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점잖게 말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요

말하기 조회수 : 2,880
작성일 : 2011-09-21 09:46:06
다른 사람과 말하다 보면 왠지 무시받는 기분이 들어요.
내 말은 별로 신뢰를 받지 못하는 듯 하고..
똑같은 내용의 말을 하는데도 다른 사람 말은 귀기울여 듣는 듯 하고요.

모임에서 여럿이 말을 하는데 누구 말은 신뢰가 가고 잘 들어주고
누구 말은 건성으로 듣고 있다가 말끊고

이제 나이도 있으니 말도 품위있고 점잖게 말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좋은 말습관을 갖게 될까요?
이런거 연습하는 동영상같은거 있나요?
IP : 218.233.xxx.24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마도..
    '11.9.21 9:58 AM (14.63.xxx.92)

    전 반대 상황인 사람입니다.
    별 말 아닌데도 사람들이 귀기울이고 아주 반응이 좋고 인정해 줍니다.
    그리고는 "당신이 말하면 같은 이야기라도 다른 사람보다 신뢰가 간다" 합니다.

    아마도 원글님의 말투가 제일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보통분들은 항상 여럼사람 앞이나 한 사람 앞이나 똑 같은 말투를 씁니다.
    달라야 하거든요.
    목소리도 중요합니다.
    톤을 높게 하거나 옆집 아는 언니 놀이터에서 만나 말하듯 대충 말해버리는 것도 있을 수 있답니다.
    핵심을 분명하게 전달하려면 먼저 글로 써보길 권합니다.
    군더더기 말이 얼마나 많은지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니까요.
    책을 읽을 때 소리내서 읽는 것도 좋습니다.
    전 아주 오래동안 소리내서 신문도 읽고 성경도 읽고 책도 일고...무엇이든 소리내서 읽는 연습을 했더니
    톤 조절이 자동으로 되고 두서없이 말하던 습관도 정리 되더라구요
    특히 소설책은 주변 상황이 글로 모두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언어 전달에 도움이 되었답니다.
    노력하면 누구든지 무엇이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 2. jin
    '11.9.21 10:06 AM (210.97.xxx.236)

    요점만 간단히... 간혹 재밌는 유머도 해서 관심을 집중시켜보세요. 장황하게 말하는 습관을 가진사람이 말할때는 먼저 좀 그런 습관이 있는것 같아요. 짧게 핵심을 정리해서 말하는 습관을 가져보세요. 저도 나이가 드니깐 서론이 긴 이야기는 본론이 시작되기전에 지루하더라구요. 그리고 말은 하는것보다는 듣는편이 더 편하기도 하고 좋은 습관같아요. 원글님 너무 속상해 하지 마시고 연연해하지 마세요. 요즘엔 다들 말을 하려고만하고 듣는 사람이 별로 없으니 듣는것에 더 많이 신경쓰세요.

  • 3. 저도
    '11.9.21 10:08 AM (221.139.xxx.63)

    말하기 전에 속으로 한번 얘길 다 해봅니다. 예를들어 중요한 대화전에 이렇게 한번 얘기할걸 다 해보면서 뺄거빼고 더할거 더하구... 차분하게 낮은톤으로 정확하게 말합니다. 오히려 싸울 상황에서도 상대가 쉽게 저를 만만하게 못봐요.
    예전에 집안어른과 안좋은 일이 있었거든요. 다른 사람 같았으면 흥분해서 울면서 얘기하고할 상활이였어요. 저는 몇번 속으로 얘길하고 정리한후에 얘길 했어요. 차분하고 낮은소리로...
    부드럽고 단호하게.... 결국 잘 해결했답니다. 살다보면 무조건 우기는 어른들 있지요. 목소리크게 소리지르고 욱박지르면서... 제가 대화한 상대가 그런 분이였어요.
    제가 너무 조용하고 단호하게 부드럽게 말하니 오히려 아무소리 못하더군요.
    제가 좀만 흥분하거나 했으면 아마 어린게 흥분해서 소리친다고 그걸 꼬투리 잡았을 거예요.
    대화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윗분 말씀처럼....
    저도 전에는 흥분이 먼저되고 가슴이 먼저 뛰어서 하고 싶은말 못하고 속앓이하고 그랬는데 이젠 안그래요.
    부드럽게 할말 다 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334 코스트코 어그 끝났나요?? 1 발시려워^^.. 2011/10/10 2,319
21333 오늘 첨 알았네요,, 어버이 연합 12 ggg 2011/10/10 2,543
21332 울아이 밥을 물고 있는 버릇.. 어떻게 해야 할까요? 4 뒤돌아보지마.. 2011/10/10 1,935
21331 대상포진은 어디가서 검사받아야 하나요? 5 .. 2011/10/10 5,284
21330 플라스틱 통에 굳은 꿀 어쩐대요ㅜ 2 대추한차 2011/10/10 3,958
21329 "원순이 이년 나와라!!!"라고... 41 푸하하 2011/10/10 16,125
21328 수시 2차 논술학원에 관하여 질문 있어요... 13 버섯동자 2011/10/10 2,690
21327 오늘(어제가 되는군요) 올림픽공원에서 열린행사.... 4 ,. 2011/10/10 1,669
21326 대문에 알바 글이 걸리면,,, 2 ggg 2011/10/10 1,336
21325 돈벌레(그리마) 퇴치방법 좀 알려주세요~(살려주세요.리플절실 ㅠ.. 12 무서워 2011/10/10 27,011
21324 5%의 박원순이 어떻게 50%의 안철수가 될수있나? 8 기냥 2011/10/10 1,764
21323 6개월만에 군대를 제대한 사람! 7 2011/10/10 2,135
21322 동물들에게도 영혼이 있을까요. 43 생각 2011/10/10 11,150
21321 컴퓨터 오래켜두면 파란화면이 나오는데요.. 1 .. 2011/10/10 1,420
21320 처음으로 도우미 아주머니 도움 받은 날 6 ^^ 2011/10/10 3,180
21319 부부 싸움 했어여 2 다우기 2011/10/10 2,006
21318 아침형 인간이 되려면 15 올빼미 2011/10/09 3,899
21317 욕도아까운 ㅁㅂ.... 7 에라이 2011/10/09 2,084
21316 삶은 배추 요리법 알려 주세요^^ 3 초보 2011/10/09 4,327
21315 보수가 보수가 아닌 사회! 11 2011/10/09 1,508
21314 전복 옥돔 생선류 구입처 추천해주세요 2 제주동문시장.. 2011/10/09 1,898
21313 스마트폰으로 결재가 되네요? 1 애셋맘 2011/10/09 1,676
21312 월세로 받는 다면.. 집주인이 세금을 내야되는 것 아니에요? 9 집주인세금 2011/10/09 3,035
21311 주 7일로 일할수 있을까요??? 5 고민맘 2011/10/09 1,744
21310 애정만만세 어제오늘 줄거리 좀 얘기해주세요 ㅜㅜ 1 요리조리 2011/10/09 2,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