먹어보곤 욕하는 글들 많았죠
    엘쥐도 감성팔이 마케팅을 주로 하고있어서 호구 잡히는 소비자들 많습니다.
    아파트 재활용 쓰레기장에 엘쥐제품들 널려있는거 보시면 판단에 도움될거에요

  • 28. ...
    '19.1.26 10:14 AM (172.56.xxx.179) - 삭제된댓글

    oled 판넬은 엘지디스플레이에서 밖에 못 만들어요. 세계의 oled TV의 판넬은 엘지디스플레이에서 공급합니다.
    Qled는 lcd TV의 일종입니다.

  • 29. 하항
    '19.1.26 10:23 AM (211.201.xxx.237)

    이건 당근 LG를 사야죠~ 삼성 것이 싼 이유가 분명히 있습니다~~

  • 30. ...
    '19.1.26 10:33 AM (59.29.xxx.212)

    엘지 리얼블랙인가? 정말 블랙이 끝내줘요
    사이즈만 크고 저가형 티비 말고(요거 아주 중요)
    엘지 윗단계로 가면 정말 블랙이 뭉개지지않고 좋아요
    안방에 밤에 자기전에 영화볼때 정말 좋아요
    티비는 좋은거 사시면 후회 안하세요~!
    소리도 크기만 한다고 선명하게 잘 들리는게 아니에요
    웅웅거리고 귀아픈 큰 소리도 있으니까요 (저희 시댁 티비 ㅜㅜ)

  • 31. ...
    '19.1.26 10:34 AM (65.189.xxx.173)

    삼성은 대형 oled 연구하다가 포기했어요...전세계에서 LG만 만들수 있고 소니, 파나소닉 다 LG꺼 가져다 써요.

  • 32. 삼성이 oled
    '19.1.26 10:41 AM (125.176.xxx.90) - 삭제된댓글

    Oled 포기한게 번인현상땜에 tv에는 쓰면 안되는 소재구나 해서
    일부러 안쓰는 거예요 삼성이 스맛폰에는 oled 써요.
    번인현상 이게 골때립니다.
    아마존에 가서 엘지 오엘이디 tv 후기 읽어 보셈.
    처음에는 넘 좋았는데 몇달후 화면에 영구 얼룩이 생겼고
    산거 후회 한다는 댓글이 뒤덮고 있어요
    루리웹에 가서도 번인현상 땜에 엘지에 전화하면 무시당한다는 글들 많구요.

  • 33. ㅇㅇ
    '19.1.26 10:41 AM (193.176.xxx.53) - 삭제된댓글

    티비에서 감성팔이야 말로 삼성이 장난질 무지 잘하죠.
    디스플레이는 원래가 패널 그러니까 화면이 구현되는 방식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pdp(plasma dispaly panel), lcd(liquid crystal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등으로 분류합니다. lcd는 백라이트가 필요한데 예전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과 같은 백라이트를 주로 사용하였다가 그 백라이트를 led 백라이트로 사용하면서 삼성이 led tv(그냥 lce tv에 백라이트만 led로 바꾸었을 뿐)라는 명칭으로 사기쳤었죠. 요새 삼성이 개발하고 있는 모듈형 마이크로 led tv가 진짜 led tv죠.
    삼성이 대형 oled를 못 만드는 건 글래스 사이즈가 커지는데, 마스크 새깅 등등으로 인하여 그에 대한 rgb 증착기술의 어려움 등을 많이 겪였고, 그 와중에 lg는 대형oled에서 다른 방식으로 해결했는데, 삼성은 lg기술과 관련된 특허장벽 등등 때문에 진입 못했던 거죠.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대형 oled를 포기한 거구요.
    이런 기술적인 얘기 해봤자 원글은 못 알아들을 테니까..그냥 돈에 맞춰서 사시는 게 나을 거 같아요.

  • 34. perceive
    '19.1.26 10:55 AM (125.176.xxx.90)

    번인현상 이게 골때립니다.
    아마존에 가서 엘지 오엘이디 tv 후기 읽어 보셈.
    처음에는 넘 좋았는데 몇달후 화면에 영구 얼룩이 생겼고
    산거 후회 한다는 후기글이 뒤덮고 있어요
    루리웹에 가서도 번인현상 땜에 엘지에 전화하면 무시당한다는 글들 많구요. 저도 번인현상 땜에 좀 지나서 해결되면 사려고 그냥 지금 3d tv 7년전에 산거 보고 있는데 사실 이것도 화면이 예술이예요..
    얼마전에 패신저스 영화 보는데 화면이 예술이라 느낌
    눈은 이정도 사양에도 화면이 예술로 느껴져서 결론은 아뭇거나 사셈

  • 35. 와...
    '19.1.26 11:14 AM (223.33.xxx.102)

    와, 이 댓글, 로그인을 부르네요.

    ———
    ㅇㅇ
    '19.1.26 9:32 AM (212.103.xxx.245)
    일단 돈 문제도 있으니까, 원글한테는 삼성tv와 공기청정기가 더 나을듯 하네요.
    음량은 사운드바로 커버 가능하고, 스마트 기능 있어봐야 잘 사용하지도 않을 거 같고, 그 스마트 기능도 셋톱박스나 아니면 조금만 알면 앱 등으로 일정 정도 커버 가능합니다.
    qled는 led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lcd 업그레이드이고, 기술적인 건 설명해봤자 못알아들을테고요.

    ——

    댓글 목소리가 난 꼰대 남자다! 라고 외치고 있네요 아주.
    맨스플레인의 전형이다 싶었는데 가만 보니 맨스플레인도 아니에요. 설명이라도 해야 맨스플레인이지.
    기술적인 건 설명해 봤자 못 알아듣는다고요?
    설명을 제대로 할 자신이 없는 건 아니고?
    원래, 잘 아는 사람일수록 쉬운 말로 누구나 알아듣게 설명할 수 있는 겁니다.

    원글님, 위의 다른 매너 있는 댓글들도 언급해 주셨지만
    Qled와 Oled는 이름이 비슷할 뿐 기술 자체가 달라요.
    큘레드는 쉽게 말해 액정화면이에요. 휴대폰이나 계산기에도 쓰는 그 액정.
    뒤에서 쏴 주는 광원이 반드시 필요하고, 얇은 판 2개 사이에 끼운 액정에 전압을 걸어서 화면 구현하는 건데 올레드보다 지난 기술입니다.

    올레드는 윗님 말씀처럼 엘지에서밖에 못 만들어요. 얘는 광원이 필요없으며 훨씬 얇고, 가볍고, 휘어지는 화면도 만들 수 있습니다. 액정, 즉 Lcd는 그냥 신소재지만 oled는 반도체 패널이에요.
    당연히 더 앞선 기술입니다. 큘레드가 왜 이름을 굳이 비슷하게 지었을지 생각해 보세요.

    두 화면이 기술 차이가 많이 나고
    따라서 당연히 그에 따른 가격 차가 나는 거니 이유는 그렇게 이해하시되,
    사람 눈으로 텔레비전 볼 때 대단히 큰 차이가 나는 건 아직 아니니까 그 점을 감안하셔야겠죠. 이건 기술이 별 차이가 없어서라기보다는 사람의 눈이 그렇게 예리하고 민감한 센서가 아니라서라고 생각하는 게 더 맞아요.
    그래도 어쨌든 엘지 oled가 나은 건 사실입니다.

    기업이 사람을 대하는 태도로 봐도 삼성보다 엘지를 사는 게 낫지만...
    그런데 사실 엘지라고 해서 고장 안 난다는 보장은 없는 거지요. 물건이란 낡고 고장나게 되어 있는 거니까요.
    가전제품은 뽑기니까 뭘 사시든 운이 따라야 고장이 잘 안 날 테고... 단, 삼성이 친절 신속 as로 유명한 건, 거꾸로 as 받을 일이 많이 발생한다는 뜻이라는 말도 있다는 걸 알아두셔도 좋겠고요.

    가격 차, 품질 차, 브랜드, 고장율, 다 감안하고 구입하시되
    내가 뭘 사는 건지 기술 차이부터 확실히 알고 가격 차이의 이유도 알고 결정하고 사시라고 길게 써 봤어요.

  • 36.
    '19.1.26 11:17 AM (223.38.xxx.135)

    티비는 삼성이라는 말은 뻥같습니다.
    우리집 어르신 어디서 그런 말을 들었는지 제 반대에도
    삼성 티비 사더니 2년도 안 돼 고장 나서 엘지로 바꾸더군요.

  • 37. 와...
    '19.1.26 11:25 AM (223.33.xxx.102) - 삭제된댓글

    아니 오늘 왜 예의를 밥 말아먹은 댓글들이 이렇게 출몰하지? 하고 다시 읽어보니
    아이피는 다르지만 같은 사람 같네요.

    원글님하고 아는 사이세요?
    원글 원글 부르면서 설명해도 못 알아들을 거라고 단정하고.
    못 알아들을 거라는 근거는 어디서 왔는지 진짜 궁금한데
    만약 필요한 정보를 상대가 못 알아들을 것 같다면, 상대방 눈높이에 맞춰 설명해 주면 되는 거 아닙니까, 아저씨.

    아무리 익명이고 게시판이라지만 말 그렇게 하는 거 아니에요.
    어째서 그 나이 먹도록 이런 기본 매너를 못 배운 겁니까. 안타깝네요.
    기술적인 설명이라고 해 봐야 별로 어려운 말도 아닌 걸 늘어놓고, 자기가 모르는 상대에게 넌 못 알아들을 거라니, 아이고. 한숨이.
    그러지 마세요. 실생활에서도 그런다면 참... 한숨 나는 매너입니다.

  • 38. 와...
    '19.1.26 11:27 AM (223.33.xxx.102) - 삭제된댓글

    아니 오늘 왜 예의를 밥 말아먹은 댓글들이 이렇게 출몰하지? 하고 다시 읽어보니
아이피는 다르지만 같은 사람 같네요.

원글님하고 아는 사이세요?
원글 원글 부르면서 설명해도 못 알아들을 거라고 단정하고.
못 알아들을 거라는 근거는 어디서 왔는지 진짜 궁금한데
만약 필요한 정보를 상대가 못 알아들을 것 같다면, 상대방 눈높이에 맞춰 설명해 주면 되는 거 아닙니까, 아저씨.

    —-
    이런 기술적인 얘기 해봤자 원글은 못 알아들을 테니까..그냥 돈에 맞춰서 사시는 게 나을 거 같아요.
    —-라니...

아무리 익명이고 게시판이라지만 말 그렇게 하는 거 아니에요.
어째서 그 나이 먹도록 이런 기본 매너를 못 배운 겁니까. 안타깝네요.
기술적인 설명이라고 해 봐야 별 대단치도 않은 말 몇 마디 늘어놓고, 자기가 모르는 상대에게 넌 못 알아들을 거라니, 아이고. 한숨이.
그러지 마세요. 실생활에서도 그런다면 참... 한숨 나는 매너입니다.

  • 39. 와...
    '19.1.26 11:30 AM (223.33.xxx.102)

    아니 오늘 왜 예의를 밥 말아먹은 댓글들이 이렇게 출몰하지? 하고 다시 읽어보니

    아이피는 다르지만 같은 사람 같네요.


    원글님하고 아는 사이세요?

    원글 원글 부르면서 설명해도 못 알아들을 거라고 단정하고.

    못 알아들을 거라는 근거는 어디서 왔는지 진짜 궁금한데
    
만약 필요한 정보를 상대가 못 알아들을 것 같다면, 상대방 눈높이에 맞춰 설명해 주면 되는 거 아닙니까, 아저씨.

    —-
    이런 기술적인 얘기 해봤자 원글은 못 알아들을 테니까..그냥 돈에 맞춰서 사시는 게 나을 거 같아요.
    —-라니...



    아무리 익명이고 게시판이라지만 말 그렇게 하는 거 아니에요.
어째서 그 나이 먹도록 이런 기본 매너를 못 배운 겁니까. 안타깝네요.

    기술적인 설명이라고 해 봐야 별 대단치도 않은 말 몇 마디 늘어놓고, 자기가 모르는 상대에게 넌 못 알아들을 거라니, 아이고. 한숨이.

    그러지 마세요. 실생활에서도 그런다면 참... 깊은 한숨이 나는 뭣같은 매너입니다.

  • 40. ㅇㅇ
    '19.1.26 11:48 AM (112.144.xxx.59) - 삭제된댓글

    223.33.xxx.102// 메갈인가요? 오전부터 별 거지같은 것이 끼어드네요.

    lcd가 광원이 반드시 필요???
    lcd는 그냥 신소재지만 oled는 반도체 패널???

    진짜 무식하네. ㅋㅋ 나같으면 모르면 아는체 안하는데..ㅋㅋ

  • 41. ㅇㅇ
    '19.1.26 11:52 AM (194.36.xxx.85) - 삭제된댓글

    223.33.xxx.102// 메갈인가요? 오전부터 별 거지같은 것이 끼어드네요.

    lcd가 광원이 반드시 필요???
    lcd는 그냥 신소재지만 oled는 반도체 패널???

    진짜 무식하네. ㅋㅋ 나같으면 모르면 아는체 안하는데..ㅋㅋ

    멍청아 원글이 지금 살려고 하는게 플랙시블 oled 일거 같니? oled는 휘어지는 거 만들 수 있다는 거 모르니? 기판을 pi로 쓰면 돼..ㅋㅋ
    근데 이런 설명 해봤자 머하냐?

    싼 삼성 tv사면 공기청정기 하나 더 살 수 있다고 고민하는데, 그래서 그 가격에 맞춰서 사라한거지. 안그러냐?

  • 42. ㅇㅇ
    '19.1.26 11:53 AM (212.103.xxx.213) - 삭제된댓글

    223.33.xxx.102// 메갈인가요? 오전부터 별 거지같은 것이 끼어드네요.

    lcd가 광원이 반드시 필요???
    lcd는 그냥 신소재지만 oled는 반도체 패널???

    진짜 무식하네. ㅋㅋ 나같으면 모르면 아는체 안하는데..ㅋㅋ

    멍청아 원글이 지금 살려고 하는게 플랙시블 oled 일거 같니? oled는 휘어지는 거 만들 수 있다는 거 누가 모르니? 기판을 pi로 쓰면 돼..ㅋㅋ
    근데 이런 설명 해봤자 머하냐?

    싼 삼성 tv사면 공기청정기 하나 살 수 있다고 고민하는데, 그래서 그 가격에 맞춰서 사라한거지. 안그러냐?

  • 43. ㅇㅇ
    '19.1.26 12:02 PM (212.103.xxx.213) - 삭제된댓글

    223.33.xxx.102//

    lcd가 광원이 반드시 필요??? -> 반사형 엘시디 찾아봐라.
    lcd는 그냥 신소재지만 oled는 반도체 패널??? -> lcd에 들어가는 tft 기판에 대해 공부 좀 해라

    무식하면 나대지 마시길 ㅋㅋ

  • 44. ,,,
    '19.1.26 12:28 PM (183.2.xxx.53)

    음량 20W 40W 수치 비교는 별 의미 없어요. 비교항목에서 빼시는 게 좋습니다.

  • 45. ,,,
    '19.1.26 12:32 PM (183.2.xxx.57)

    모든 공산품이 뽑기에요. 자동차, 전자제품.

    엘지 그램 노트북 샀는데, 지금 세번째로 수리센터에 들어가 있습니다.

  • 46. ..
    '19.1.26 12:44 PM (125.176.xxx.90)

    아니 저 위에 자칭 전문가님들은
    왜 oled 의 번인현상에 대해선 말 안하심?
    삼성은 엘지의 번인현상 땜에 번인 없는 다른 oled 연구하다 포기 했다고 들었어요.
    번인현상이 얼마나 심각하냐는 아마존에 가서 후기 보면 다 나옴...

  • 47. ...
    '19.1.26 1:02 PM (1.237.xxx.128)

    가전은 닥치고 LG

  • 48. . .
    '19.1.26 1:58 PM (218.237.xxx.136)

    Qled는 삼성이 만들어낸 상술입니나
    Oled와 비슷하게 보이려고요
    대형에서 oled기술이 lg만큼 없거든요
    돈 있으면 oled죠

  • 49. 결정장애
    '19.1.26 1:59 PM (223.38.xxx.109)

    모두들 너무나 열심히 댓글 주셔서감사해요.
    전문가적인 견해까지 댓글주셔서 감탄하고 있습니다.
    두 회사 모두 글로벌 가전회사라 쉽게 우열을가리기 힘든것같아요.
    가족들이 티비 언제사냐고 성회를 내서
    주신 말씀들 듣고 정해볼께요.감사합니다

  • 50. 크기가
    '19.1.26 2:00 PM (125.176.xxx.243)

    더 중요할껄요

    75도 별로 안커요

  • 51. . . .
    '19.1.26 2:00 PM (218.237.xxx.136)

    그렇게 번인이 문제라면
    대형 고급 tv시장에서 lg가 망했겠죠

  • 52. .......
    '19.1.26 2:31 PM (223.39.xxx.235) - 삭제된댓글

    백날 엘쥐 선전글 올리고 댓글 올려밨자 엘쥐는 안삽니다.
    빨레 뭉치는 세탁기, 1년마다 고장나는 에어콘, 시퍼런 번짐 생기는 oled티비 것도 수시로 고장나 수리비 폭탄.
    쉴드랍시고 뽑기운 나빠서 고장 많다는 헛소리나 해대는 엘쥐는 다신 안산다.

  • 53. ...
    '19.1.26 2:53 PM (125.176.xxx.90)

    시퍼런 번짐 현상이 번인현상임.
    번인 겪어보면 엘지에다 아무리 호소해도 들은척도 안함.
    다들 삼성 qled로 옮겨요.
    이게 팩트임.
    여기는 아줌마들 게시판이라 tv를 오래 안봐서 번인이 안생길수도 있어서
    모를수도 있는데
    남자들 많은 루리웹 가서 가전 코너 보면
    엘지 번인현상 땜에 홧병 난 사람들 천지 임.
    아마존 가서 후기 보셈. 다들 번인현상 말함.

  • 54. ...
    '19.1.26 2:54 PM (125.176.xxx.90)

    아마존에
    미국애들, 미국 남자들이 번인 현상에 대해 장문의 글들을 써놓음

  • 55. ...
    '19.1.26 2:59 PM (125.176.xxx.90)

    Oled 는 번인현상땜에
    2년쓰고 버리는 스맛폰에는 쓰자
    하지만 7년 8년 10년 보는 tv에는 쓰면 안되겠다
    고 정한게 삼성임.
    기술력이 딸린게 번인현상 없는 oled 는 없기 때문에 포기함.
    소비자들이 번인현상 호소 하는데도
    들은척도 안하고 계속 밀고 나가는 엘지하고
    일치감치 저건 안된다고 정하고 led 로 계속 가는 삼성
    어떤 제품을 사는게 더 나은지는..

  • 56. ,,,
    '19.1.26 3:21 PM (45.56.xxx.139)

    영국 What Hi-Fi지에 삼성에서 OLED의 단점으로 번인 현상을 든다고 소개하면서, 번인 현상이 자기들이 직접 보거나 독자들에게 들은 것은 아니라고 썼습니다.

    Samsung also claims OLED has essentially hit its limit in terms of peak brightness, whereas we’re still in the early days of what QLED can achieve in that regard. It also says that OLEDs are prone to image burn-in - although this is not something we’ve ever seen first-hand or have received reports from our readers about, so should be taken with a pinch of salt at the very least.

    출처: https://www.whathifi.com/advice/qled-tv-technology

  • 57. ㅡㅡㅡㅡㅡ
    '19.1.26 3:49 PM (183.2.xxx.41)

    Image retention (일시적 문제)
    Burn-in (항구적 문제)
    Uneven aging (항구적 문제)

    이런 문제가 다른 방식보다 OLED 방식에서 심하긴 하나, 일반인들의 일상적인 TV사용에서는 별 걱정할 게 아니라는 견해를 CNET과 같은 다른 웹사이트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영국 What Hi-Fi지 2018년 8월 기사에 의하면 텔레비젼용 OLED패널은 엘지에서 생산하여 엘지, 소니, 파나소닉, 필립스의 OLED 텔레비젼에 들어갑니다.

  • 58. ........
    '19.1.26 3:52 PM (183.2.xxx.41)

    "2년쓰고 버리는 스맛폰에는 쓰자"

    삼성이 이런 주장을 한 것 같이 쓰시면 곤란합니다. 어떤 책임있는 기업이 그런 입장을 피력해요?

    본인 주장과 기업이 표방한 주장은 구별해서 써 주세요.

    본인이 2년마다 버리시는 것은 본인 자유입니다만.

  • 59. ...
    '19.1.26 4:13 PM (58.143.xxx.21)

    굉장히 고사양티비는 안사봐서 모르긴하는데 티비는 엘지 삼성이 신상 나오는 시기가 2년정도 차이가나서 가성비가 때마다 차이가있어요 그리고 둘다 장단점이 명확해서 아무거나 마음에드는거 사시면 됩니다 엘지쓰다 7년만에 삼성꺼 가성비좋은제품이있어서 바꿨는데 괜찮던데요 그리고 핸드폰이 갤럭시라 미러링?기능도 연동돼서 편해요

  • 60. 매장방문기
    '19.1.26 4:54 PM (223.38.xxx.158)

    하이마트에 갔더니 엘지 노트북과 티비는 완전 찬밥이네요.
    종류와 크기가 다양하지 않고 유행에 지난 제품들 진열 해놨네요.
    타사 제품을 더 팔겠다는 거?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해 엘지 매장 갔더니
    194인치 올레드 티비 진짜 화질 죽이는군요
    기존 티비들과 차원이 달라요.
    근데 가격이 1400정도 ㄷㄷ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8325 가족상담을 했는데요 5 ... 2019/01/26 1,938
898324 변영주 감독 화차는 몇번을 봐도 몰입감 최고예요.. 8 .... 2019/01/26 3,163
898323 주말에는 카톡 안읽씹 하는 지인. 12 Sㅜㅜ 2019/01/26 8,815
898322 내년 총선 어찌될까요.. 25 ... 2019/01/26 1,688
898321 한국을 아주 알차게 이용해먹네요 그나라. 9 ㅇㅇ 2019/01/26 2,658
898320 스파게티 어떻게 해먹는게 제일 맛있나요 14 뻔와이프 2019/01/26 3,971
898319 청소기 제작중인데요. 9 커피홀릭 2019/01/26 1,047
898318 초등 아들 연필 깎아주다가~ 6 .... 2019/01/26 1,833
898317 시모는 예전일을 맘대로 왜곡해서 기억하네요. 15 며느리 2019/01/26 4,156
898316 목적형 1 목적형 2019/01/26 510
898315 4년제 대학 다니면서 방통대 다닐 수 있나요? 4 때인뜨 2019/01/26 3,790
898314 좀 전에 지워진 기레기 이야기 6 기레기 2019/01/26 900
898313 키 159면 몸무게 어느 정도가 예쁜가요? 17 .. 2019/01/26 13,653
898312 전세가 3천 떨어졌어오 8 ... 2019/01/26 5,767
898311 스카이캐슬 성대모사 새버젼 2 ㅋㅋㅋ 2019/01/26 1,211
898310 24평 아파트 도배 비용 9 ... 2019/01/26 5,058
898309 유백이에서 이아현이요 4 ㅌㅌㅇ 2019/01/26 3,342
898308 허브 염색약 또는 순한 염색약 사용하시는 분들 2 흑발 2019/01/26 1,192
898307 남편에게 흑마늘 복용 해보신분들 계세요? 4 힘좀내봐 2019/01/26 2,306
898306 지금 경량 패딩과 롱패딩 중 뭘사는게 좋을까요? 10 ..... 2019/01/26 2,628
898305 널리 퍼트주세요. 5 ㅇㅇ 2019/01/26 1,531
898304 백화점, 유통 대기업 vs 공사 어디가 낫나요? 11 . . 2019/01/26 2,048
898303 손가락 관절염 같은데.... 15 ... 2019/01/26 4,451
898302 이재명출당/탈당 촉구 집회 11 참석해주세요.. 2019/01/26 769
898301 학부모 모임 그만 나갈까요? 15 예비대학생 2019/01/26 5,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