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1981321#cb
일부만 가져왔어요 전문은 위의 주소에서
작가들은 좀 달랐던 모양이다. 1970년대 초 장안을 떠들썩하게 했던 의 여주인공 이름은 '경아'다. 장미희가 주연한 의 주인공은 '이화'다. 1980년대 중반에 발표된 최인호의 장편소설 의 여자 주인공 이름은, 작가의 실제 딸 이름이기도 한 '다혜'다. '아', '화', '혜' 모두 앞서 보았던 135명 중에는 하나도 없었다. 여기서 눈에 띄는 게 하나 있다. 바로 '혜'다. 당시만 해도 여자 이름에 '혜'를 쓰는 건 꽤 파격적이었다.
물론 그 옛날이라고 딸아이의 이름을 요즘말로 아무 생각없이 짓기만 했던 건 아니었다. 그것도 사람 나름이고 신분 나름이다. 고종 황제가 유난히 총애했다는 옹주 이름이 '덕혜'였으니 하는 말이다. 그런데 '덕혜'는 그 소리가 '더켸'라서 발음하기가 아무래도 좀 그렇다. 어쨌든 공주나 옹주쯤 되면 이름부터 시대를 앞서갔던 모양이다.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촌스럽거나 시대를 앞서가는 이름 (칼럼같이읽어요)
ㅇ1름 조회수 : 1,743
작성일 : 2019-01-21 09:39:32
IP : 111.118.xxx.4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혜선
'19.1.21 9:50 AM (72.140.xxx.80) - 삭제된댓글'혜'를 쓰는 것이 파격적이였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네요.
'혜선' 이나 '미혜' 라는 이름은 지금 5,60대 에 아주 흔한 이름이지요.2. ㅇㅇ
'19.1.21 10:07 AM (223.38.xxx.125)근혜도 있네요
3. ...
'19.1.21 10:33 AM (1.253.xxx.54) - 삭제된댓글'혜'보다 73년 졸업명단에서 은미 은주 이름이 더 신선하네요. 80년중반 제 시대때 이름이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더 앞섰었네요.
4. ...
'19.1.21 10:36 AM (1.253.xxx.54)'혜'보다 73년 졸업명단에서 은미 은주 이름이 더 신선하네요. 90년대 초등다닌 제 시대때 이름이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더 앞섰었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