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전 아파트를 팔았는데 그 집 사간사람이 부동산통해서 연락을 했어요.
아랫집에서 물이샌다고 한다고요..
너무 황당하고 어이가 없는데 이런경우도 우리가,전주인이 집을 고쳐줘야 하나요?
그집은 집구입하고 리모델링 1주일 하고 들어갔어요. 저희는 그전에 월세를 줬었는데
그때 그런소리를 들은적도 없구요.
리모델링하다 잘못된거같은데 이거 그냥 무시해도 되겠지요?
한달전 아파트를 팔았는데 그 집 사간사람이 부동산통해서 연락을 했어요.
아랫집에서 물이샌다고 한다고요..
너무 황당하고 어이가 없는데 이런경우도 우리가,전주인이 집을 고쳐줘야 하나요?
그집은 집구입하고 리모델링 1주일 하고 들어갔어요. 저희는 그전에 월세를 줬었는데
그때 그런소리를 들은적도 없구요.
리모델링하다 잘못된거같은데 이거 그냥 무시해도 되겠지요?
원인이 리모텔인지 집에 문제인지 확인하셔서 집에 문제이면 고쳐줘야해요. 누수는
저희도 윗집이 리모델링 하고나서 그해여름부터 천장에 누수가..
6개월내 누수는 매도자가 책임이 있다고 알고 있어요
리모델링을 한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 욕실 타일 다 들어내고 새로 깔아거나 앞뒤 베란다가 있다면 타일 공사를 했거나 그렇지 않다면 매도자 책임이 있어요
한달전이면 해줘야됩니다
적어도 육개월까지는 집주인 책임이죠
인지하지 못한 누수는 책임없어요.
멀쩡했는데 리모델링 후에 누수 발생한 거 아닌가요?
화장실 공사하다 방수층 건드렸을 확률이 높아요.
화장실 공사하다 뭐 건드린거네요
댓글들이 다 틀렸어요.
무조건 매도 후 6개월이내는 매도인에게 수리책임이 있는게 아니거든요.
6개월의 기준이 매도일도 아닙니다.
댓글 쓴다고 상주는 것도 아닌데... 부동산 관련 글은 좀 정확히 알아보고 댓글을 씁시다.
원글이 사는동안 누수가 전혀 없다가 집 팔고 난 후에 누수면 원글이 책임이 없어요.
매매전에 누수가 있었는지 아닌지는 아랫집 사람이 증언해 줄 수 있으면 그게 증거가 되거든요.
매도인 하자담보책임으로 검색해보세요.
윗집에서 세끼고 집을 샀는데 세입자 이사온후 한달후에 욕실 천장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더라구요.
윗집에 연락하니 부동산에서 첨에는 6개월 까지 자기 매수자 척임없다하더니, 어쨌든 물이 샌건 매도 후 일어난 일이니 새 매수자가 책임지는거라고 했고 새 주인이 고쳐줬어요.
윗집은ㅁ리모델링한 집은 아니었어요
아랫집에 처음 발견한게 언젠지 물어보고 매도 후면 원글님 책임없어요
매도후에는
전 집주인 책임이 전혀 없는 거였군요.
저는 매도후
1년동안은 하자발생시 전주인이 책임있는줄 알았어요
저는 매도후 4개월만에 연락와서 수리해줬어요.
워낙 노후된 아파트여서 안방 화장실 배관이 낡아 아랫집 화장실로 누수가 발생한거더군요.
금액도 30정도였고 6개월이내 누수는 매도인 책임이라고해서 따지지않고 해줬어요.
매수인이 리모델링을 했다니 그 와중엔 배관이 건드려지지 않았을까요?
그냥 들어가 살았다면 모를까 리모델링을 했으니 매수인이 리모델링업자한테 책임을 물어야될 일 같은데요
리모델링 일주일 할 정도면 올수리했단 얘긴데 왜 매도인한테 책임을 물으려고 하는지 좀 이상하네요
집산지 한달만에 누수되서 전주인이 수리비용 냈는데요
그 정도 기간이면 전 주인이 해주던데, 리모델링을 했다면 얘기가 달라지겠네요.
어디까지 건드렸는지 알아보시고 해주시든 아니든 결정하셔야할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