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할아버지 장례식에 제가 꼬박 있어야되나요?

어째 조회수 : 11,708
작성일 : 2019-01-07 20:52:58
시할아버지가 지금 오늘내일하고 계세요
조만간 며칠안에 돌아가실거같은데 지금 마음의 준비를 하고있어요
전 그냥 애들때문에 밤엔 집에 와서 자고 아침에 가고 왔다갔다할 생각인데 저희어머니 좀전에 전화하셔서 짐싸놓으라고 하시네요
큰애는 한참 공부할 고등학생이고 계속 학원다니는중이구요 둘째는 중학생이고 아들이라 계속 제가 데리고 다닐려구요
아이들까지 거기서 꼬박 다 자고 해야되는건지 모르겠어요
당연히 저희 남편은 있을거에요

장례를 처음 치뤄봐서 잘 모르겠어요

그리고 시할아버지 연세가 98세신데 지병도 없으시고 아주 건강하셔요
그런데 워낙 연세가 많으시고 노환이신데 5일째 아무것도 안드시고 누워만 계시나봐요 사람도 알아보시고 기력도 있으셔서 이불 덮어주면 차내버리신대요
지금 이상황이라 시부모님은 완전 대기조로 가 계신데 정말 조만간 돌아가실까요?
IP : 116.126.xxx.227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19.1.7 8:57 PM (39.113.xxx.112)

    계속 있었어요. 집안 분위기가 집에 간다는건 있을수 없는 분위기라
    님도 집안 분위기 보고 하세요. 돌아가실지 안가실지는 의사도 모르는거고요

  • 2. 요즘엔
    '19.1.7 8:58 PM (115.136.xxx.38) - 삭제된댓글

    가족들중한두명만 혹시 모를 경우를 위해 상주하고
    나머지는 가서 자고 오는경우가 많아요...

  • 3. ...
    '19.1.7 8:58 PM (58.237.xxx.235)

    근데 지병도 없고 한데 왜 안드시는데요..???? 그냥 원글님은 집에서 왔다갔다 하면 되지 않나요... 저희 엄마때 장례식 치뤄 보니까... 다른친척분들은 다들 왔다갔다 하셨어요... 다 같은 지역에 살아서 자주 오기는 했는데.... 본인을 일상 볼일도 봐야되잖아요...

  • 4. ....
    '19.1.7 8:59 PM (59.15.xxx.61)

    곡기 끊으시면 오래 못버티시죠.
    대기는 시할아버지 자녀들이 하면 되고
    님은 왔다갔다 하셔도 돼요.
    그런데 시어머니 분위기가 그게 아닌듯...
    애들 방학 아닌가요?

  • 5. ..
    '19.1.7 8:59 PM (222.237.xxx.88)

    그 연세에 곡기 끊으시면 오래 못가요.
    노인 한끼 단식이 젊은이 사흘치 데미지라는데요.
    그런데 손주며느리가 님 혼자에요?
    여럿이고 장례식장에서 님 집이 멀지않음 밤엔 애 돌보러 집에
    와야죠. 어린 증손주들은 첫날 뵙고 발인날 참석하고요.
    예전에야 상주들이 집 안비우고 씻지도않고 상가를 지켰지만
    세상이 바뀌어서 집에서 자고 오고 매일 씻고
    미용실 가서 머리도 하고와서 조문객 받던데요.

  • 6. 분위기
    '19.1.7 9:01 PM (223.33.xxx.20)

    여기 물을 게 아니예요
    분위기 봐 가면서 하는 거예요.
    집.집 마다 다르거든요
    시어머님이 짐 싸 놓으라 할 정도면
    님은 당연히 있어야 할 거 같고
    아이들도 방학이고 하니 아마 출상 나가는 거 까지
    있으라 할 거 같아요
    괜히 지금까지 잘 지내 온 거
    3일 맘 대로 했다간 두고두고 욕 먹을 수 있어요
    분위기 봐 가면서 남편이랑 상의 하세요

  • 7. ..
    '19.1.7 9:02 PM (183.96.xxx.129) - 삭제된댓글

    시어머니가 짐싸놓으라 한다는거보니 거기 계속 있어야 될 상황인거네요

  • 8. .....
    '19.1.7 9:03 PM (221.157.xxx.127)

    애들도 있고해서 잠은 집에가서 자겠습니다 하면되지요 뭘..

  • 9. ..
    '19.1.7 9:04 PM (183.96.xxx.129)

    애들 방학이니 어른들이 계속 있으라그러면 있어야겠네요

  • 10. 저는
    '19.1.7 9:15 PM (1.231.xxx.157)

    발인 전날만 자고 첫날은 밤늦게까지 있다가 집에 와서 잤어요

    얼마전 오빠가 갑작스레 갔을때도 첫날만 애들 데리고 가고...
    발인하는 날 새벽에 부부만 참석했구요
    집안 분위기 봐서 행동하세요

  • 11. 뭐하러
    '19.1.7 9:23 PM (223.38.xxx.115)

    친정아버지 상에도
    첫날 잠은 집에 가 자고 씻고 아침에 왔어요.
    딸인 나도 가니 올케 너도 가서 자고오라고 하고.
    다같이 거지꼴 날일 있어요?
    이튿날 거기서 자야하는데~
    그리고 시조부모 상이면 며늘은 저녁에
    잠시있다 발인에 가면 되는거에요.
    그시가 좀 오바네요

  • 12. 진짜
    '19.1.7 9:29 PM (124.80.xxx.171)

    집 가까우면 가서 좀 있다가 집에와서 주무세요
    요즘 장례식장에서 다같이 밤새지 않아요
    저희는 지방에 내려가야 해서 어쩔도리가 없었는데
    시조부모 상에 시골 시부모님은 본인들 집에가서
    주무시고 씻고 오시면서 저희보고 같이가서
    편히자고 오자는 소리도없이 가버리셨어요
    이런 시부모님도 있습니다.
    그때 도우미도 안부르고 이거저거 시켜대서
    제가 엄청 고생했는데 고생했단 소리도 못들었어요
    그후론 없던정도 떨어졌어요

    원글님은 집 가까우면 고민 거리도 안돼네요

  • 13. ...
    '19.1.7 9:30 PM (125.177.xxx.43)

    요즘은 밤에는 쪽방에서 다들 자요
    굳이 거기서 밤 샐 필요있나요 손님도 안오는데 ..
    밤엔 집에가서 애들 챙기고 온다고 하세요

  • 14. dd
    '19.1.7 9:33 PM (59.15.xxx.111) - 삭제된댓글

    요즘 장례식장 12시 되면 문닫고
    자요 굳이 거기 쪽방에서 잘 필요없어요
    작년 아버지 장례식때
    첫날은 여자들이랑 애들 집에 가서 자고
    이튿날은 다음날 발인이고 새벽부터
    바삐 움직여야하기에 거기서 대충 잤어요

  • 15. 그런건
    '19.1.7 9:41 PM (221.140.xxx.139)

    정답이 없어요. 집안 분위기마다 다른거죠.
    인터넷이 답이 아니라 내 집이 답인거죠.
    새댁도 아니고 아이 고등학생이란 분이 모르실리는 없으실테고.
    안가도 된다는 말씀 듣고 싶으신가본데,
    그 이야기듣고 집안 분위기 거슬러봐야
    댓글 단 사람들이 책임져주지 않잖아요...

  • 16. 제지인은
    '19.1.7 9:44 PM (223.62.xxx.7)

    국립의료원이라 근처 호텔로

  • 17. 한낮의 별빛
    '19.1.7 9:49 PM (211.36.xxx.25)

    애들도 다 컸는데
    애들때문이라는 말은 안통할 듯 해요.
    윗윗님 말씀처럼
    집안 분위기따라 가셔야죠.
    여기 댓글 다는 사람이 책임져주지 않잖아요...2

  • 18. ㅇㅇ
    '19.1.7 10:04 PM (1.244.xxx.159)

    집안분위기 따라 다른거 같은데,,저는 친정은 편한분위긴데 시댁은 3일내내 있어야 하는 분위기고 심지어 남편의 큰아버지 장례식에도 3일 내내 있었어요
    심지어 저희는 시아버지는 돌아가시고 시할머니 시할아버지는 살아계신 상황인데도 시어머니 주도하에 이렇게 있었어요
    큰아버지 돌아가셨을때도 3일내내 있던 조카와 조카며느리는 저희뿐...
    시어머니가 남에게 인정받고 보여주기위함이라,,
    나 자식들 이렇게 잘키웠다 이런 마인드로 하시는건데 누구하나 인정해주는 분위기가 아닌거같은데 혼자 애쓰시는게 안타까워요
    끌려다니는 남편포함요

  • 19. ..
    '19.1.7 10:06 PM (106.102.xxx.133)

    쪽방 하나 있어서 자기도 힘들어요
    집이 먼 사람들은 근처 호텔잡고 자고
    가까운 사람들은 집에서 자고 오고 그래요
    그래도 집안 분위기에 따라 다르니 남편한테
    물어보세요

  • 20. 그거
    '19.1.7 10:08 PM (223.62.xxx.26)

    시부모가 자식 불편 댓가로
    당신 실력행사보여주는거고
    제3자눈엔 좀 한심하게 오버스러워요

  • 21. ㅡㅡㅋ
    '19.1.7 10:14 PM (59.17.xxx.111) - 삭제된댓글

    애들이래서 애기들인줄 알았는데 고등학생, 중학생이면
    엄마가 옆에 안 끼고 있어도 될것 같은데요. 애들도
    증조할아버지께 절하고 재우지 말고 애들 집에 데리고
    간다던가 요령껏 말해야 하는데 그집 시부모님 남편이
    어떻게 나올지는 모르죠. 여기서 그러지 말라한다고
    장례식장에서 남편안테 여기서 듣는말 그대로 하진
    못할거고요. 평소 시댁 분위기 보면 답 나올듯 싶네요.

  • 22. ....
    '19.1.7 11:44 PM (58.126.xxx.10)

    애들이 어린것도 아니고...
    손주도 상주에요..
    님도 같이 있어야죠
    3일동안 가시는길 지켜드리는것도 힘들어요?
    님 아버지 돌아가셨는데 며느리가 저런다고 생각해보세요
    외손주도 빈소 다 지킵니다...

  • 23. 오우~
    '19.1.8 12:12 AM (223.62.xxx.115)

    또 나왔다
    도리.
    시절에 맞게.
    제발
    난 내아버지 돌아가셨을때
    안그랬음
    나도안그랬으니 올케 며느리 다 안그래도 됨
    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1882 베트남인데.. 커피중독 2019/01/08 1,173
891881 요즘 한라봉 맛있나요? 3 ㅇㅇ 2019/01/08 1,139
891880 컬쳐랜드, 상품권번호 14자리 입력하라는데 상품권은 12자리번호.. 1 ??? 2019/01/08 556
891879 과외교사는 세금 내나요? 7 ㅂㅂ 2019/01/08 2,097
891878 수한엄마랑..우주아빠 14 ㅇㅇ 2019/01/08 5,418
891877 카드발급 영업을 이상하게 하네요 4 카드 2019/01/08 1,276
891876 중국집에서 가장 비싼 요리가 뭔가요? 3 요리 2019/01/08 2,370
891875 임종석 실장 총선 나오면 어디로 나올까요? 37 ... 2019/01/08 2,940
891874 지금 눈꺼풀이 자꾸 떨려요 4 ㅇㅇ 2019/01/08 1,037
891873 2018년 타워크레인 사망사고 '0건' 8 ㅇㅇㅇ 2019/01/08 735
891872 세상에 잘생긴 사람은 많지만 제 이상형 찾기는 힘든 것 같다는 .. 15 세상에 2019/01/08 2,310
891871 제 일기장을 본 아이를 어떻게 훈육해야 할까요? 17 ... 2019/01/08 4,411
891870 이곳에선 유독 성, 몸매 관련 글에 험한 댓글 달리는 이유가.... 4 ... 2019/01/08 731
891869 서경대수석이랑 한성대꼴찌랑 어디가 좋을까요? 37 ... 2019/01/08 9,296
891868 고1수학 하나만 가르쳐 주세요.ㅜ 4 유성 2019/01/08 781
891867 그런 집이 있지 않나요? 3 그런 2019/01/08 1,172
891866 스캐.. 이태란의 오지랍에 대한 평가 8 2019/01/08 1,713
891865 백내장, 난시교정 수술이 실패한 것 같아요. 5 아버지 2019/01/08 2,317
891864 당신에게서 꽃내음이 나네요 10 .. 2019/01/08 2,626
891863 신재민 양심 폭로와 관련하여 꼴값을 뜨는 수구 좌파 기레기들과 .. 9 길벗1 2019/01/08 959
891862 유럽의 빵안에 들어가는 빨간 열매 이름은 무엇일까요? 16 열매 2019/01/08 2,795
891861 동네 빵집 이야기 27 ... 2019/01/08 6,226
891860 동대입구역에서 동국대 걸어갈 수 있나요? 7 궁금해요 2019/01/08 1,422
891859 한겨레 ‘삼성광고’ 중단에도 2년 연속 흑자 7 박수 2019/01/08 786
891858 말할 때 쓸데없는 부가어가 많은 사람은 왜그런가요? 13 2019/01/08 3,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