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문재인 대통령 “수소경제는 또다시 우리에게 기회의 문을 열어줄 것입니다”
탄소경제시대에 우리는
원유와 천연가스를 전량 수입해야 했기 때문에
국제 가격 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았습니다.
수소경제 시대는 다릅니다.
수소는 어디에서나 구할 수 있는, 마르지 않는 자원입니다.
현재는 화석 연료에서 추출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앞으로는 태양, 풍력, 바이오 등
재생에너지를 사용해 생산하는 것이 일반화될 것입니다..............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탄소와 달리
수소는 부산물이 물뿐인 깨끗한 에너지이기도 합니다..............
우리 국민은 위기 앞에서 더욱 강했습니다.
전쟁의 폐허에서 산업화를 이뤘고,
오일쇼크를 오일달러를 벌어들이는 기회로 바꿨습니다.
외환위기는 ICT산업으로,
국제 금융위기는 주력 수출산업 확대로 이겨냈습니다.
수소경제는 또다시 우리에게 기회의 문을 열어줄 것입니다.
1. 문대통령 페이스북
'19.1.18 2:11 PM (39.7.xxx.223)https://m.facebook.com/moonbyun1/posts/1767855643320780?__tn__=K-R
2. 수소
'19.1.18 2:24 PM (223.62.xxx.133)이산화탄소엄청나옵니다
너무 무식해서 제발좀조용히있었으면좋겠다3. 문대통령
'19.1.18 2:29 PM (119.66.xxx.27)노고가 많으시네요
화이팅4. 쓸개코
'19.1.18 2:30 PM (218.148.xxx.123)"목표대로 수소차가 보급되면 연간 3만 톤, 현재 발생량의 10%에 해당하는 미세먼지를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
.
.
중장기적으로는 수소를 만들 때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수전해와 해외 생산 수소를 활용하기로 하는 등 전반적인 수소 생태계를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http://www.tbs.seoul.kr/news/bunya.do?method=daum_html2&typ_800=R&seq_800=001...5. 쓸개코
'19.1.18 2:32 PM (218.148.xxx.123)- 文대통령: (전시된 수소 발전기계들을 가리키며) 이것을 사용하면 장점이 뭡니까.
▶전희권 에스퓨얼셀 대표 : 수소를 직접 사용하게 되면 환경적인 오염을 적게 돼서 굉장히 좋을 것 같고요. 지금은 수소인프라가 아직 구축돼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현재는 도시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해서 사용합니다. 그렇게 하더라도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 文대통령: 이산화탄소는 추출 수소 생산 과정에서 생긴다는 문제고요, 가동에는 전혀 배출이 없는 것인지요.
▶전희권 에스퓨얼셀 대표 : 그렇습니다. 수소경제사회라고 보시면 될 것 같고요. 잉여전력이 많이 남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데요. 그럴 경우에는 여기서 잉여전력을 활용해서 수소로 저장하게 됩니다. 수소를 저장해서 수소전기차에 공급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 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해서, 전기와 열을 생산해서, 수요시장에 공급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전체적인 그림이 수소경제사회가 될 것으로 그렇게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9011715147665345&outlink=1&ref=http://s...6. 오함마이재명
'19.1.18 2:35 PM (223.62.xxx.254)위에 이산화탄소 나온다는 무식쟁이야 수소차가 많이 돌아 다니면 산소가 물이 나옴 이산화탄소를 가져가고
7. 오함마이재명
'19.1.18 2:35 PM (223.62.xxx.254)수소차가 미세 먼지 대책중 하나인것도 있음
8. 그냥
'19.1.18 2:44 PM (218.51.xxx.239)수소가 그리 좋았고 효율적이었으면
미국,유럽,일본 등에서 벌써 활성화 시켰겠죠.9. ..
'19.1.18 2:50 PM (112.146.xxx.125)윗님 미국, 중국도 수소차 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요.
두 나라 모두 2030년까지 100만대 보급하고 충전소 1000개 세우는 목표인 걸로 압니다.10. ..
'19.1.18 2:56 PM (112.146.xxx.125)일본도 수소차에 올인하고 있을걸요.
미국,유럽,일본 등이 모두 활성화시킨 다음에 시장에 뛰어들면 후발주자라서 경쟁력이 있습니까?
미국,중국,일본,독일까지 수소차 생산에 매진하는 걸로 아는데
선제적으로 뛰어들어서 시장을 만들어야죠.11. 그냥
'19.1.18 2:56 PM (218.51.xxx.239)전기차가 대세를 이루는 가운데 수소차는 쪼그만 부분을
차지하는데 그칠겁니다`
우린 아직 수소에 대해 기본 기술도 많이 부족해요.
어떻게 저렴하게 대량으로 만들것인가?
어떻게 수소기체를 영하 -270도?이하로 냉각시킨후 액체화시켜 안전하고 편이하게 보관 운반 공급 할 수 있을 것인가?
이런 근본 의문점에 대해서 아직도 기본 기술도 부족하고 없어요.12. ..
'19.1.18 2:59 PM (112.146.xxx.125)전기차,수소차가 어찌 됐건 미래 자동차 모델인데
말씀대로 기본 기술이 부족하다면 기술 부족하다고 손 놓고 있음 되겠습니까.
혁신이란게 뭡니까.
투자를 해야 성공 가능성도 높아지는 거죠.13. ..
'19.1.18 3:01 PM (112.146.xxx.125)아울러 수소가 말 그대로 지금 시작단계지만
수소에너지는 향후 핵융합과도 연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미리 개발해두는게 유리하기도 하구요.14. 레이디
'19.1.18 3:04 PM (210.105.xxx.253)유류보조금 재원으로 수소차 충전시설 등을 만드는데 쓰면 충분히 승산있다 봅니다.
기술개발하고 투자해야죠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871615. 그냥
'19.1.18 3:11 PM (218.51.xxx.239)수소차 문제가 근본적으로 뭐냐면 에너지 효율이 문제인거죠.
1.수소를 만들 때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해요.
2. 그 생성된 수소를 탱크로리로 운반해서 수소충전소에 공급해요.
3. 자동차에 수소를 주입하면 그 수소를 자동차 내부장치로 다시 전기에너지로 바꿉니다.
이렇듯 여러 단계 밟으면서 결국은 수소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서 차를 움직이게 되는건데
처음부터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전기차보다 에너지 효율이 훨씬더
떨어질 수 밖에 없는거죠. 결국 수소차도 전기차인 것이고,
문제는 최초 수소제조부터 ... 다시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각 계를 거칠때마다
최초 100%이었던 에너지가 낮아진다는 것이죠.
각 전달단계에서 에너지효율이 계속 떨어지기 때문입니다.16. 그냥
'19.1.18 3:18 PM (218.51.xxx.239)정부에서 수소차 신경쓰는 이유중 큰거 하나는 전기차 같으면
유류세처럼 세금 먹이기가 어려워요, 유류세가 연가 20 조가 넘어요.
수소충전소로 운용하면 지금처럼 유류세금은 유지하기가 쉽죠.
하지만 전기차 체제로 바뀌면 유류세 다 사라져요.17. 이미
'19.1.18 3:23 PM (211.210.xxx.20)전기차 기술 떨어져서 지금 해봐야 승산없으니 수소차 어쩌고 하는데 언제 탈려고요. 전기차 타기전에 수소차 탄다고요?
18. 그냥
'19.1.18 3:34 PM (218.51.xxx.239)수원시에서 이번에 전기차 버스 제조업체와/현기차 아님/
전기차 버스 100 대 공급계약했어요.19. ..
'19.1.18 3:41 PM (112.146.xxx.125) - 삭제된댓글네맞아요. 결국 수소차도 전기차의 하나죠.
근데 저는 미래차는 전기차,수소차 경쟁하며 갈거라고 봅니다.
전체가 전기차로 가거나 전체가 수소차로 가지는 못할 거라고 보고요, 더 늦기 전에
수소경제에 대한 지원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저는 수소차도 차지만
전기의 화학적 상태를 저장하는 방식 중 하나가 수소라는데 더 주목하고요,
에너지 사용 구조를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 있어요.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핵융합과의 연관성도 있을 수 있으므로 미리 개발하는게 유리하다고 봅니다.20. ..
'19.1.18 4:05 PM (112.146.xxx.125)네맞아요. 결국 수소차도 전기차의 하나죠.
근데 저는 미래차는 전기차,수소차 경쟁하며 갈거라고 봅니다.
전체가 전기차로 가거나 전체가 수소차로 가지는 못할 거라고 보고요, 더 늦기 전에
수소경제에 대한 지원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저는 수소차도 차지만
전기의 화학적 상태를 저장하는 방식 중 하나가 수소라는데 더 주목하고요,
에너지 사용 구조를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 있어요.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핵융합과의 연관성도 있을 수 있으므로.21. 그냥
'19.1.18 4:07 PM (218.51.xxx.239)일단 수소가스를 액화시키는 국내 기술부터 개발하고 말합시다.
처음부터 전기차 쓰면되는거지 굳이 전기로 수소가스 만들어서 다시 전기로 전환해서
사용할 타당하고 합리적 이유가 없어요.22. 오함마이재명
'19.1.18 4:12 PM (223.62.xxx.254)수소차는 우리나라가 기술 넘버원이예요
전기차의 전기는 탄소를 또 쓰는거라 우리나라 기술을 팔아 먹을수 있는 좋은 기회임23. 어휴
'19.1.18 4:17 PM (182.230.xxx.146)현대차는 이것 때문에 망할거에요
거대기업들도 백년 넘기기가 쉽지 않다더니
왜 그런가 했는데 지금 행보를 보면 알것 같아요24. ..
'19.1.18 4:38 PM (59.21.xxx.30)독일 같은 나라에서 전기차 생산 할때 현기차는 전기차는 뒷전 수소차 만든다고 해서 갸우뚱 했네요
오너들이 중요한 결정 내릴때 전문가들과 회사의 흥망이 걸린 문제인데 다 따져보고 10년,20년 내다 보고 투자하는걸 텐데..
요즘 나오는 세계의 자동차 시장 수소자동차 보다 전기 자동차가 훨씬 연구,투자 생산이 많이 되어있고
그에 따라 자율주행차까지 업그레이드 되면서 발전하고 있는듯 ..
현기차는 앞으로 5-10년 이내 별볼일 없을듯 해요. 경유차는 매연 때문에 앞으로 사라질 것이고
휘발유차도 전기차보다 매연 발생이 많기 때문에 전기차가 우위에 있고 수소차는 인프라구축이 아직은 많이 힘들고 대중화 되는데 시간이 걸릴거라고 봅니다.25. 그냥
'19.1.18 11:53 PM (218.51.xxx.239)수소차 또 다른 큰 문제는 연료인 수소값이 현재 경유값과 비슷할 정도로 저렴하지 않아요.
이에 반해 전기차는 10분의 1 정도나 될정도로 전기 값이 저렴해요.
고로 상대가 안됩니다. 물론 수소차 값이 전기차 값보다도 훨 비씨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