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계란을 삶는 것과 찌는 방법 중에서 어느쪽이 먼저 완숙이 될까요?

질문 조회수 : 2,428
작성일 : 2019-01-13 18:55:58
계란 열개를 익힌다고 할 때
삶을 때는 물을 한컵을 넣고 삶고
찔 때는 물을 반컵을 넣고 찐다고 할 때
어느쪽이 먼저 익을( 같은 정도의 삶아진 상태의 완숙)까요?
더 정확히는 어느쪽이 에너지 절약이 될까요?
경험적으로 말씀 해주셔도 되고 과학적 설명도 좋습니다.

IP : 223.39.xxx.23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9.1.13 7:06 PM (117.111.xxx.202) - 삭제된댓글

    ㅎㅎ
    아까 어느분 댓글보고 그러시지요?
    연료 절약이 목적이면 제 방법이 더 빠릅니다.
    찬물에 달걀넣고 부르르 끓으면 바로 불 끄고 여열로 익게 놔둡니다.

  • 2. 그게...
    '19.1.13 7:06 PM (42.147.xxx.246)

    저는 삶을 때
    계란을 넣고 물이 팔팔 끓기 시작해서 2분이면 불을 끄고 그 물이 식도록 기다리면 반숙이 됩니다.

    쪄 본 적은 없어서 찌는 시간은 모르겠네요.
    그러나 2분 안쪽에 달걀이 쪄질까가 의문입니다.

    그리고
    찐다는 것은
    달걀을 깨서 용기에 넣고 찜통에 찐다는 말인가요?

    아님 생달걀을 껍질 채 찐다는 말인가요?
    그렇다면 물의 양이 부족할 것 같아요.
    증기가 많아야 빨리 익을 거예요.

  • 3. 원글이
    '19.1.13 7:09 PM (223.39.xxx.239)

    생달걀이구요.
    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삶는 물의 양의 1/2을 말 해요

  • 4. 원글이
    '19.1.13 7:13 PM (223.39.xxx.239)

    첫댓글님,그러니까 삶는 게 빠르다는 거고 연료 절약 되는 거라는 말씀이죠?
    물의 양의 적고 많음의 차이 보다 조리하는 방법이 중요 한 거죠.
    계란을 삶는데 있어서는

  • 5. ..
    '19.1.13 7:19 PM (223.62.xxx.28)

    제가 찜기에 달걀 자주 찌는데
    위에 님들이 말하는 거처럼 빨리 안되요

  • 6. ㅜㅜ
    '19.1.13 7:23 PM (115.40.xxx.64)

    사우나 가보셨죠. 사우나 실 온도가 80~90 사이 잖아요. 물이 그 온도일 때 손가락 넣으면 뜨거워서 오래 담그지 못해요. 찜은 간접적인 열이라 반응이 느려요.

  • 7. 원글이
    '19.1.13 7:24 PM (223.39.xxx.239)

    그렇죠?
    반컵을 끓이는데는 가스가 덜 들지 몰라도
    완숙하는 데까지 끓이는 것 보다 늦게 익죠?
    경험이 있으면 알만만데 ㅠ

  • 8. ..
    '19.1.13 7:25 PM (117.111.xxx.53) - 삭제된댓글

    첫댓인데요
    찌는 건 물은 빨리끓지만 수증기로 익히는 거고
    삶는 건 달걀표면적을 전부 뜨거운물로 감싸는 거니
    물이 끓을때까지의 시간은 더 걸려도 일단 끓으면 익는 속도가 빠를 거 같은데요.
    논쟁을 멈추려면 똑같은 냄비에 똑같은 화력에서 실험해보면 좋겠네요.

  • 9. 115님
    '19.1.13 7:27 PM (223.39.xxx.239)

    그러게 말입니다.
    아래 달걀 잘 벗겨지게 삶는 법에 관한 글에
    삶는 게 더 에너지를 아낄 수 없다는 댓글 달았다가 상대도 못 할 사람이 되어서 ㅠ.ㅠ

  • 10. 첫댓글님
    '19.1.13 7:32 PM (223.39.xxx.239)

    논쟁을 멈추려면 그분과 제가 함께 삶고 찌고 해 봐야 하는데 그럴 수 없으니 글 올렸구요.
    저는 경험적으로나 과학적으로나(설명이 안 되서 그렇치 ) 끓이는 것이 더 빨리 익는다는 걸 알고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4846 쑥뜸 좋아하는데 연기는 안전할까요 1 퓨티 2019/01/16 1,660
894845 김장김치 속 무채만 물렀는데요 무만 2019/01/16 643
894844 결혼생활이 지루하면 20 결혼 2019/01/16 5,985
894843 강북 맛집-외전 48 답답 2019/01/16 4,603
894842 스카이캐슬 예고 떳어요 38 궁전 2019/01/16 20,140
894841 김장김치 어떻게 삽니까? 5 .. 2019/01/16 1,587
894840 최저임금 잘아시는분이요 제급여보고 놀라지마세용 8 최저임금 2019/01/16 6,352
894839 손주한테 완전 관심많은 시부모님 어떠세요? 6 ㅡㅡ 2019/01/16 2,232
894838 집안에 영업사원 있는거 넘 싫어요 6 2019/01/16 3,154
894837 "알츠하이머라 재판 못 간다"던 전두환, 멀쩡.. 6 쳐죽일넘 2019/01/16 1,263
894836 다단계 걔들 드레스입고 파티하는거요 27 다단게ㅣ 2019/01/16 10,170
894835 면세점 향수 6 향수 2019/01/16 1,677
894834 2주택을 한해에 다 처분해도 될까요? 4 잘아시는분 2019/01/16 1,610
894833 2019년 서울보증보험 탁상달력을 구할 방법이 있을까요? ... 2019/01/16 551
894832 헤나 오래했는데ㅠㅠ 8 이런.. 2019/01/16 3,609
894831 질문이요 1 선물 2019/01/16 214
894830 전통차 즐기는 남편분 계신가요? 12 고요 2019/01/16 1,634
894829 디저트가 특히 맛있는 부페는 어디일까요? 3 분당 가까운.. 2019/01/16 1,172
894828 간이사업자 분들, 사업자카드 사용하세요? 1 이니 2019/01/16 748
894827 태진아랑 같이 나오는 강남은 가수인가요? 5 ㅁㅁ 2019/01/16 2,467
894826 공기청정기 저렴이 여러대가 나은가요? 6 공기 2019/01/16 2,491
894825 유명 맛집들은 노력을 어느정도나 하길래 1 ㅇㅇ 2019/01/16 1,497
894824 잠을 제대로 못잔지 너무 오래됐어요. 8 2019/01/16 2,177
894823 여자인 척 분탕질하는 일베 아이피들 7 ... 2019/01/16 962
894822 미라지 가구 어떤가요? 27 가구 2019/01/16 5,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