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저와 숟가락

zz 조회수 : 3,578
작성일 : 2019-01-04 14:21:19


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한데 부르는 말인데
숟가락을 수저라고 부르는 분들이 날로달로 늘어나는 걸 보고 있자니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IP : 49.161.xxx.87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피곤
    '19.1.4 2:22 PM (223.39.xxx.81)

    피곤 해서 어찌 사시는 지
    그런 거 일일히 신경 쓰고

  • 2. ..
    '19.1.4 2:27 PM (117.111.xxx.42) - 삭제된댓글

    그만한 일로 답답 하면 어째요ㅜ

  • 3. 이건 진짜 뭐...
    '19.1.4 2:29 PM (115.136.xxx.38) - 삭제된댓글

    제대로 알고 답답해지세요.
    진짜 재밌습니다.
    답답해지려면 제대로 알고 답답해지세요.
    설령 알고 있는게 맞다 해도 그런걸로 답답해지나 싶은데...

    이 글 지우실 듯

    참고로 오픈사전이나 위키백과 같은거 아닙니다.

    수저1

    [명사]
    1. 숟가락과 젓가락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숟가락’을 달리 이르는 말.

  • 4. 이 글
    '19.1.4 2:32 PM (59.149.xxx.146)

    이 글을 보니 잊지 못하는 저의 옛날 일이 떠오르네요.
    대학교 엠티 가는데 준비물에 수저라고 써 있는거예요. 그래서 숟가락을 챙겨서 갔더니 다들 숟가락 젓가락을 가져왔어요. 그 때 알았죠. 수저가 숟가락 젓가락을 말하는걸 일고 있었는데 난 왜 달랑 숟가락만 가져왔을까 하고. ㅎㅎㅎ
    저 같은 분들 많나봐요~~

  • 5. 윗님
    '19.1.4 2:35 PM (218.101.xxx.241)

    수저의 원래 뜻, 어원은 ˝술 져˝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나 사람들이 숟가락을 뜻하는 말로도 많이 써서 추가되었다고 합니다.
    국립국어원 설명입니다.

  • 6. 내비도
    '19.1.4 2:35 PM (121.133.xxx.138)

    원래 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일컫는 말이었지만, 상민들은 젓가락을 잘 쓰지도 않아서, 윗님의 2번항목, 숟가락을 개별 의미로도 쓰기 시작했어요. 물론 지금은 숟가락을 수저라해도 전혀 문제가 없어요.

  • 7.
    '19.1.4 2:36 PM (115.136.xxx.38) - 삭제된댓글

    단어도 계속 바뀌는거지요.
    지금의 뜻은 수저를 숟가락으로도 쳐 주는게 아니라 수저=숟가락의 의미가 되었습니다.

    우리때
    읍니다. 돐잔치, 설겆이라고 썼던것 처럼요.

  • 8. zz
    '19.1.4 2:38 PM (49.161.xxx.87)

    아 참 . 꼭 따지려는 건 아닙니다만..
    '숟가락을 달리 이르는 말'
    이 경우는 물리적 실체를 가진 도구로서의 숟가락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요 이때의 '수저'는 단위성 의존명사로 쓰인 것으로 앞에 수 관형사의 수식을 받아 "밥을 한 수저 떴다"와 같은 단위를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9. 그러니까
    '19.1.4 2:41 PM (218.101.xxx.241)

    원글님은 업데이트가 안되셨을 뿐이지요.
    원래 의미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이르는 말이었으니 말입니다.
    누구는 업데이트를 접하여 알고 있지만 아닌 사람들도 있으니 왜 답답하냐는둥 이 글 지우겠다는 둥 비꼴 필요까지는 없다고 봅니다.

  • 10. zz
    '19.1.4 2:42 PM (49.161.xxx.87)

    윗님 업데이트 문제가 아니라니까요.

  • 11. ㅇㅇ
    '19.1.4 2:47 PM (211.36.xxx.21)

    언어는 바뀌어요. 님이 업데이트가 안 된 게 맞아요

    국립국어원 답변

    안녕하십니까?

    ˝수저˝의 어원은 ˝술 져˝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나, 현실적으로 대중들이 숟가락의 의미로 수저를 많이 쓰고 있으므로 이를 인정하여 사전에 반영시켜 놓은 것입니다. 1999년에 나온 “표준국어대사전” 초판부터 ˝숟가락˝을 달리 이르는 뜻이 있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12. 원래 말이란
    '19.1.4 2:48 PM (115.140.xxx.180)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지 않나요?? 쓰는 사람에 따라 의미가 확장될수도 바뀔수도 있는거죠
    답답할것 까지야~

  • 13. 47
    '19.1.4 2:50 PM (183.108.xxx.130)

    오~ 수저에 숟가락이라는 뜻도 있었군요. 저도 가끔 수저를 숟가락이라는 뜻으로 쓰고 싶은데(2글자라서) 저 혼자 눈치 보여서 못 쓰고 있었거든요. 오늘부터는 ‘간장 한 수저’ 해야겠어요 속시원하게.

  • 14. 수저가
    '19.1.4 2:51 PM (110.9.xxx.89)

    숟가락을 이르는 말이 된게 몇년 됐습니다.
    국어사전 업데이트 하세요.

  • 15. 내비도
    '19.1.4 2:53 PM (121.133.xxx.138)

    원글님이 설명 하시는 '한 수저'와 같이 국한 되게 쓰던 과도기 때도 있었지만,
    지금은 온전히 '숟가락'을 일컫는 말이기도 합니다.

    수저 (숟가락과 젓가락) > 수저 (숟가락고 젓가락을 뜯하지만, 수관형사의 수식을 받는 경우 숟가락을 뜻하기도 함) > 수저 (숟가락과 젓가락, 또는 숟가락)

    언어는 바뀝니다... 한글이 바뀌는 게 아니라 우리 말이 바뀌고 당연히 그 문자수단인 한글도 바뀌는 거예요. 그러니 세종대왕님께 부끄러울 필요 없어요.

  • 16. ㅋㅋㅋㅋ
    '19.1.4 2:54 PM (222.118.xxx.71)

    어제 미쉐린이라고 쓴사람 막 비웃으며
    미슐랭 말하는거냐고 하던사람 생각나네요

  • 17. 저도
    '19.1.4 2:55 PM (61.82.xxx.223)

    원글님과 ㅎㅎ
    숟가락을 수저로 쓰는걸 보면 답답했는데 ..
    오늘에야 업데이트합니다
    원글님덕분에 ^^;

  • 18. ..
    '19.1.4 2:57 PM (58.237.xxx.103)

    우리가 흔히 쓰는 '머리 잘랐다'........머리에 머리카락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거랑 같죠.

  • 19. 알다
    '19.1.4 2:58 PM (223.38.xxx.120)

    원글님 덕분에 수저에 숟가락이라는 뜻도 있다는 걸 알고 가네요.
    모르고 가르치기라도 했다면 망신당할 뻔

  • 20. zz
    '19.1.4 3:00 PM (49.161.xxx.87)

    내비도님 설명 감사합니다.

  • 21. ..
    '19.1.4 3:19 PM (58.140.xxx.31)

    한중일 모든 나라에서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합니다만. 중국과 일본은 거의 젓가락만 사용하는 반면
    한국만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사용합니다. 상차림에서도 늘 한세트로 움직이죠.
    중국과 일본은 숟가락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거나 심지어 그 모양과 쓰임도 후퇴해가는 느낌이지만
    한국은 숟가락이 없으면 식사를 제대로 마치기 힘든 상황입니다 ㅎㅎ
    그래서 수저란 단어에 숟가락이란 단독의미를 부여한것이 아닌지 생각이 듭니다 ^^

  • 22. ...
    '19.1.4 3:44 PM (220.86.xxx.91)

    저도 원글님과 같은 답답함이 있었어요 ㅎ
    댓글들 보고 앞으로 그냥 받아들이기로 했네요
    원글님 감사합니다 ^^

  • 23. 111
    '19.1.4 4:00 PM (223.62.xxx.62)

    저 오늘 첨 알았네요
    수저=숟가락의 의미도 있다는걸.
    원글님의 말뜻도 뭔소린지 알겠구요.
    어제 미쉐린=미슐랭인지 모르시고 미쉐린이랬다고 웃으신 그분도 떠오릅니다

  • 24. ㅎㅎ
    '19.1.4 7:01 PM (182.228.xxx.195)

    업데이트 되셨겠네요
    이제부턴 답답하지 않으실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0729 소파 고르기 쉽지 않네요... 5 .. 2019/01/04 2,638
890728 롱패딩 입으면 다리가 덜시린가요? 19 추워라 2019/01/04 4,791
890727 얼렸던 한살림통밀 2 ㄱㄱㅇㄱ 2019/01/04 658
890726 세탁기 어는 것땜에 정말 스트레스받아요 13 휴... 2019/01/04 4,242
890725 광교 쪽 헬스장 소개 부탁드려요. 1 .. 2019/01/04 621
890724 박그네정부164조vs문재인정부4조 7 ㅂㄴ 2019/01/04 1,408
890723 플라잉요가 언제쯤 적응될까요? 7 .. 2019/01/04 3,420
890722 미국 마트 cash back개념이 이해가 안돼요. 6 미국 2019/01/04 2,358
890721 저도 맛있는 김밥집이 생각나네요... 3 ... 2019/01/04 2,751
890720 국방부 대변인 라디오 인터뷰를 듣고 있는데요... 15 ... 2019/01/04 1,250
890719 저 실비보험 가입했어요..^^ 5 ... 2019/01/04 3,390
890718 케이퍼가 한통인데 뭐에 곁들이면좋을까요? 5 케이퍼 2019/01/04 811
890717 서울대는 왜 수능 영어 점수를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나요? 9 .. 2019/01/04 3,678
890716 주말에 서울역 환전하는곳있나요? 2 환전 2019/01/04 866
890715 성형 어디서 했냐고 집요하게 묻던 하숙생 8 자연 2019/01/04 3,556
890714 이 아이는 학습 지도를 어떻게 해주면 좋을까요? (지적장애) 27 .. 2019/01/04 4,933
890713 인간관계 끊으면 후회하나요? 12 ... 2019/01/04 6,317
890712 지방은 벌써 고등배정발표났나봐요 서산 2019/01/04 510
890711 신재민 무슨일인거죠? 10 무식해서 2019/01/04 4,405
890710 베트남 소스에 관하여 4 궁금해요 2019/01/04 1,190
890709 찰보리쌀로 냄비밥 할수있을까요? 3 초보새댁 2019/01/04 1,538
890708 빈집에 수도가 얼었는데 5 빈집 2019/01/04 1,416
890707 안방을 가족 서재로 하면 어떤가요? 9 .. 2019/01/04 2,705
890706 명절 KTX예매할 확률 얼마나될까요? 3 ... 2019/01/04 635
890705 밑에 글보고 생각난 압구정 김밥집 찾아주실분~ 5 reda 2019/01/04 1,469